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http://auto.joins.com/content/news_full.asp?num_code=26855&news_section=news&pageshow=1오토조인스에서 옮겨왔습니다...
가격대비 사양은 그리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특히 3.8 모델은 경쟁력이 있어 보이는 듯 합니다...
국내로 역수입해온다고 해도 경쟁력이 있지 않을까 싶네요...
향후 추이가 기대되(?)네요... ㅡ.ㅡ;;
3.8 기본형에 프리미엄 플러스 패키지 정도만 해도 $36K 정도이니, 대략 4천 초중반에 들여올 수도 있지 않을까요? (더 드나요? 잘 몰라서...ㅡ.ㅡ;;)
잼나는 시장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딱히 뭐라하기가 좀 애매하네요... 훔...
하기 기사 참조하시길...
[기사 원문]
현대자동차가 제네시스의 미국 가격을 확정해 발표했다. 290마력의 V6 엔진을 얹은 3.8 모델의 기본형 가격은 3만3천불(약 3천4백만원)이고, 375마력의 V8 엔진 모델은 3만8천불(약 3천9백만원)에서 시작한다고 한다.
현대차 상품 개발 및 전략 수립 부사장 존 크라프식(John Krafcik)은 올해 초 제네시스를 처음 선보였을 때 유럽 럭셔리 세단의 인테리어 패키지와 세계 수준의 운전 성능, 프리미엄 브랜드 엔트리-레벨차 수준의 가격을 갖출 것을 약속했다. 그러면서 이번에 발표된 제네시스 가격은 인피니티 G35나 BMW 3시리즈 기본형 보다 낮은 가격이라며 제네시스의 가격 경쟁력을 강조했다. 또 현대차는 보도자료에서 제네시스는 렉서스 ES, 크라이슬러 300, 캐딜락 CTS의 고객들과 경쟁하지만 성능과 편의장비는 1만불 더 비싼 차들과 맞먹는다고 주장했다.
국내에서 팔리는 3.8리터 기본형 모델 BH380 로얄모델의 판매가는 5280만원이다. 이는 미국에서 팔리는 가격과 약 1900만원의 격차다. 부가세를 뺀 국내판매가는 4800만원으로 여전히 1400만원의 차이가 난다. 4.6리터 모델의 경우 국내엔 판매되지 않고 미국에서만 판매되기 때문에 비교 대상이 없다. 미국에서 팔리는 3.8리터 모델과 한국 BH380 로얄모델은 기본사양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가격의 직접적인 비교는 힘들지만 미국으로 차를 보내는 물류비용에 엄청난 가격차이는 제네시스 가격에 대한 논란을 다시 한번 일으킬 것이다. 또 미국에서 차를 역수입하려는 일부의 움직임도 더 구체화 될 것이다.
한편 제네시스는 국내에서 현재 하루 평균 계약대수가 100여대 수준으로 출시 초기보다 판매가 급격히 떨어졌다. 데뷔 초 극심한 출고적체에 시달려야 했지만 지금은 계약과 거의 동시에 출고가 가능하다고 한다. 이는 대기수요와 신차효과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급차인 제네시스의 가격과 위치를 고려해 볼 때 제네시스의 현재 판매량이 저조하다고 볼 수는 없다. 참고로 현대차가 제시한 제네시스 올해 내수 판매목표는 3만5천대이며 4월까지 누적 판매량은 1만2천대, 5월 판매 예상치는 3천대 이하다.
