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안녕하세요. 전민근입니다.
아침저녁으로는 날씨가 꽤나 쌀쌀하군요. 어제 감기걸릴 뻔 했습니다. ^^
저렴한 제품이지만 유온, 유압게이지를 장착하면서 이런 저런 오일을 사용해 보았습니다.
점도별로 보면 0w40, 10w60, 5w40 정도 죠. 리터당 1만원정도부터 3만원을 넘는 오일을 사용
하면서 과연 그렇게 비싼 오일과 저렴한 오일의 가격차이가 제품 품질의 차이일까... 라는 의문
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비싼오일은 리퀴몰리사의 제품들이었고 저렴한 제품은 프로피카라는
아시는 분은 아시는 저렴한(?) 오일입니다. 위에 사용한 세 제품 모두 유온이 상승함에 따라
유압이 일정량 만큼 하락하게 되고 다시 유온이 내려가면 그만큼 유압이 오르게 됩니다. 5천킬
로를 주행할 때까지 유압의 변화도 모두 거의 없었구요. 가혹조건에서 130도를 찍는 유온은 세
제품 모두 동일했고 열간시(유온 90도) 아이들 유압은 리퀴몰리 10w60, 프로피카 5w40, 리퀴몰
리 0w40 순으로 높았고 유온이 90도- 120도로 변했을 때 유압의 변화폭이 제일 컸던 제품은 리
퀴몰리 10w60이었고 나머지 두 제품은 거의 비슷했습니다.
엔진 회전느낌은 0w40 과 5w40이 비슷하지만 후자의 경우가 조금 더 정숙하고 안정된 느낌이
었습니다. 실제 유압도 조금 높게 형성이 되구요. 10w60은 정말 별로였습니다. 부하를 많이 받
아서 그런지 엔진이 돌아가는 느낌도 매끄럽지 못하고 제 엔진에는 안 맞는 점도 였던것 같습니
다.
제 차는 오일소모현상이 좀 있습니다. 리퀴몰리 0w40을 사용하면서 5천킬로까지 대략 1리터를
보충해가면서 탑니다. 10w60은 이보다 오일소모현상이 심했고 프로피카 5w40역시 오일소모현
상이 심했습니다. 제가 알기론 리퀴몰리는 PAO성분이고 프로피카는 PAO & EASTER라서 단
지 에스테르 함유 때문에 소모량이 많겠지라고 생각도 듭니다. 예전에 토코 라는 제품을 사용했
을 때도 오일소모현상이 심했었습니다. 이 제품 역시 에스테르가 함유된 오일이라고 설명합니
다. 또하나의 추측은... 오일이 고온에 견디지 못해서 소모되는 현상일 수도 있겠다는 것입니
다. 하지만 위의 두 추측은 제가 테스트를 해보질 못해서 뭐라 말씀드릴 수가 없습니다.
예전에는 데이터없이 단지 몸으로 느껴지는 것에만 의존해서 오일을 사용하다보니 비싼오일을
넣었는데 당연히 좋겠지... 라고 생각되었던 플라시보 효과도 있었을 테구요. 지금은 또 너무
게이지에만 의존해서 판단해버리는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일반인이 그런 모든 사항을 직접
테스트 해볼 수만은 없으니까요.
제가 더 좋은 오일을 사용해 보진 못했지만 게이지 값 같은 것을 떠나서 모툴의 교환초기의 고
회전 느낌은 정말 좋았습니다.
아침저녁으로는 날씨가 꽤나 쌀쌀하군요. 어제 감기걸릴 뻔 했습니다. ^^
저렴한 제품이지만 유온, 유압게이지를 장착하면서 이런 저런 오일을 사용해 보았습니다.
점도별로 보면 0w40, 10w60, 5w40 정도 죠. 리터당 1만원정도부터 3만원을 넘는 오일을 사용
하면서 과연 그렇게 비싼 오일과 저렴한 오일의 가격차이가 제품 품질의 차이일까... 라는 의문
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비싼오일은 리퀴몰리사의 제품들이었고 저렴한 제품은 프로피카라는
아시는 분은 아시는 저렴한(?) 오일입니다. 위에 사용한 세 제품 모두 유온이 상승함에 따라
유압이 일정량 만큼 하락하게 되고 다시 유온이 내려가면 그만큼 유압이 오르게 됩니다. 5천킬
로를 주행할 때까지 유압의 변화도 모두 거의 없었구요. 가혹조건에서 130도를 찍는 유온은 세
제품 모두 동일했고 열간시(유온 90도) 아이들 유압은 리퀴몰리 10w60, 프로피카 5w40, 리퀴몰
리 0w40 순으로 높았고 유온이 90도- 120도로 변했을 때 유압의 변화폭이 제일 컸던 제품은 리
퀴몰리 10w60이었고 나머지 두 제품은 거의 비슷했습니다.
엔진 회전느낌은 0w40 과 5w40이 비슷하지만 후자의 경우가 조금 더 정숙하고 안정된 느낌이
었습니다. 실제 유압도 조금 높게 형성이 되구요. 10w60은 정말 별로였습니다. 부하를 많이 받
아서 그런지 엔진이 돌아가는 느낌도 매끄럽지 못하고 제 엔진에는 안 맞는 점도 였던것 같습니
다.
