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타 사이트에 다음과 같은 댓글이 달려있더군요.
------------------------------------------------------
1.클러치 밟은 상태에서 악셀 밟는것 - 엔진만 회전하고 미션은 회전을 안함
2.클러치를 떼고 중립에서 악셀 밟는 것 - 엔진과 미션이 둘다 회전함
-----------------------------------------------------
결론은 미션을 보호하기 위해 더블클러치를 사용해야 된다는 것인데, 요새 차들은 싱크로가 좋아졌기 때문에(어떤점에서?)
원클러치로 해도 더블클러치와 같은 효과를 얻기 때문에 할필요가 없다는 견해도 있더군요.
진실은 어떤것인지?
저 같은 경우 투스카니 2.0 수동으로 원클러치 레브매칭으로 다운시프팅 하는데, 위화감없이 잘되더군요.(미션 보호는 안되고 있던 것일까요)

1번 항목은 변속기 내부의 회전관성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다면 오해의 소지가 있네요. ^^;
정답이라고 하기엔 뭐하지만 말씀하신대로 싱크로 기구와 기어 형상이 좋아진 덕에
요즘에는 웬만해서는 굳이 더블 클러치를 쓰지 않아도 변속 자체는 큰 무리가 없습니다.
물론 더블 디클러치를 한다면 조금이나마 변속기에 덜 무리가 가겠죠.
하지만 달리는 내내 과격한 주행과 변속을 일삼지 않는 이상,
더블 디클러치를 쓰지 않는 것이 변속기 수명에 큰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더블 클러치를 쓸 줄 알면 굳이 안쓰는 것 보다는 쓰는 것이 나을 것이라 믿고 쓰고 있습니다. 버릇이 되어서 그닥 불편을 느끼지도 않고요. ^^

리플 보신 대로 클러치를 밟으면 미션의 입력축이 안돌기 때문에 절대로 원클러치와 더블클러치의 효과가 같을 수가 없습니다. 다만 별 차이가 없다는 것은 요즘 차들은 멀티콘 싱크로나이저를 쓰기 때문에 기어가 잘 들어간다는 뜻이지만 그런 차들도 더블 클러치 쓰면 기어가 더 부드럽고 빠르게 들어갑니다. 과거 운전초기에만 원클러치 쓰고 그 이후 계속 더블클러치를 쓰지만 더블이라고 더 늦게 기어변속하는 것도 아닙니다.
결론은 변속기 내구성과 부드러운 필링을 원한다면 더블클러치 그렇지 않거나 자신없으면 원클러치죠.

호랭이 담배 피우던 먼 과거 싱크로나이저 링이 없는 수동변속기의 경우 각 단 기어의 회전 수와 칼라의 회전수가 맞지 않으면 dog teeth의 치합이 이루어지질 않았습니다. 그래서 더블러치를 사용했던 것이구요.
싱크로나이저 링이 들어있는 경우 칼라가 기어의 dog teeth를 향해 들어갈 때 그 사이에서 내경의 테이퍼 면이 마찰을 해 줌으로써 둘 사이의 회전수를 맞춰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간단하지만 수동변속기의 구조에 대해 알기 전에는 절대로 이해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글로 된 설명들 보다는 수동 변속기의 구조를 직접 찾아보시는게 이해하시기에 수월할 것 같습니다.

더블 클러치 사용하기 전엔 모르지만 일단 빠르게 할 수 있게 되면 더 좋다는 걸 느끼게 됩니다.
저항감 없이 입력축과 출력축이 1:1 다이렉트로 맞 물리는 깔끔한 맛..

1. 평생 타실 차입니까? 혹은 워런티가 끝난 후에도 오랜 기간 탈 예정이고 그 동안 트랜스미션이 극상의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까?
2. 클래식 카입니까?
3. 미션의 상태가 좋을수록 중고 가격이 올라가는 차입니까?
셋 중 하나라도 (Y)라면 더블클러치를 추천합니다.
저 정말 궁금한데 더블을 익숙하게 쓰시는분중에 굳이 다시 싱글클러치 쓰시는분 계신가요?
선수인데 랩타임때문에 싱글쓴다.. 그런거 말구요,. 그냥 자기차 평소 모시는분들중에서요..
더블을 잘쓰는분이 "더블이나 싱글이나 미션내구성에 별차이 없어" 하면서 싱글을 쓰시는분이 계실지..궁금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다운쉬프트시에는 거의 더블로 변속하는데요. 업쉬프트는 정말 귀차니즘 대비 할 이유가 없는 것같고, 다운쉬프트일경우에도 변속차이가 심하지 않아 스무스하게 들어가는 상황이면 스킵합니다.(노말한 주행시 5-4 혹은 4-3정도) 이유는 단 한가지 귀찮아서이구요.. 다만 12년이 넘어가면서 변속기 상태가 최상이지는 않아서, 추운겨울(-5도이하)에 아침에 시동을 건후 미션오일이 데워지기 전까진 업쉬프트시에도 더블로 안밟으면 기어가 아예 들어가질 않거나, 이가 갈리는 경우가 가끔 있어서 데워지기 전까진 업시에도 더블로 밟을수밖에 없더군요.

http://www.testdrive.or.kr/index.php?document_srl=316946&mid=qna
참고하세요
원클러치와 더블클러치에는 분명이 차이점이 존재하고
싱크로가 구비된 요즘차라고 해서 원클러치가 더블클러치의 효과가 같을 순 없죠
그냥 운전자 입장에서는 기어가 들어가니 별 차이가 없다고 생각할 수 는 있겠지만....

저는 씽크로 상태가 안좋은 차량 외에는 그냥 원클러치로 하는데, 확실히 더블클러치기 기어가 빨려들어가는 느낌이 좋긴 하죠. 익숙해지면 더블이건 원클러치건 그냥 무의식적을 하게 된다는..

영화 트와일라잇에서 인디안 청년이 벨라에게 오래된 트럭을 건네주며
"변속할때 클러치 두번 밟는거만 빼면 괜찮아~~" 그랬던 거 같아요....^^;
모 저는 어쩌다 써 먹을만큼만 연습한 이후 실제로 하지는 않아요...
요샌....그냥 논클러치 변속을 자주 씁니다.....어떨땐 다운도.....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