- 제네시스 V6 3.8 -
== 기본 장비 :
3.8리터 DOHC V6 엔진, 시프트로닉 장착 아이신 6단 자동 트랜스미션, 전자 자세 제어장치 (ESC), 트랙션 컨트롤 (TCS), 안티-락 브레이크 (ABS), 17인치 알루미늄 휠, 225/55R17 타이어, 앞 에어백, 앞뒤 사이드 에어백, 커튼 에어백, 액티브 헤드레스트, 안개등, 오토 헤드라이트, 열선 사이드미러, 가죽 시트, 앞 열선 시트, 파워 시트, 크루즈 컨트롤, 푸시-스타트 버튼, 가죽 스티어링휠, 듀얼 프론트 오토 HVAC, AM/FM/CD/MP3/XM 라디오, 블루투스, 플로어 매트
== 옵션 :
HID 어답티브 헤드램프, 자동 와이퍼, 앞유리 자동 습기제거, 18인치 휠, 235/50R18타이어, 대쉬보드 도어 가죽트림, AM/FM/XM/인대쉬 6CD 체인저 15스피커 렉시콘 11채널 오디오, AM/FM/XM/인대쉬 6DVD 체인저 15스피커 렉시콘 11채널 오디오, 속도 감응형 볼륨 컨트롤, 8인치 LCD 40기가 하드드라이브 내비게이션, 뒤 자동 햇빛가리개, 메모리 시트
== 테크놀러지 패키지(4천불) :
렉시콘 디스크릿 오디오 시스템, 6CD 인대쉬 DVD 체인저, 8인치 LCD 40기가 하드드라이브 내비게이션, 후방 카메라, 운전자 정보 시스템 (DIS), 멀티미디어 컨트롤러, HID 오토레벨링 헤드라이트, 어답티브 헤드라이트, 앞뒤 주차 센서, 운전석 통풍시트
== 프리미엄 패키지(2천불) :
가죽 대쉬보드, 파워 썬루프, 메모리시트, 파워 틸트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칼럼, 자동 뒤 햇빛가리개, 렉시콘 15스피커 6CD 체인저, 자동와이퍼, 앞유리 자동 습기제거
== 프리미엄 패키지 플러스(3천불) : 프리미엄 패키지+18인치 휠, 235/50R18 타이어
- 제네시스 V8 4.6 -
== 기본 장비 :
3.8리터 기본사양 외, 4.6리터 DOHC V8 엔진, ZF 6단 자동 트랜스미션, 18인치 하이퍼 실버 알로이 휠, 235/50R18 타이어, 크롬 바디 몰딩, 울트라 프리미엄 가죽 시트, 가죽 대쉬보드, 도어 트림, 파워 썬루프, 파워 틸트,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칼럼, 메모리 시트, 렉시콘 15스피커 서라운드 시스템, 6-CD 체인저, 우드-가죽 트림 스티어링휠, 파워 리어 햇빛가리개, 자동 와이퍼, 앞유리 자동 습기제거
== 옵션 :
HID 어답티브 헤드램프, AM/FM/XM/인대쉬 6CD 체인저 로직7 인피니티 17스피커 렉시콘 11채널 오디오, AM/FM/XM/인대쉬 6DVD 체인저 15스피커 렉시콘 11채널 오디오, 8인치 LCD 40기가 하드드라이브 내비게이션
== 테크놀러지 패키지(4천불) :
렉시콘 디스크릿 오디오 시스템, 6CD 인대쉬 DVD 체인저, 8인치 LCD 40기가 하드드라이브 내비게이션, 후방 카메라, 운전자 정보 시스템 (DIS), 멀티미디어 컨트롤러, HID 오토레벨링 헤드라이트, 어답티브 헤드라이트, 앞뒤 주차 센서, 운전석 통풍시트
가격대비 사양은 그리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특히 3.8 모델은 경쟁력이 있어 보이는 듯 합니다...
국내로 역수입해온다고 해도 경쟁력이 있지 않을까 싶네요...
향후 추이가 기대되(?)네요... ㅡ.ㅡ;;
3.8 기본형에 프리미엄 플러스 패키지 정도만 해도 $36K 정도이니, 대략 4천 초중반에 들여올 수도 있지 않을까요? (더 드나요? 잘 몰라서...ㅡ.ㅡ;;)
잼나는 시장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딱히 뭐라하기가 좀 애매하네요... 훔...
