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안녕하세요, 4개월전 차를 하나 뽑고 나서,
운전경력 10년차에 다시 초보의 심정으로 매뉴얼을 익히고 있는 유령회원입니다.
그동안 저 혼자만의 차가 아닌 가족용 차를 가지고 다니는 이유로,
10년간 오토차량만 운행하다가 드디어 올해 마눌님의 허락을 얻어
수동 클릭 1.6을 구입하여 아직 수동 연수중에 있습니다.
지금까지 차에 해준것이라고는,
새차후 왁스 먹여주기와, 수온계가 없는 핑계로 구입한
이스트로*스 사의 국산 ODB2 게이지 - 다이*게이지 뿐이군요.
곧 KMSA에 들려 R튠과 레이싱 스쿨이수하여 선수(?)로 등록,
새로운 경험들을 하고 싶습니다만,
아직 차량도 2000Km를 겨우 넘겨 아직도 길들이기 중이고,
더더군다나 운전자 자체가 아직 길들이기가 끝나지 않아
아직도 2단 넣을까 3단 넣을까 고민하고 있기때문에
차일 피일 미루고 있네요.
이제 겨우 출발할때 시동꺼짐 없이, 불안할때는 사이드 신공도
펼쳐가며 출발할 수 있지만,
주행중에도 이럴까, 저럴까 고민을 수없이 하고있습니다.
지난 4개월간의 연수기간동안 계속 고민인것이,
다운쉬프트일때는 떨어진 RPM을 악셀양으로 보정하여
의도한대로 (성공률은 낮지만) 부드럽게 변속할 수 있지만,
저같은 경우에는 쉬프트 업할때 부드럽게 하기가 어렵습니다.
일단 초기에는 1단에서 2단을 넣고 클러치를 이을때,
RPM이 적정 수준까지 떨어지는데 시간이 걸려
그 시간을 기다려 클러치를 연결하는게 힘들더군요.
계속 덜컥 덜컥....
결국 지금은 포기하고 클러치를 부드럽게 반클러치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습니다만, 아직도 고민입니다.
이상 주저리 주저리 두서없는 수동초보 적응기입니다.
P.S. 6월 3일 KMSA 드라이빙 스쿨을 가고 싶지만 회사사정상 또 다음기회가 될것 같네요.
운전경력 10년차에 다시 초보의 심정으로 매뉴얼을 익히고 있는 유령회원입니다.
그동안 저 혼자만의 차가 아닌 가족용 차를 가지고 다니는 이유로,
10년간 오토차량만 운행하다가 드디어 올해 마눌님의 허락을 얻어
수동 클릭 1.6을 구입하여 아직 수동 연수중에 있습니다.
지금까지 차에 해준것이라고는,
새차후 왁스 먹여주기와, 수온계가 없는 핑계로 구입한
이스트로*스 사의 국산 ODB2 게이지 - 다이*게이지 뿐이군요.
곧 KMSA에 들려 R튠과 레이싱 스쿨이수하여 선수(?)로 등록,
새로운 경험들을 하고 싶습니다만,
아직 차량도 2000Km를 겨우 넘겨 아직도 길들이기 중이고,
더더군다나 운전자 자체가 아직 길들이기가 끝나지 않아
아직도 2단 넣을까 3단 넣을까 고민하고 있기때문에
차일 피일 미루고 있네요.
이제 겨우 출발할때 시동꺼짐 없이, 불안할때는 사이드 신공도
펼쳐가며 출발할 수 있지만,
주행중에도 이럴까, 저럴까 고민을 수없이 하고있습니다.
지난 4개월간의 연수기간동안 계속 고민인것이,
다운쉬프트일때는 떨어진 RPM을 악셀양으로 보정하여
의도한대로 (성공률은 낮지만) 부드럽게 변속할 수 있지만,
저같은 경우에는 쉬프트 업할때 부드럽게 하기가 어렵습니다.
일단 초기에는 1단에서 2단을 넣고 클러치를 이을때,
RPM이 적정 수준까지 떨어지는데 시간이 걸려
그 시간을 기다려 클러치를 연결하는게 힘들더군요.
계속 덜컥 덜컥....
결국 지금은 포기하고 클러치를 부드럽게 반클러치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습니다만, 아직도 고민입니다.
이상 주저리 주저리 두서없는 수동초보 적응기입니다.
P.S. 6월 3일 KMSA 드라이빙 스쿨을 가고 싶지만 회사사정상 또 다음기회가 될것 같네요.
2008.05.26 18:07:38 (*.192.187.141)

