Boards
글 수 27,479
어제 밤...
어둑해진 시간에 고속도로 목적지에서 나가기 위해 TG로 향했습니다.
하이패스를 사용하기에 통과 제한속도가 30km/hr지만 현실적이지 못한 상황에
앞차들의 속도와 평소의 통과 속도를 고려하여 60km/hr 정도로 진입하고 있었습니다.
순서는 고속버스 1대 - 승용차 1대 - 제차 - 승용차 - 버스 순서로 진입... ( 차간 간격은 20~30미터 정도로 여유있게 진행중 )
고속버스 통과 후 승용차 통과 도중 빨간불과 함께 차단바 하강... 제동등... 저도 급제동 (ABS 다다다다.....) 룸미러를 순간적으로 보니 뒷차도 헤드램프 빛이 낮아지는 걸 봐서 노즈다운...
3~4미터를 두고 정지 후 뒤에서 들려오는 버스의 뱃고동 경적과 끼이익하는 소리
결국 버스는 제 뒷차 트렁크를 추돌하고 그 충격에 의해 제차와는 약 1~2미터 근처까지 밀려와서 정지했더군요
그렇게 해서 차 4대의 운전자가 나오고 뒤에 2분은 보험사 연락하고 우왕자왕, 순찰자도 와서 현장 파악한 후 결론은 제 뒷차를 추돌한 버스 과실로 이야기 하더군요
세 운전자가 정지한 승용차 운전자에게 갔더니 그분은 하이패스 작동이 되지 않아 정지 했다고 하며 TG 담당자와 이야기 하고 있고...
저야 옆차로로 이동도 못하고 ( 이미 진입 ) 한 30분을 밖에서 기다렸습니다.
버스기사는 자기의 사고 원인 제공이 첫번째 정지한 차량이라면서 제 앞차 운전자를 가지 못하게 하고, 자기는 움직일 수 없다고 경찰에게 항의 하고...
이런 일을 겪은 뒤 남은 세가지 생각입니다.
1. IR 방식의 하이패스는 에러율이 RF방식에 비해 높은 것 같다
(앞차 단말기를 보니 IR Type이더군요, 위치는 운전석쪽)
2. 제차에 설치된 단말기 위치를 생각해봐야 겠다
( 현재 계기판 아랫면에 부착하여 사용, 지금까지 에러는 0% )
3. 만약 지불 TG에서 에러가 난다면 차단바를 향해 그냥 돌진해야 겠다..
하지만 차에 손상이 있을지 없을지는 해보지 않고는 모르겠다
하이패스 쓰시는 분들... 차단바의 정체가 뭘까요?
어둑해진 시간에 고속도로 목적지에서 나가기 위해 TG로 향했습니다.
하이패스를 사용하기에 통과 제한속도가 30km/hr지만 현실적이지 못한 상황에
앞차들의 속도와 평소의 통과 속도를 고려하여 60km/hr 정도로 진입하고 있었습니다.
순서는 고속버스 1대 - 승용차 1대 - 제차 - 승용차 - 버스 순서로 진입... ( 차간 간격은 20~30미터 정도로 여유있게 진행중 )
고속버스 통과 후 승용차 통과 도중 빨간불과 함께 차단바 하강... 제동등... 저도 급제동 (ABS 다다다다.....) 룸미러를 순간적으로 보니 뒷차도 헤드램프 빛이 낮아지는 걸 봐서 노즈다운...
3~4미터를 두고 정지 후 뒤에서 들려오는 버스의 뱃고동 경적과 끼이익하는 소리
결국 버스는 제 뒷차 트렁크를 추돌하고 그 충격에 의해 제차와는 약 1~2미터 근처까지 밀려와서 정지했더군요
그렇게 해서 차 4대의 운전자가 나오고 뒤에 2분은 보험사 연락하고 우왕자왕, 순찰자도 와서 현장 파악한 후 결론은 제 뒷차를 추돌한 버스 과실로 이야기 하더군요
세 운전자가 정지한 승용차 운전자에게 갔더니 그분은 하이패스 작동이 되지 않아 정지 했다고 하며 TG 담당자와 이야기 하고 있고...
저야 옆차로로 이동도 못하고 ( 이미 진입 ) 한 30분을 밖에서 기다렸습니다.
버스기사는 자기의 사고 원인 제공이 첫번째 정지한 차량이라면서 제 앞차 운전자를 가지 못하게 하고, 자기는 움직일 수 없다고 경찰에게 항의 하고...
이런 일을 겪은 뒤 남은 세가지 생각입니다.
1. IR 방식의 하이패스는 에러율이 RF방식에 비해 높은 것 같다
(앞차 단말기를 보니 IR Type이더군요, 위치는 운전석쪽)
2. 제차에 설치된 단말기 위치를 생각해봐야 겠다
( 현재 계기판 아랫면에 부착하여 사용, 지금까지 에러는 0% )
3. 만약 지불 TG에서 에러가 난다면 차단바를 향해 그냥 돌진해야 겠다..
하지만 차에 손상이 있을지 없을지는 해보지 않고는 모르겠다
하이패스 쓰시는 분들... 차단바의 정체가 뭘까요?
2008.04.25 12:43:39 (*.34.95.83)

