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지난주말 RS4로 부산에 다녀왔습니다.
급하게 갈 일이 없었기 때문에 130km/h로 고정해놓고 달리는 시간이 가장 길었는데, 이정도의 속도로 달릴 때의 순간연비가 리터당 10km정도 됩니다.
보통 고속도로를 이용해 장거리를 갈 때 이렇게 천천히 달려본 적이 거의 없고 거의 대부분 차가 거의없는 이른 새벽시간이나 늦은 야간에 이동하는 것을 선호하다보니 차가 거의 없는 이런 한가한 고속도로에서 정속으로 달린 것은 정말 오래간만의 일입니다.
근데 재미있는 것은 이렇게 저속으로 달릴 때 배틀의 기회도 훨씬 많이 찾아오더군요.
그래서 생각한 것이 빨리 달리는 폭주족들끼리는 오히려 서로 만나기가 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서로 동시에 출발하지 않는 이상 서로 달리고 있으면 따라 잡히지도 따라 잡혀지지도 않기 때문이지요.
아무튼 130km/h로 달리는 중에 잠깐 잠깐 배틀을 붙었던 차종은
벤츠 S221 S500
BMW E65 750i
머스탱 3.8
벤츠 S212 E280
BMW F10 528i
위의 차종중에서 528i하고는 240km/h까지 달려봤었고, 750i도 230km/h정도까지 달렸었는데, 배틀이라고 하기도 그런 것이 제 옆으로 치고 나가면 따라가서 옆에 나란히 서서 상대차종이 달리는만큼 함께 달리면서 가속능력을 점검하는 수준이어서 사실 위협적이거나 따라붙거나하는 배틀은 전혀 없었습니다.
아무튼 정속으로 가니까 추월을 당할일이 많아서인지 좀 달리시는 분들과의 만남의 빈도가 훨씬 높더군요.
위의 사진의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김천부근에서 대구까지 가는 구간인데, 국내 고속도로중 최고속을 내기 가장 좋은 구간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이 구간은 낮에도 차가 적어 달리기 정말 좋은데다가 차선의 폭이 넓고 시야가 완벽한 직선이 많습니다.
RS6고 310km/h까지 달려본 적이 있는데, 요번 여행에는 이 구간에서 계속 130km/h로 달렸네요.
부산으로 내려갈 때 중부내륙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요즘은 오히려 경부고속도로를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중부내륙이 2차선이기 때문에 중간에 걸리는 경우도 많고 반면 경부는 차선이 4차선인 경우가 많이 평균속도면에서도 오히려 유리한 것 같습니다.
중앙고속도로나 중부내륙이 야간이나 새벽에 야생동물의 위험도 경부보다는 훨씬 높은 것 같아 초고속으로 달리는 상황이면 두 고속도로는 잘 안달리게 되더군요.
2004년 RS6로 부산에서 올라오다가 중앙고속도로에서 고양이를 260km/h에서 스친 경우가 있는데, 정말 순식간이더군요.
아무튼 RS4로 130km/h정속에 중간중간에 200~250km/h까지 한번씩 밟아준 것을 포함해 부산에서 측정한 연비는 리터당 9.5km였고, 올라올 때는 늦은시간에 160km/h로 고정해놓고 한번 쉬고 3시간 걸려서 왔는데, 이때의 평균시속이 145km/h였습니다.
160km/h로 고정한 이유는 연료탱크 용량이 63리터인 RS4로 400km거리를 주유없이 오기 위해서는 160km/h정도가 가장 적당하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차가 전혀없는 시간대여서 속도를 오르락내리락하지 않아서 평균속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었습니다.
이때의 연비는 리터당 7.2km였습니다.
차가 많은 일상시간대에 장거리를 평균 140km/h이상 마크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제가 독일에서 아우토반을 달릴 때도 장거리 평균속도가 130km/h를 넘은 적이 거의 없었던 것을 감안하면 확실히 연비나 고속연비는 속도의 변화없이 일정하게 달릴 때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testkwon-
음... 김천대구구간 좋기는 한데 곳곳에 숨어있는 카메라 많습니다.
저는 겨울철에는 중부나 중앙고속도로는 교량과 터널이 많은 이유로 경부고속도로를 선호합니다.
안전운전 재미있는 운전하세요.

