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아래 질문 글에 이어 한 가지 깊이 있게 여쭙고 싶습니다.
BOV 스프링 장력이 너무 높아 제 차에 맞는 약한 스프링을 미국 본사에 주문하려 합니다.
차량은 젠쿱 2.0T 올순정(엔진, 터빈, 맵)이고, BOV는 TiAL Bv 50㎜ 입니다.
본사 사이트에 보니 아이들 진공압에 맞춰 스프링을 선택하라고 합니다.
부스트와는 상관없고 진공에 따라 작동여부가 나뉜다고 되어 있습니다.
스캔을 물려 배큠 수치를 보고 미국단위로 환산해서 주문하려고 하는데
이 정도가 제 한계인 것 같습니다..
그냥 이대로 얘기하면 제가 원하는 수치를 제대로 체크해줄런지도 의심스럽구요.
1. 다른 BOV를 임의로 장착하고 스캔을 물려야 진공이 제대로 뜨려나요?
2. 스캐너에서 진공(배큠) 수치를 알려 달라고 하면 되려나요?
3. 스캐너에 뜨는 수치 단위가 뭔지 모르겠습니만, 미국 단위와 다를까요? (아, 환산..)
BOV 링크 > http://www.tialsport.com/prod_bv_50.htm
스프링 > http://www.tialmedia.com/documents/BOVspc.png
공부하는 셈 치고 정확히 봐주실 분 모십니다~ ^^
부스트 전혀 못 띄우고 RPM 2,000으로 기어다니다가 봉인 중입니다. ㅜㅜ
미리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
_Soulcity

대단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피스톤이 워낙 큰 BOV라 1,000마력 대응하는 제품이라는 것 같습니다.
액셀링 했을 때 BOV가 꿈쩍도 않던 부분도
장력 약한 스프링으로 교체하여 정상 작동을 확인했습니다.
부스트가 비정상적인 것은 말씀하신 파이핑 어느 곳에 문제가 있을 확률도 있어서
새로 전체 점검하던 중 (특히 탈부착이 됐던 엘보 파이프 주변),
마침 고장코드가 떠서 스캐너로 진단한 결과 솔레노이드 밸브 이상을 발견했습니다.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고.. 하필 이 시기와 맞물려 트러블이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교체작업을 하고 있는 중이라 곧 다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수진 님께!! ㅎㅎㅎ
어쩌죠.. 수진 님께서 끝까지 책임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일을 밥도 잘 못 넘기고 끙끙 앓고 있습니다..
사건의 발달에서부터 현재의 상태를 간략히 브리핑하는 바입니다.
HKS SQV BOV와 itg 오픈 흡기로 전혀 문제없이 잘 탔습니다.
그후 흡기필터만 AEM 제품으로 바꾸었고, 최근 TiAL BOV로 바꾸게 되었습니다.
스프링이 웨이스트 게이트 만큼 강해 밸브가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그때부터 부스트가 안 뜨거나, 매우 불안정하게 뜨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하드웨어인 BOV 본체만 바뀐거라 직접적인 연관은 없을 것으로 봤습니다.
하루가 지나 에러코드가 떴고 스캐너를 물려 솔레노이드 밸브 이상을 확인합니다.
솔레노이드 밸브(웨이스트 게이트 쪽)가 확실히 망가졌고 바로 교체했습니다.
에러코드는 삭제되었으나 추후 같은 문제를 일으킬 것으로 본다고 합니다. (현대 측)
예전처럼 삐~ 고주파음을 내며 부스트는 잘 뜨는 것 같습니다. (게이지는 없음)
BOV가 정상 작동하고 난 후 달라진 것이 있습니다.
휘이이이~후루루루룩~ 하던 흡기 소리가 휘이~훅~ 하며 짧아졌습니다.
BOV가 정상 작동하지 않았을 때와 확연히 달라졌습니다.
ECU 소거(흡기량 등 리셋)해봐도 크게 달라지진 않습니다.
그리고 혹시나해서 한 가지 더 말씀드리면, BOV 소리가 거의 나지 않습니다.
액셀링 해보니 육안으로는 열렸다 닫혔다 잘하고 운행중에도 퓩~ 하는 느낌은 납니다.
원래 TiAL 제품의 특성이기도 하고, 순정 터빈이라 작게 나는 것 같습니다.
별거 아닌, 순환에 도움이 될 튜닝이라고 생각한 것이 이렇게 예민한 부분인지 몰랐습니다.
아무쪼록 심각한 상태의 불쌍한 환자 한 명 구한다 생각하시고 답변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정확한 컨디션을 체크하기 위해 좀 달려보고 오겠습니다.
PS. 선입선출에 의거하여 HKS BOV는 바로 팔아버렸습니다.. ㅜㅜ
따뜻하고 감사한 마음만은 벌써 받았습니다. ^^

...사실 이렇케 꼬리글로 말씀드리고 하는것에는한계가있습니다.
정확하게 문제가무었인지...도 말씀하신것으론 모르겠습니다.
가까이계시다면 차를보면 말씀드리고 싶지만..