하기 기사 참조하시길...
[기사 원문]
현대자동차가 제네시스의 미국 가격을 확정해 발표했다. 290마력의 V6 엔진을 얹은 3.8 모델의 기본형 가격은 3만3천불(약 3천4백만원)이고, 375마력의 V8 엔진 모델은 3만8천불(약 3천9백만원)에서 시작한다고 한다.
현대차 상품 개발 및 전략 수립 부사장 존 크라프식(John Krafcik)은 올해 초 제네시스를 처음 선보였을 때 유럽 럭셔리 세단의 인테리어 패키지와 세계 수준의 운전 성능, 프리미엄 브랜드 엔트리-레벨차 수준의 가격을 갖출 것을 약속했다. 그러면서 이번에 발표된 제네시스 가격은 인피니티 G35나 BMW 3시리즈 기본형 보다 낮은 가격이라며 제네시스의 가격 경쟁력을 강조했다. 또 현대차는 보도자료에서 제네시스는 렉서스 ES, 크라이슬러 300, 캐딜락 CTS의 고객들과 경쟁하지만 성능과 편의장비는 1만불 더 비싼 차들과 맞먹는다고 주장했다.
국내에서 팔리는 3.8리터 기본형 모델 BH380 로얄모델의 판매가는 5280만원이다. 이는 미국에서 팔리는 가격과 약 1900만원의 격차다. 부가세를 뺀 국내판매가는 4800만원으로 여전히 1400만원의 차이가 난다. 4.6리터 모델의 경우 국내엔 판매되지 않고 미국에서만 판매되기 때문에 비교 대상이 없다. 미국에서 팔리는 3.8리터 모델과 한국 BH380 로얄모델은 기본사양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가격의 직접적인 비교는 힘들지만 미국으로 차를 보내는 물류비용에 엄청난 가격차이는 제네시스 가격에 대한 논란을 다시 한번 일으킬 것이다. 또 미국에서 차를 역수입하려는 일부의 움직임도 더 구체화 될 것이다.
한편 제네시스는 국내에서 현재 하루 평균 계약대수가 100여대 수준으로 출시 초기보다 판매가 급격히 떨어졌다. 데뷔 초 극심한 출고적체에 시달려야 했지만 지금은 계약과 거의 동시에 출고가 가능하다고 한다. 이는 대기수요와 신차효과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급차인 제네시스의 가격과 위치를 고려해 볼 때 제네시스의 현재 판매량이 저조하다고 볼 수는 없다. 참고로 현대차가 제시한 제네시스 올해 내수 판매목표는 3만5천대이며 4월까지 누적 판매량은 1만2천대, 5월 판매 예상치는 3천대 이하다.
- 제네시스 V6 3.8 -
== 기본 장비 :
3.8리터 DOHC V6 엔진, 시프트로닉 장착 아이신 6단 자동 트랜스미션, 전자 자세 제어장치 (ESC), 트랙션 컨트롤 (TCS), 안티-락 브레이크 (ABS), 17인치 알루미늄 휠, 225/55R17 타이어, 앞 에어백, 앞뒤 사이드 에어백, 커튼 에어백, 액티브 헤드레스트, 안개등, 오토 헤드라이트, 열선 사이드미러, 가죽 시트, 앞 열선 시트, 파워 시트, 크루즈 컨트롤, 푸시-스타트 버튼, 가죽 스티어링휠, 듀얼 프론트 오토 HVAC, AM/FM/CD/MP3/XM 라디오, 블루투스, 플로어 매트
== 옵션 :
HID 어답티브 헤드램프, 자동 와이퍼, 앞유리 자동 습기제거, 18인치 휠, 235/50R18타이어, 대쉬보드 도어 가죽트림, AM/FM/XM/인대쉬 6CD 체인저 15스피커 렉시콘 11채널 오디오, AM/FM/XM/인대쉬 6DVD 체인저 15스피커 렉시콘 11채널 오디오, 속도 감응형 볼륨 컨트롤, 8인치 LCD 40기가 하드드라이브 내비게이션, 뒤 자동 햇빛가리개, 메모리 시트