전 오히려 중앙고속도로의 한적함과 급격한 커~브가 재미있어서 그쪽을 선호하는데, 요즘은 경부도 길 많이 좋아진 모양이더라구요^^
언급하신 구간의 일부분(구미TG~동대구JC)을 두번정도 달려봤었는데, 속도 내기엔 괜찮은 여건 이었던 것 같습니다.
곳곳에 있는 카메라만 조심한다면 도로도 넓고 가다보면 중앙고속도로로 빠져버리는 차량들도 있고 하다보니
대구 부근에서의 일시적인 교통량 증가 외엔 교통량도 생각만큼 그리 많지는 않았던 것 같았구요.^^
230km..240km 상당히 높은 속도이기는 한데 차량이 받쳐 준다는 것과 차량과의 믿음이 있기에 가능한다고 생각듭니다.
과거 한창 때에 저도 같이 활동했던 사람들과 고속 크루징을 자주 한적이 있었는데 지금 생각 해 보면 피해 안줄려고 나름 무전기까지 쓰면서 나름 애쓰면서 했던것 같은 데 지금에 제가 2차선에서 새벽녁에 고속도로애서 110km 정도 주행을 하면서 가끔 만나는 고성능 차량들의 스치는 듯이 지나는것을 보면 깜짝 놀라면서 살짝 오기가 생기곤 합니다..
지금도 가끔 고향집갈때는 가끔 천안 논산간 정안 가기전 터널 (약간내리막, 카메라 無, 직선 긴터널) 에서 200 정도를 찍어 보곤 하지만 앞에 차가 있으면 그냥 포기 합니다.
피해를 안준다고 생각할것 같은데 피해는 주는것 같습니다.
배려와 안전 운전 하셨으리라 생각에 보시는 다른 분들도 모두 배려가 함께하는 즐거운 드라이빙이 되셨으면 합니다.

사진을 보니 구미ic근방이군요. 저부분 부터는 통행량이 조금 많아지는 편입니다. 남구미ic와 동대구ic구간이 경부고속도로중 수도권을 제외한 통해량이 가장 많은 구간이 아닐까 합니다. 특히 대형화물차들이 통행이 상당히 많구요. 실제 속도내기는 추풍령 휴게소 지나서 구미ic까지가 시야도 좋고 통행량도 상시 작습니다.

시원스레 내달리신 마스터님의 흐뭇한 표정이 느껴지는 듯 합니다.
말씀하신 구간이 고속크루징에 상당히 쾌적한 곳이라는 곳도 동감합니다.
첨에는 중부내륙을 자주 이용했지만 근래에는 차량도 많아졌고, 2차선에 화물차들이 많이 다니는 관계로
저 역시 경부고속도로로 루트가 변경되었습니다..^^
예전에.. 결혼 전. 막역한 선배와 둘이서 새벽에 뜬금없이 인천까지 갔다왔던 기억이 납니다.
매운 닭발이었나 그거 먹고 바로 또 부산으로 쏘면서 내려왔던 투스카니 엘리샤가 그립네요...^^
- 유온 컨디션이 상당히 인상적이네요^^

정말 중부내륙은 화물차들때문에 조금 힘들더라구요. 그래도 김천 밑으로는 중부내륙이 많이 한산해지기때문에 잘 활용하시면 좀더 경제적으로 부산에 가실 수 있습니다. (민자구간 스킵)
중부내륙을 거쳐 남해고속도로를 타고 부산에 진입하는 루트인데요, 신대구부산고속도로를 타는것보다 통행료도 아끼면서 시간은 엇비슷하게 맞출 수 있습니다. 중부내륙 김천~현풍 구간은 노면도 좋은 편이고 통행량이 정말 적거든요.
단, 부산 다 가서 남해고속도로, 만덕터널 같은데가 막히는걸 피해야하니 주로 심야나 새벽시간대를 추천드립니다~^^

여유가 있으실 때 울산쪽으로 빠지셔서 부울고속도로를 한 번 타 보시는 것도 괜찮을 듯 합니다
보통 저녁무렵 아니면 차량이 별로 없고
코너도 브레이킹 필요없는 라인이라 항속하기 좋습니다
야간에는 차량도 거의 없어 저는 거의 최고속 크루징을 하기도 합니다
(특히 야간에는 모든 구간에서 과속카메라가 3차선을 안찍습니다)
저도 주로 중부내륙 - 김천~대구 - 대구~부산 고속도로의 루트를 이용해 왔는데,
1. 대구~부산의 통행료가 슬슬 부담되고,
2. 중부내륙은 2차선이라 야간 시에는 트럭이 많아 운전이 크게 부담되더군요.
그래서 요즘은,
1. 주간에는 중부 내륙을 끝까지 내려가서 남해 고속도로를 타고 부산으로 진입하든지,
2. 밤에는 그냥 경부 일직선으로 타고 옵니다.
다양한 루트가 있겠지만 요즘은 스트레스 없는 운전이 최고더군요.
몇년전처럼 2시간대 진입같은 미션 수행은 이젠 도저히 자신이 없는 ㅎㅎ
그냥 스트레스 없는 편안한 운전이 목표가 되었습니다 ^^
차량 흐름이 방해되지 않는 기가 막힌 타이밍으로 이동하셨군요. 제가 작년 아우토반을 매일 아침-밤 계속 타는 동안에도 평균 140KPH는 정말 힘들더군요 ㅡ.ㅡ 제가 휴가철 시작하기 전 공사가 많은 때에 걸려서 그런건지... RS의 고속 연비가 생각보다 매우 좋아서 부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