저는 한국에있을때 경상남도 남해에있습니다. 일본에 회사다니고 있고요..
전에는HKS에 있었습니다.
우선 무었이 이전과 달라져 이상하다(고장이다)라고 느끼시는지를 파악해야될것 같습니다.
블로오프밸브소리나, 터빈소리(혹서징소린아니지)가 이전과다르다는것으로 의심이가시는것인..
부스트가 안뜨거나..스플업이느린건지..등으로 자세히..
-순정부스트체크
-현재 동욱님 부스트체크
-블로오프밸브 작동여부체크
-추후 부스트컨트론솔레노이드를 다시망가뜨릴만한요소가있는지체크(직접적인원인제공은없다고봅니다)
정상부스트에 BOV작동한다면..잠정적으로 이상은없어보이고.
현대측에서 왜그런 (추후고장발생가능) 말을했는지...단순히 에프터마켓 용품 탓을하는것인지..모르겠습니다.
이것은 쓸때없는설명입니다만, 블로오프밸브의 기능적목적은 터빈의보호와 엑셀온,오프에서의 리스펀스를 돕기입함입니다.
극단적으로 스프링이 강한것이 들어가있다면 마치 BOV가 달려있지않은것과 마찬가지가 되므로(열리지안으니..)
부스트가 걸리지안는것과 관계가 없어보입니다.
스프링이강하면 부스트가 새지안코(큰풍량 높은부스트사용하는 구성일때) 작은 진공도로는 열리지않습니다.
진공도와관계된것입니다만 가볍고 스므스한 엑셀워크로는열리지안코(방출안함)거친엑셀워크일때만 열리는것이
특징 입니다.
오히려스프링이약할경우 부스트가 새버립니다. 가벼운엑셀워크로도 열려버리므로 간단히 조절을하거나 음색을
바꾸기도합니다.
동욱님같은케이스에서 부스트가 안뜨는경우는 보통아래와 같은경우입니다.
-보통열의일곱여덟은 파이핑작업에서 부스트가 새거나(과급압누출) 하는이유로인한것
간단한점검으로 원인이나오지않으면 터빈입구를 막고 -엔진서지탱크쪽을통해 압력을가해서 찾는경우도있습니다.
이때 정비소의 압력이강한 컴프레셔압으로테스트할경우 각종씰 이망가지는경우가 일어날수있으므로...
에어콘게이지나...특수장비(거창한것은아니고 레귤레이터달린 에어주입기)를상용하거나 경험있는 정비사에게
의뢰합니다.
-막혀있는경우...(보통은 막아놓았던것이 엔진까지빨려들어가므로 부조하고 난리납니다..이것은아닌듯)
서지탱크입구쪽과 터빈출구쪽을 분해한후 가변운 엑셀링을해보아 압이차는 것을... 비교해서체크..
-부스트제어계(엑튜에이터제어 솔레노이드 공급니나,진공호스, 커넥터등등) 이상에의한..
이경우 보통 스케너에서 페일폴트가 뜹니다.
제어계를 거치는것이 웨이스트게이트 제어 엑튜에이터에 바로 연결하는것 보다 부스트가 더드는것 보통입니다.
질문하신 증상은 부스트가 거의뜨지않는다라셧는데...제어계를거치지않코 바로연결해보는 테스트도 유효할듯
싶습니다.
-터빈쪽이망가져서 부스트생성이않되거나 배기매니폴드가 갈라진경우 웨이스트게이트가 망가진경우는
갑자기 안뜨는경우는 거의없고 약해지거나 하는 다른증상을먼저보입니다.
그리고 이번질문의 답변은
국산 2리터 엔진기준으로 는 정상적인진공도는 750mm/hg 전후입니다 .
보통 엔진을튜닝한차들은 캠샤프트를 변경하거나 밸브타이밍 변경등의이유로 500mm/hg정도 를
기준으로봅니다.
이유없이 아이들링 진공이 흔들린다면(오르락내리락) 극단적으로 엔진이망가졌을수도있기때문에 점검필요
예외로 드라이썸프 로변경된엔진이나 아메리칸V8같은경우 진공이 많이나오거나 적게 나올수있습니다.
보통 직렬4기통의 2리터전후의 엔지으로 1000마력을 내는경우 부스트제어가 웨이스트게이트만으로 않되거나
높은부스트를 사용하려면 웨이스트게이트를 큰용량 2개를 달거나 없에버리거나한후
부스트제어를 BOV로 하는 편법을 쓰기도합니다.
1000마력대응의 기준이무었인지는? ㅎㅎ 모르겠지만 ..
동욱님의 애마에 알맞는것이 최고이지싶습니다
물론 재미삼아해본다거나하는것은 이해하고 동감합니다. ㅎㅎ
-큰용량의 BOV가 순정터보차량에 맛깔나게 맞지는 않을것 같다는생각입니당 ㅎㅎ
블로오프밸브작업하셨던 곳에 문의해서 어디까지분해 하고 작업했는지를 알아본후 그주위를중점적으로
체크해보시길 권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