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현재 운행중인 차량 본네트 도장면에 자잘한 상처가 많아
광택으로는 수정이 안되고 재도색을 하는 방법뿐이 없다고 합니다...
예전부터 본네트와 천정 그리고 트렁크는 왠만하면 재도색을 안하는것이 좋다는 얘기를 들은적이 있습니다
이유인즉슨 정면으로 노출되는 부위이고 특히 본네트 같은경우 엔진열로 인하여 칠 내구성에 문제가 될 소지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보수용 도장은 출고시 도장보다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입을 모아 얘기하시네요...
예를들어 고속주행시 스톤칩을 당하면 출고시 도막의 경우 스크레치에서 끝나지만 보수도장이 들어간 차량은
칠이 떨어져 나간다고 하네요...-_-
수입도료인 바스프나 시켄스를 베이스로 올리고 상급 클리어를 써도 보수도장의 한계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일까요?
괜한 기우인지 아니면 정말로 본네트 도색은 심사숙고해야 할 문제인지 고견 부탁드리겠습니다.

베이스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클리어가 중요합니다.
클리어를 좋은것으로 사용하면 수지의 함량이 높아 스톤칩에 대한 내구력도 높습니다.
사용해본 것으로 가성비로는 BASF가 가장 좋았고 가장 비싼건 PPG도 있습니다.
보수도장용 도료가 신차 출고용보다 못한게 아니라, 신차 도장시 열처리를 고온(130°c까지 건조를 시키는 경우도 있음)에서 하기때문에 도막이 단단합니다. 보수도장은 보통 60~70°c에서 열처리를 하기때문에 차이가 있습니다. 도자기에 유약을 바른후 가마에서 구워져 나왔을때 비로서 강도 및 광택이 잘 나오는 방법과 동일합니다.
그리고, 잠시 자동차보수도장에 관한 논문(자동차공학회)를 살펴보니...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reference]
유창배, "클리어 도막이 자동차 보수도장 외관특성에 미치는 영향," Transactions of KSAE, Vol. 19, No. 1, pp.32-37, 2011.
----------------------------------------------------------------------------------------------------------------------------
(일부내용 인용)
3.4 클리어 도막과 경도와의 상관관계
클리어코트 도막두께와 경도와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비교적 도막두께가
얇을수록 경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점차적으로 도막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도막경도가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표에서처럼 어느 일정도막 두께(50~55㎛)이상일 경우에는 가벼운 긁힘에도 쉽게 도막이 손상을 입
어 도막경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도막의 두께를 한없이 두껍게 도장하는 것은 도
장작업적인 측면과 도료적인 측면, 도막결함적인 측면 그리고 비용적인 측면까지 고려해 볼 때 비효
율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정한 도막두께를 형성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좋은 외관품질을 만드는 효율적인 방법이
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신수철님 말씀 동감합니다. 베이스층을 보호해주고 광택을 형성하는 클리어가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요즘은 내 스크래치성 도료도 많이 개발되고있고 PPG제품중 고가의 내 스크래치성 클리어 제품같은경우 순정 못지않은, 오히려 그 이상의 내구성을 자랑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클리어는 무조건 고온에서 굽는다고 좋은 게 아닙니다. 광택유지측면으로 봤을때는 오히려 자연건조가 더 이상적입니다(시중에 납품되는 보급형 클리어제품들같은경우 60~70도에서 강제건조시켰을때 광택이 어느정도 감소되는 제품들이 수두룩합니다.). 적당히 열을 줘서 클리어의 퍼짐성(살오름성)을 좋게하고 건조를 빠르게하여 생산성을 높이고자 열처리를 하는것이죠. 작업을 꼼꼼히 FM대로 하며 좋은 장비와 도료로 도장을 한다면 질문하신분께서 걱정하시는 보수도장의 한계는 나타나지 않을거라 저는 생각됩니다
출고도장도 고속도로 스톤칩에는 장사가 없습니다. 문콕 정도로는 약간의 차이가 나지만 스톤칩은 막을 방도가 없습니다. 보수용 도장도 저렴한 퀄리티와 가격으로 후드를 도색한 제 차중의 한 녀석도 3년 넘었지만 아직도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후드에 변색되거나 거북등 현상이 생기는 것은 상도, 하도, 중도 도장시 제대로 건조를 안하고 해서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