== 테크놀러지 패키지(4천불) :
렉시콘 디스크릿 오디오 시스템, 6CD 인대쉬 DVD 체인저, 8인치 LCD 40기가 하드드라이브 내비게이션, 후방 카메라, 운전자 정보 시스템 (DIS), 멀티미디어 컨트롤러, HID 오토레벨링 헤드라이트, 어답티브 헤드라이트, 앞뒤 주차 센서, 운전석 통풍시트
== 프리미엄 패키지(2천불) :
가죽 대쉬보드, 파워 썬루프, 메모리시트, 파워 틸트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칼럼, 자동 뒤 햇빛가리개, 렉시콘 15스피커 6CD 체인저, 자동와이퍼, 앞유리 자동 습기제거
== 프리미엄 패키지 플러스(3천불) : 프리미엄 패키지+18인치 휠, 235/50R18 타이어
- 제네시스 V8 4.6 -
== 기본 장비 :
3.8리터 기본사양 외, 4.6리터 DOHC V8 엔진, ZF 6단 자동 트랜스미션, 18인치 하이퍼 실버 알로이 휠, 235/50R18 타이어, 크롬 바디 몰딩, 울트라 프리미엄 가죽 시트, 가죽 대쉬보드, 도어 트림, 파워 썬루프, 파워 틸트,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칼럼, 메모리 시트, 렉시콘 15스피커 서라운드 시스템, 6-CD 체인저, 우드-가죽 트림 스티어링휠, 파워 리어 햇빛가리개, 자동 와이퍼, 앞유리 자동 습기제거
== 옵션 :
HID 어답티브 헤드램프, AM/FM/XM/인대쉬 6CD 체인저 로직7 인피니티 17스피커 렉시콘 11채널 오디오, AM/FM/XM/인대쉬 6DVD 체인저 15스피커 렉시콘 11채널 오디오, 8인치 LCD 40기가 하드드라이브 내비게이션
== 테크놀러지 패키지(4천불) :
렉시콘 디스크릿 오디오 시스템, 6CD 인대쉬 DVD 체인저, 8인치 LCD 40기가 하드드라이브 내비게이션, 후방 카메라, 운전자 정보 시스템 (DIS), 멀티미디어 컨트롤러, HID 오토레벨링 헤드라이트, 어답티브 헤드라이트, 앞뒤 주차 센서, 운전석 통풍시트
2008.06.02 12:46:49 (*.192.187.141)

차량 역수까지는 모르겠지만 미국버젼 댐퍼, 스프링 역수입은 충분히 메리트 있어보이는군요 -_-; 미국지사에서 테스트해보고 마음에 많이 안들었나보네요.... 차라리 우리가 다시만들자고 할 정도면;;;
2008.06.02 13:43:09 (*.115.56.83)
업자마진포함 국내 3.8 풀옵션 사양보다 싸게 4.6풀옵션 가져올수있겠네요
어차피 제네시스도 3.3 모델이 주력이다 보니... 가격적 메리트가 없도록 한듯합니다
어차피 제네시스도 3.3 모델이 주력이다 보니... 가격적 메리트가 없도록 한듯합니다
2008.06.02 14:09:30 (*.133.223.158)

역수입에 따르는 비용은 관세 및 특별소비세 등으로 차값의 35% 정도에 운송료와 통관/검사 비용이 추가되는 것인데 운송료와 통관비로 잘만 하면 500-600에만 한다면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봅니다. 또한 미국시장에서 현대차가 MSRP 그대로 받지 않기 때문에 더욱 비용은 절약될 소지가 있는 것이죠.
2008.06.02 17:04:10 (*.25.141.250)

댐퍼 강화는 상당히 좋은 뉴스고 한편으로 국내버젼에 적용이 안된다면 많이 아쉽네요. 직접 시승해보니 휘청휘청하던데...