제가 듣기로는 차단바의 정체는 차가 들이 받아도 상처가 안나는 재질이라고 들었는데...
혹시 시험보신다고 돌진하시는 회원님이 계실까봐.., 확답드리기가 뭐하네요^^
무르치엘라고정도면 차단바 아래로 그냥 통과가능?? ^^ 트렌스포터처럼?? ㅋㅋ
혹시 시험보신다고 돌진하시는 회원님이 계실까봐.., 확답드리기가 뭐하네요^^
무르치엘라고정도면 차단바 아래로 그냥 통과가능?? ^^ 트렌스포터처럼?? ㅋㅋ
2008.04.25 12:45:05 (*.7.57.209)

하이패스 통과 제한속도가 30키로라는건 괜히 있는 말이 아니더군요...뭐 저도 외곽순환에서 차단바 없는 하이패스차로 100키로 이상으로 지나갈 때도 있긴 하지만, 고속으로 하이패스차로를 통과할 경우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가 꽤나 있었습니다. 글과같은 상황의 경우 상당히 위험할 수도 있구요...(단발사고라서 다행이지, 3중 4중추돌로 이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하이패스차로에도 과속카메라를 도입하는건 어떨까 했네요...ㅋ
개인적인 생각으로 하이패스차로에도 과속카메라를 도입하는건 어떨까 했네요...ㅋ
2008.04.25 13:50:14 (*.155.43.234)

승민님의 의견이 좋은 솔루션이라 생각합니다.
강릉TG 전후로 50짜리 과속카메라가 설치 되어 있는데
타지 분들이 많이 오시는 관계로 내리막, 커브(지형적) 사고 방지에
효과적으로 보입니다. 보기에도 좋구요~
물론 100이상 놓고 신나게 달리다가 50이란 속도는 기어가는 느낌이지만..
하이패스 차선은 더더군다나 위험해 보이니까요.
강릉TG 전후로 50짜리 과속카메라가 설치 되어 있는데
타지 분들이 많이 오시는 관계로 내리막, 커브(지형적) 사고 방지에
효과적으로 보입니다. 보기에도 좋구요~
물론 100이상 놓고 신나게 달리다가 50이란 속도는 기어가는 느낌이지만..
하이패스 차선은 더더군다나 위험해 보이니까요.
2008.04.25 13:57:26 (*.19.210.7)
제 옆자리 동료가 30몇 키로로 가다가 차단바에 받혀서 앞유리가 깨진적이 있습니다.
차는 SUV이구요 고속도로 측에서는 30이 넘었으므로 보상이 안된다고 했구요.
속도도 찍힙니다. 차단바 조심하세요~
차는 SUV이구요 고속도로 측에서는 30이 넘었으므로 보상이 안된다고 했구요.
속도도 찍힙니다. 차단바 조심하세요~
2008.04.25 14:29:25 (*.135.177.110)

저는 지나갈때마다 '저 차단바가 하루에도 수천번씩 작동할텐데 혹시라도 고장나서 올라가지 않으면 어쩌나..' 하는 걱정이 들면서 차라리 차단바를 없애면 어떨까 했는데 얼마전 뉴스에서보니 하이패스도 아닌데 그냥 지나치는 차들이 많다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일껍니다.
조금은 답답하고 감속과 재가속에 따른 효율이 떨어지더라도 규정속도를 지키는게 가장 좋은방법이겠네요.
조금은 답답하고 감속과 재가속에 따른 효율이 떨어지더라도 규정속도를 지키는게 가장 좋은방법이겠네요.
2008.04.25 14:47:16 (*.137.131.12)