제 차는 오일소모현상이 좀 있습니다. 리퀴몰리 0w40을 사용하면서 5천킬로까지 대략 1리터를
보충해가면서 탑니다. 10w60은 이보다 오일소모현상이 심했고 프로피카 5w40역시 오일소모현
상이 심했습니다. 제가 알기론 리퀴몰리는 PAO성분이고 프로피카는 PAO & EASTER라서 단
지 에스테르 함유 때문에 소모량이 많겠지라고 생각도 듭니다. 예전에 토코 라는 제품을 사용했
을 때도 오일소모현상이 심했었습니다. 이 제품 역시 에스테르가 함유된 오일이라고 설명합니
다. 또하나의 추측은... 오일이 고온에 견디지 못해서 소모되는 현상일 수도 있겠다는 것입니
다. 하지만 위의 두 추측은 제가 테스트를 해보질 못해서 뭐라 말씀드릴 수가 없습니다.
예전에는 데이터없이 단지 몸으로 느껴지는 것에만 의존해서 오일을 사용하다보니 비싼오일을
넣었는데 당연히 좋겠지... 라고 생각되었던 플라시보 효과도 있었을 테구요. 지금은 또 너무
게이지에만 의존해서 판단해버리는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일반인이 그런 모든 사항을 직접
테스트 해볼 수만은 없으니까요.
제가 더 좋은 오일을 사용해 보진 못했지만 게이지 값 같은 것을 떠나서 모툴의 교환초기의 고
회전 느낌은 정말 좋았습니다.
2008.05.14 22:27:36 (*.111.249.15)

민근님 10w-60 은 전혀 안맞는 오일입니다 ㅎㅎ 겨울에 넣으시면
아침 시동이 참 힘들 정도일겁니다. 아 그리고 그 오일의 특징은
100도를 넘어가면 많이 부드러워집니다.(초기 시동시와 비교해서)
사실 점도가 무색하게 0w-40 보다도 묽어집니다만 더 이상 하락이
없습니다. 그대로 쭈욱이죠 결국 웜업을 많이 해야 하는 오일이고
사실 과급차나 혹은 대배기량에 어울리는 오일입니다.
비교하신대로 리퀴몰리의 0w-40 은 여타오일들 5w-40 과 거의
비슷한 느낌입니다. 유온,유압부분도 그렇고 부드러움도 그렇고
아이러니 하게도 5w-30 이 더 부드럽고 지속성도 좋습니다.
이전에도 말씀 드렸듯 회사마다 표기하는 점도가 서로 맞는다는
느낌은 안듭니다. 지금 계절엔 5w-50 몰리겐이 민근님 차에는
가장 잘 맞을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고회전에서의 오일소모는
베타의 경우는 거의 하드웨어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피스톤링과
실린더간의 클리어런스가 넓어진 경우가 그런 경우가 발생합니다.
물론 오일기유의 차이도 있지만 동일 하다는 전제하에 말이죠
그런 경우 저희는 1미리 오버 링을 구해서 실린더를 실측해서
가공 후 그 실린더에 맞는 클리어런스를 맞춰서 씁니다. 수입품중
유명한 모 회사의 피스톤의 경우 아예 튜너가 맞춰서 쓰도록
나오는 제품도 있지요 대체적으로 그런 클리어런스가 문제인 경우는
5천 이하의 알피엠에서는 아주 적은 소모가 3~4천 영역만 쓰면 거의
소모가 없지만 5천 이상으로 올리면 제법 보충할 오일이 좀 필요합니다.
다양한 엔진오일의 느낌 잘봤습니다.
아침 시동이 참 힘들 정도일겁니다. 아 그리고 그 오일의 특징은
100도를 넘어가면 많이 부드러워집니다.(초기 시동시와 비교해서)
사실 점도가 무색하게 0w-40 보다도 묽어집니다만 더 이상 하락이
없습니다. 그대로 쭈욱이죠 결국 웜업을 많이 해야 하는 오일이고
사실 과급차나 혹은 대배기량에 어울리는 오일입니다.
비교하신대로 리퀴몰리의 0w-40 은 여타오일들 5w-40 과 거의
비슷한 느낌입니다. 유온,유압부분도 그렇고 부드러움도 그렇고
아이러니 하게도 5w-30 이 더 부드럽고 지속성도 좋습니다.
이전에도 말씀 드렸듯 회사마다 표기하는 점도가 서로 맞는다는
느낌은 안듭니다. 지금 계절엔 5w-50 몰리겐이 민근님 차에는
가장 잘 맞을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고회전에서의 오일소모는
베타의 경우는 거의 하드웨어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피스톤링과
실린더간의 클리어런스가 넓어진 경우가 그런 경우가 발생합니다.
물론 오일기유의 차이도 있지만 동일 하다는 전제하에 말이죠
그런 경우 저희는 1미리 오버 링을 구해서 실린더를 실측해서
가공 후 그 실린더에 맞는 클리어런스를 맞춰서 씁니다. 수입품중
유명한 모 회사의 피스톤의 경우 아예 튜너가 맞춰서 쓰도록
나오는 제품도 있지요 대체적으로 그런 클리어런스가 문제인 경우는
5천 이하의 알피엠에서는 아주 적은 소모가 3~4천 영역만 쓰면 거의
소모가 없지만 5천 이상으로 올리면 제법 보충할 오일이 좀 필요합니다.
다양한 엔진오일의 느낌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