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지방에 사는 관계로 광역버스를 맨날 이용합니다.
집앞에서 버스를 타고, 사무실 1정거장 앞까지 와주니 버스를 이용할 수 밖에 없죠,
막히는 도로에서 버스보다 빨리 운전해 갈 자신도 없고요...
말은 이처럼 해도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인 이유겠죠 ^^
요즘 타이어 가격이 살인적으로 올랐다고 합니다. 여타 부품값들도 엄청 뛰었다는데..
지난 주 찦차의 배터리를 갈았는데 1년전에는 8만원이면 갈 것을. 요즘엔 14만원이나 받는답니다.
아울러 타이어 값도 엄청 올랐다는데 요즘 타이어할인점에 가면 비매품타이어를 싼값에 붙이고 가는 손님도 많다는 카센타 사장님의 증언이었습니다.
해서,,,,
퇴근길에 버스를 기다리던 중 버스 타이어를 유심히 지켜봤습니다.
제가 본 표본이 전체를 아우른다고 생각안하지만
적어도 제가 본 버스 타이어들 중
90%이상이 재생타이어를 쓴 듯하더군요.
경제적인 문제로 인해 재생을 쓰는 것도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있으나.
전륜까지 재생을 쓴다니 참으로 놀랄 일입니다.
버스를 이용하면 자가용보다는 아무래도 불편하고 그렇지만 누군가 운전을 대신 해준다는 큰 이점이 있습니다.
허나 무엇보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은 우리 마을을 지나는 버스업체가 망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도 있기에 즉, 사랑하는 마음에서인데 이러한 손님들의 마음과는 관계 없이 위험천만한 재생타이어를 사용하는 업체측도 참 밉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대형차를 굿이 타는 이유는 과속을 일삼는 버스들에게서 살아남고자 함인 만큼.
버스들은 일반적으로 과속을 하는데, 그런 주제에 재생타이어까지 낑구고 다닌다니 이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저는 버스타면 무조건 안전벨트를 맵니다. 아무리 그래도 타이어 파스로 인해 사고가 벌어진다면 벨트를 매서 살아남는 것보다 사고가 안나니만 못하다는 생각도 들고, 그렇다고 다시 자가용을 끌 수도 없고... 그렇네요.
회원여러분들 버스탈 때 꼭 벨트를 맵시다.
2008.05.09 11:15:34 (*.155.43.234)

예전에 본교와 캠퍼스를 연결해 주던 관광버스(전세)는
다시보고 다시보고 또다시봐도 주행거리가 98만.
이건 뭐 올라 타기도 무시무시했던..
그냥 살면서 아무 일 없기만을 바래봅니다.
다시보고 다시보고 또다시봐도 주행거리가 98만.
이건 뭐 올라 타기도 무시무시했던..
그냥 살면서 아무 일 없기만을 바래봅니다.
2008.05.09 13:26:40 (*.68.61.62)

저는 어릴 때 버스 전복사고를 겪어서인지 왠만하면 버스는 안탑니다.. ㅠ.ㅠ 빗길에 미끄러져서 도로 밖에서 창문깨고 겨우 나왔었죠.
2008.05.09 14:48:18 (*.242.222.155)

재생타이어 전륜사용은 엄연한 불법입니다. 바이어스 타이어는 특성상 파손되면 그냥 터져버리든지 주저앉기 때문에 조향륜에 쓰면 바로 콘트롤을 잃습니다. 과거 조향륜에 쓰인 재생타이어가 터져 일어난 버스 추락사고를 계기로 전륜 재생타이어 사용금지가 법제화 되었죠. 일전에 한 업계 관계자에게서 "요즘은 재생 타이어 제조기술도 발전해서 옛날보다 성능이나 품질이 많이 좋아졌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었습니다만, 운수업계나 재생타이어와 직접 관련된 분이 아니었기 때문에 신빙성은 아주 높지는 않다고 봅니다. 저도 거리를 다니며 가끔씩 버스들을 보면 재생타이어를 앞에 단 차들이 눈에 띕니다. 국민안전과 관련된 문제는 경제논리와 타협할 수 없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잘 만드는 게 선진국가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2008.05.09 20:28:39 (*.179.231.24)

사진의 타이어는 튜브리스 레이디얼 타이어 입니다. 바이어스 타이어는 튜브가 있는 타이어죠.
주로 군용차나 광산에서 작업하는 15톤 덤프용 뒷타이어로 사용됩니다. 버스,카고,트랙터,덤프들은 바이어스 타이어는 왠만해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출고시부터 튜브리스 타이어가 장착되죠..
재생타이어가 불안하다기 보다는 기사님들의 사용 부주의 때문에 사고가 일어납니다. 마모가 카카스층이 벗겨지고 와이어가 보이는 상황까지 운행을 하기때문입니다. 사실 타이어값이 워낙비싼 까닭도 있겠지요.. 시내버스라면 회사거래처에서 타이어를 작업하기때문에 선택의 폭이 없겠지만 개인운수업자들의 경우에도 재생타이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터지는 타이어는 신품,재생을 않가리고 터지더군요.. 재생타이어의 가장큰 문제점은 트레드가 문제가 아니라 림에 접촉하는 부위(비드)가 경화된다는 것입니다. 대형타이어 탈착시 신품타이어는 탄성이 좋아서 장착이 쉬운 반면 재생타이어는 탄성영역을 지나 비드가 찢어지는 사태도 자주 일어나더군요.. 아무튼 재생타이어의 이해를 확실히 하고 적절히 사용하는것이 바람직 할것 같습니다.. 전륜 사용은 저도 반대입니다.. ㅡ.,ㅡ
주로 군용차나 광산에서 작업하는 15톤 덤프용 뒷타이어로 사용됩니다. 버스,카고,트랙터,덤프들은 바이어스 타이어는 왠만해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출고시부터 튜브리스 타이어가 장착되죠..
재생타이어가 불안하다기 보다는 기사님들의 사용 부주의 때문에 사고가 일어납니다. 마모가 카카스층이 벗겨지고 와이어가 보이는 상황까지 운행을 하기때문입니다. 사실 타이어값이 워낙비싼 까닭도 있겠지요.. 시내버스라면 회사거래처에서 타이어를 작업하기때문에 선택의 폭이 없겠지만 개인운수업자들의 경우에도 재생타이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터지는 타이어는 신품,재생을 않가리고 터지더군요.. 재생타이어의 가장큰 문제점은 트레드가 문제가 아니라 림에 접촉하는 부위(비드)가 경화된다는 것입니다. 대형타이어 탈착시 신품타이어는 탄성이 좋아서 장착이 쉬운 반면 재생타이어는 탄성영역을 지나 비드가 찢어지는 사태도 자주 일어나더군요.. 아무튼 재생타이어의 이해를 확실히 하고 적절히 사용하는것이 바람직 할것 같습니다.. 전륜 사용은 저도 반대입니다.. ㅡ.,ㅡ
2008.05.09 22:42:01 (*.125.72.8)

저렇게 트레드부위만 재생한 타이어말구 옆구리까지 덮어쒸운 타이어있었는데...으~
이넘은 보기에는 좋은데..열받으면 옆구리가 터져버려서..아주 고행했던적이있었죠..
이넘은 보기에는 좋은데..열받으면 옆구리가 터져버려서..아주 고행했던적이있었죠..
경제적인 논리도 있지만 ..... 수요와공급? 의문제도 있습니다. (이거도 경제 논리네요)
저는 어제 7001번을 ....운전석 옆에서 서서 왔습니다.
정말 살짝....브레이킹만 해도 죽을거 같더군요 ㅠ_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