제일 선두에 하이패스 미작동으로 정지한 차의 과실은 제가 봐도 없네요.ㅋㅋ 버스기사 아저씨 '땡깡'. 제한 속도가 30킬로였고 30킬로이하 속도에서는 앞차가 급정거 했더라도 충분히 설 여유가 있다보 봅니다.
큰톨게이트는 감지기와 차단바 사이에 거리가 여유 있어서 어느정도 과속에도 대응하는데 작은 톨게이는 그 거리가 무지 짧은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자주 다니는 남구미ic도 상당히 짧더군요.
큰톨게이트는 감지기와 차단바 사이에 거리가 여유 있어서 어느정도 과속에도 대응하는데 작은 톨게이는 그 거리가 무지 짧은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자주 다니는 남구미ic도 상당히 짧더군요.
2008.04.25 15:26:15 (*.87.60.117)

저는 두번 정도 미인식 경험을 한 뒤로는 에러율 0%에 도전하며 오른손으로 직접 기계를 앞유리 상단 정중앙(가장 센서와 가까운 지점)으로 향하고 통과합니다.
IR방식 배터리 4년째인데 멀쩡하더군요.
싱크*G 회원 중 한명이 친절하게도 충돌 시험을 해줬는데 (물론, 160km/h 상태에서 미인식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밀고 나간거죠. ㅋㅋ) 재질이 스폰지 계열의 탄성체라서 차량에 아무 손상이 없었다는군요.
IR방식 배터리 4년째인데 멀쩡하더군요.
싱크*G 회원 중 한명이 친절하게도 충돌 시험을 해줬는데 (물론, 160km/h 상태에서 미인식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밀고 나간거죠. ㅋㅋ) 재질이 스폰지 계열의 탄성체라서 차량에 아무 손상이 없었다는군요.
2008.04.25 15:59:39 (*.148.159.138)

하이패스 단말기 인증 시험 기준이 160km/h의 속도에서 99% 이상의 인식 성공이 되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IR이나 RF 등 방식에 따른 차이는 잘 모르겠고요... RF는 위와 같다고 하더군요...
정말 식겁 하셨겠네요...
다행이라고 해야하는 건지... 훔...
IR이나 RF 등 방식에 따른 차이는 잘 모르겠고요... RF는 위와 같다고 하더군요...
정말 식겁 하셨겠네요...
다행이라고 해야하는 건지... 훔...
2008.04.25 16:23:08 (*.254.218.61)

일단..놀라셨을텐데..사고 없으셔서 다행입니다.^^
방식도 확인 안하고.. LG텔레콤 단말기와 함께 행사 하는 거 있길대,
덥석 한대 주문해 놨는데... 걱정이 살포시 되는 군요.
차단기 필드 테스트까지는 안하고 싶은데... 혹시 하게 되면(?) 결과 보고 드리겠습니다 -,.-;;
방식도 확인 안하고.. LG텔레콤 단말기와 함께 행사 하는 거 있길대,
덥석 한대 주문해 놨는데... 걱정이 살포시 되는 군요.
차단기 필드 테스트까지는 안하고 싶은데... 혹시 하게 되면(?) 결과 보고 드리겠습니다 -,.-;;
2008.04.25 17:38:45 (*.182.131.212)

앞으로 TG 지날때마다 뒷차와의 거리 확인하는 주의를 기울여야 겠습니다. 바짝 붙어오면 아예 30정도로 줄여서 통과해야 저도 안전하고 뒷차도 안전하고...
이세상에 오류없는 기계나 장비가 어디 있겠습니까^^
단지 확율의 문제라 생각합니다.
이세상에 오류없는 기계나 장비가 어디 있겠습니까^^
단지 확율의 문제라 생각합니다.
2008.04.25 17:41:21 (*.182.131.212)

꼭 IR이 인식 실패율이 높다는 것이 아니고 특성상 RF에 비해 설치 위치가 인식율에 영향을 RF형식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주는 것으로 되어 있네요...
통해 알고는 있습니다만... 맞는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