2008.06.02 18:23:32 (*.143.205.69)

4.6은 어느정도 실효성이 있는데 3.8은 그다지...., 없을것 같은데요
옵션사항 보니까 그렇네요 헌데 4.6이 얼마나 우리나라 시장에서
팔릴지 그리고 그런차를 찾는 고객층이 그런 복잡한 절차를 거쳐서
몇대나 팔릴지 의문입니다만....,
그리고 수출사양의 경우 부품주문 하려면 사업소에 가서 등록증
제시하고 수일씩 기다려야 하는데 소모부품 빼고 정비할때는
또 얼마나 번거로울지...., 현대가 그런것 다 계산하고 마케팅 전략
세우겠지요 아마도
옵션사항 보니까 그렇네요 헌데 4.6이 얼마나 우리나라 시장에서
팔릴지 그리고 그런차를 찾는 고객층이 그런 복잡한 절차를 거쳐서
몇대나 팔릴지 의문입니다만....,
그리고 수출사양의 경우 부품주문 하려면 사업소에 가서 등록증
제시하고 수일씩 기다려야 하는데 소모부품 빼고 정비할때는
또 얼마나 번거로울지...., 현대가 그런것 다 계산하고 마케팅 전략
세우겠지요 아마도
2008.06.03 03:00:02 (*.53.127.69)
어차피 풀옵이면 6천만원 중반대일텐데, 이차가 과연 그 가격만한 값어치가 될까? 하는 의문도 드네요.... 근데 가장 큰 문제는 내부 메뉴같은것의 한글 미지원 같은데요? 네비도 안될테고 말이죠...미국 지도가 뜨겠죠? 현대가 또 지도디스크만 바꾸면 바로 한글 뜨도록 만들지는 당연히 아닐테고 말이죠... 그러니까 현대에서 "할테면 해봐라" 하는거겠죠. 물론 네비등 해당 유닛을 아예 국내버젼으로 바꾸는 방법도 있겠습니다만, 그렇게 할사람이 있을까요? 될지도 의문이구요. 이건 뭐 유닛 통채로 사다가 바꿔보는것밖에 실험할 방법이 없을텐데 말이죠...
동력 특성이 많이 다르려나요? 두 메이커의 특성을 자세히 몰라서요... ^^;;
그리고 서스팬션 세팅도 좀 다른가 봅니다...
아래와 같은 글도 있네요...
-------------------------------------
미국판 제네시스는 한국판과 분명히 다를 것이라는 설명이다. 미국 법인에 따르면 미국판 제네시스는 한국판보다 스포티한 주행성능을 끌어내기 위해 서스펜션을 전반적으로 손봤다고 한다. 한국 판매 모델 대비 전륜에 31%, 후륜측에 13%를 강화한 스프링을 장착한다는 내용도 전했다.
미국판 모터트렌드는 ‘GM에서 일했던 웬델 콜린스 주니어(Wendell Collins Jr.)가 이끄는 현대의 미국 엔지니어링팀이 미국형 제네시스의 서스펜션을 다시 손봤으며 미국 시장을 위해 더 단단한 스프링, 쇽, 댐핑을 갖추도록 설계했다’고 보도했다. 또 ‘미국 시장용 제네시스는 편안함을 유지하면서 물렁물렁한 느낌은 최대한 배제하도록 만들어졌다’는 현대 아메리카의 주장 또한 실었다.
훔...
얼마나 좋아지는지 모르겠습니다...
몇몇 시승기에서 나온 고속에서의 안정성도 좀 더 나아질 지도...
미국 시판용 제네시스의 시승기도 빨리 보고 싶어지네요...
권규혁님의 시승기가 함께 기대되기도 합니다...(갑작스레 규혁님을 언급하여 죄송합니다... ^^;;)
미국에 계신걸로 알고 있어서요... 양해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