변속을 너무 빨리 하시는것 아닌지요? 프로선수들의 일반차량의 클러치 조작법을 보아도 전광석화처럼 바로 붙이기보단 어느정도 리듬감있게 턱! 턱! 떼는걸 볼수있습니다.
무리한 욕심으로 변속충격 생기고 그로인해 오히려 더 많은 시간과 속도를 낭비하고.. 클러치 열받아 후반에 슬립나는것보단 변속은 조금 느려지더라도 미션에 무리가 가지않는 변속이 더 중요하다고봅니다.
경기중에도 미션트러블로 리타이어 하는것보단 완주가 더 중요하니까요..
무리한 욕심으로 변속충격 생기고 그로인해 오히려 더 많은 시간과 속도를 낭비하고.. 클러치 열받아 후반에 슬립나는것보단 변속은 조금 느려지더라도 미션에 무리가 가지않는 변속이 더 중요하다고봅니다.
경기중에도 미션트러블로 리타이어 하는것보단 완주가 더 중요하니까요..
2008.05.26 19:02:30 (*.243.216.4)

그러고 보니 더블클러치에 대해서 질문이... 이해가 어려웠던 것이,
더블클러치를 하는 것은, 중간에 악셀을 쳐서 RPM 보정후 연결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단지 클러치만 두번 띄어서 중립빼고 다시 쉬프트 업하는 건가요?
T_T 모르면 물어봐야 하는데...
더블클러치를 하는 것은, 중간에 악셀을 쳐서 RPM 보정후 연결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단지 클러치만 두번 띄어서 중립빼고 다시 쉬프트 업하는 건가요?
T_T 모르면 물어봐야 하는데...
2008.05.26 19:46:29 (*.96.191.160)

http://www.testdrive.or.kr/bbs/data/hot_video_clips/Double_Clutch.MPG 일단 링크 클릭해서 감상 해보세요. 동영상을 보시면 클러치 밟고 중립빼면서 알피엠 보정하고 클러치 한번 더 밟고 변속하는걸 보실수 있습니다. 보기엔 쉬워 보이지만 차에 대한 이해없이 흉내만 낸다면 저렇게 정확하기 구사하기는 어렵습니다.^^
2008.05.26 22:08:28 (*.243.216.4)

차정민님~ 감사합니다. 기존에 힐앤토와 더블클러치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만 봤었는데, 이것도 있었군요.
그런데, 본 동영상에서는 다운쉬프트때 마스터님이 알피엠 보정하고 클러치를 밟으시는데,
제가 궁금하던것은 쉬프트 업 상황이라서요...
다운쉬프트 중 더블클러치는 열심히 연습하고 있습니다. 힐앤토는 아직 브레이크를 계속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안돼서요... T_T
김주영님: 어찌보면 변속을 너무 빨리, 즉 클러치를 너무 빨리 붙이는 것이겠죠. T_T 부드럽게~ 해야하는데...
그런데, 본 동영상에서는 다운쉬프트때 마스터님이 알피엠 보정하고 클러치를 밟으시는데,
제가 궁금하던것은 쉬프트 업 상황이라서요...
다운쉬프트 중 더블클러치는 열심히 연습하고 있습니다. 힐앤토는 아직 브레이크를 계속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안돼서요... T_T
김주영님: 어찌보면 변속을 너무 빨리, 즉 클러치를 너무 빨리 붙이는 것이겠죠. T_T 부드럽게~ 해야하는데...
게시판 검색해보세요~ 더블클러치 동영상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