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맨날 들어와 글을 보면서.. 처음으로 질문란에 글을 쓰네요..^^:
아우디 a3 1.8t 콰트로 모델(8L)입니다.. 수동...
1~2단에서는 부스트가 정삭정으로 터지는데.. 3,4,5 단으로 넘어가면 부스타가 터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터보 차량을 처음 접하는 거고... 아우디 차종을 처음 접하는 지라.. 어느 부분이 문제 인지 잘 모르겠네요..
현재 아펙시 avc-r 이 달려있는데.. 이부분이 잘못 셋팅 되서 그런지..
아니면 질문란에 검색해보니.. 부스트가 안터지는 상황이.. 에어플로우 센서의 문제라고도 하는데.....
정확히는 아니고.. 대략적으로 어느 부분이 문제 일까요??

아마.. 그차 인듯 합니다. ^^ 저도... AVC-R 셋팅에.. .기대하고 있지 않습니다.. 오히려 끄는게 좋을듯 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재원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메뉴얼은 있는데요.. 터보차가 처음이라 그런지... 듀티값 설정을 어떻게 해야되는지 도통 모르겠더라구요.. @,,@ 부스트는 AVC-R에 모니터링 되는 최대 부스트 확인뒤 그 안에서 설정을 하면된다! 라고 써져 있어서.. 이해가 되는데요(솔레노이드 밸드 즉 셋팅을 오프 시킨상태에서) 듀티는 어떻게 설정 하라는데... 도통.. ㅜ..ㅜ 머리가 나쁜가봐요... ㅜ..ㅜ 듀티값 설정을 해야... 각단별 셋팅이라도 어떻게 해보는 걸 도전해 볼텐데... 메뉴얼만 3번째 정독 하고 있습니다..
저도 첨엔 엄청해맸습니다...ㅎㅎ 아펙시가 기능은 많은데 복잡해요...^^;; 일단 주행시에 풀부스트로 한번 달려보세요~ 세팅 A,B 둘다 달려보시고 OFF일때로 한번 달려보세요.. 그러면 부콘을 껏을때와 각각의 세팅모드일때의 피크 부스트가 뜰겁니다~ 혹시나 터빈 특성에 따라 틀리긴 하지만 토크가 죽는다는 느낌이 드는 rpm대의 듀티값을 올려보세요~ 그리고 f/b speed의 값을 3단4단5단의값을 5보다 큰값으로 바꿔보세요~아까 리플로 말씀드린 각단에서의 듀티값을 올리는것은 메뉴얼 30페이지에 start duty값을 조정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래도 안될땐 사람불러야할것같습니다^^

친절 설명 감사합니다.. 써주신 내용은 전부다 이해가 되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근데 제가 이해가 않되는건 듀티값을 구하는 겁니다.. 메뉴얼에 "목표부스트압이 1.0kg/㎠로 하였을 경우, 2.에서 계측한 최대부스트압이 0.4kg/㎠일때 설정듀티를 70%정도 0.8kg/㎠ 일때 설정 듀티를 40%정도의 눈끔을 설정합니다" 라고 써져 있는데.. 도대체 70%와 40%는 어떻게 나오는지 @,,@ 이해가 되지 않구요... 듀티값이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주기 분에 솔레노이드 벨브 on시간 곱하기 100인데... 솔레노이드 밸드 구동주기와 on시간을 어떻게 아는지 도 메뉴얼을 아무리 읽어봐도 모르겠네요.. ㅡㅡ;; 난독증인가... ㅎㅎㅎ 친절히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조금만더.. 알려주시면..ㅎㅎㅎ(이래서 사람이 무섭나봐요.. 자꾸 더 원하네요) * 그러고 보니.. 성함이 제가 아는 분이랑 같으신데...지금 gtr33을 타신다면.. 혹 전에 mr2 타시던 분이 아니신가요?(야생마님??) ^^ 혹시나 해서요...ㅎㅎ 답변 감사드리구요.. 좋은 하루되세요.. ^^

아... 이렇게 써주시니 이해가 쉽네요.. 그러면 결과적으로 내가 원하는 부스트에 얼마나 빨리 올라가느냐 라고 간단하게 생가해도 되겠군요.. .어차피 메뉴얼상 보니.. 어느정도 자가 학습? 을 해서 보정을 하는거 같더군요,.,. ^^ 그러니.. 목표부스트가 1바고... 내차의 최고 부스트가 0.4면 1바가 되는데.. 까지 랙을 줄일려면... 듀티값을 올려 예 처럼 80%정도로 하여 그 갭을 줄인다는 개념인거 같네요.. ^^ 설명 감사합니다.. 제가 아는 분이 아니라 아쉽네요.. 그분이면.. 좀 만져달라고 졸를라 했는데 ㅎㅎ 좋은 하루되세요.. ^^

AVC-R이 ECU로 가는 boost signal을 속이지 못한다면, ECU가 오버부스트를 감지하고 limp home으로 가서 부스트가 안뜨게 될 수 있습니다. VAG 1.8T 엔진은 그게 좀 빡쎄요. (칩튠을 해도 limp home으로 가는 경우들이 있다는...)
vwvortex에서 wiring guide 찾아보니 부스트를 속이지는 않네요. 보통은 diode tune 같은 걸 해서 ECU로 가는 boost가 일정값 이상을 넘지 않는 것처럼 보이게 합니다. 현재 차 세팅이 AVC-R 외에 무엇이 더 되어 있는지 아는 것이 더 필요하겠네요.

흑. 급하게 썼더니 이해하기 어려운 글이 되어버렸나봐요.
AVC-R은 속도와 RPM을 파라미터로 해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duty cycle을 직접 제어하는 방식일텐데요,
문제는 1.8T ECU가 부스트를 직접 제어하는 방식이라는 것입니다(Bosch ME7).
예를 들어, ECU는 3단 5000rpm 풀로드에서 0.6바가 나오도록 점화시기/연료량/듀티사이클을 지시했는데, AVC-R에서 설정한 값인 1바가 뜨게 되면 ECU는 이 상황을 (잘못된) 오버부스트라고 판단을 하게 되는거죠.
오버부스트가 감지되면 ECU가 점화시기/연료량/듀티사이클(이놈은 AVC-R이 이미 장악했으니 ECU가 어떻게 할 수 없겠지만)을 빼서 차량의 출력을 줄여버립니다. = ECU의 림프홈 모드.
따라서, 1.8T 엔진에 AVC-R을 장착할 때의 트릭은 ECU로 들어가는 부스트 센서 선에 4.7V 다이오드를 하나 달아서 일정 값 이상이 들어가지 않도록 ECU를 속이는 것입니다.
궁금했던 것은 작업된 차량에 이 트릭이 적용되어 있냐 하는 것이었구요. ^^;
ACV-R 세팅만으로 해결이 되면 좋겠지만 잘 안될 경우 이 부분도 한 번 점검해보셔야 할듯 하네요.
오히려 1,2단에서는 피크부스트를 보기 힘들고 3,4,5단에서 피크부스트를 경험하게 되는데요.
1.8T에 AVC-R 단 차는 처음 봅니다(얼마전 모 중고차 사이트에서 보이는 그 차인가요?). 세팅이 잘 되었을거라고 기대하기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