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직수입 및 인증관련 게시물을 정독한 후 많은 궁금증이 해소 되었습니다.
다만 직접 구매하려는 차가 아무래도 일반적인 차량은 아니기에 다른 부분은 제쳐두고 배기가스와 소음인증의 난이도가
어떠할지 판단이 서질 않습니다,
차량은 7500마일 남짓한 2010년식 콜벳 ZR1 수퍼차져 차량이고 휴스턴 현지에 가서 차량확인 및 결재 후 항까지 인도해 주는 조건으로 인보이스를 받았습니다.
포워딩 및 통관은 그닥 어려울것 같지는 않은데, 직접 인증과정을 진행하려고 하다보니 이게 어떨지 감이 서질 않네요.
대부분의 글에서는 OBD2 타입 신차에 가까운 연식&주행거리의 차량은 인증에 큰 문제가 없다고 하시고..
어떠한 글에서는 고출력 과급차량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들 하시고..
자영업이어서 시간이 많이 남는 편이라 직접 도면그리고 관계기관을 쫒아다니는건 큰 문제가 안되는데 배기가스
및 소음은 전혀 예상이 되질 않네요.. 한참 인증 시도하다가 결국 대행을 맡긴다면 그또한 비극이 아닐 수 없지만..
가급적이면 경험삼아 제 스스로 해 보고 싶습니다.
혹시 ECM 롬 플래싱을 할 수 있다면 디튠해서 출력이나 배기가스 수준을 순정보다 줄인다면 어떨까요? 워낙 배기량이 크다보니 그것도 한계가 있겠지만..
미국에서 가져온 SRT6 차량 직접 인증하신 어떤 회원분의 글을 읽고 갑자기 용기가 생기기도 했습니다.. ^^
진심으로 조언 부탁 드리며 모든 답글에 미리 감사 드립니다. ^^
제가 알아보다가 느낀 주관적 경험이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인증업체들만의 노하우도 인증에서
중요 요인 인것 같더라는
제 생각입니다
지금하시는 멋진 일들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스면 하네요

그 SRT-6수입해서 인증받아 타다가 최근에 매각하고 S80 D5구입했으나, 재도색 차량인거 발견하고 신차로 교환받아 타고 다니는 사람이 접니다-.-;
차량수입의 A-Z(제가 아는한...)을 설명드릴테니 부담없이 연락주세요...
은근 절차가 복잡하고 빼먹으면 낭패 당하는 포인트 몇개가 있습니다...

작년 12월에 제 차량을 직접 인증받았습니다..
차를 싣기 전에 캘리포니아에 있는 딜러에서 캘리포니아 기준에 맞는 배기 기준으로 워런티 서비스를 받아오세요..
그리고 한국에서 환경검사 하면 문제가 없을 겁니다...
검사전에 리프트에 띄워서 육안으로 확인하는데 촉매의 갯수가 순정과 동일해야 하고 촉매를 교체하는 것은 괜찮습니다.
소음검사는 배기에 무슨 짓을 해도 괜찮습니다...
추가로 촉매를 걸든지, 레조네이터를 걸든지 확인하는 절차가 없습니다..
배기를 새로 짜서 장착해도 무방합니다..
환경검사와 소음검사를 동일한 날에 함께 하지않아도 되므로 하나 하나 해가시면 문제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국내에서 개인이 자동차 수입하려면 생산자 면허 취득하셔야합니다-.-;
그리고 vin #알아내셔서 미리 인증신청하시기를...
생각보다 오래 기다려야합니다...

얼마전에 교통환경연구원? 에 전화 했더니 여직원이...
걱정하지 말라고 위로해 주더군요.. 너무 겁먹지 말라고 ^^; 떨어지면 도와줄 것도 아니면서...
그리고 신청후 거의 기다리지 않고 바로 된다고 하는데.. 요즘 인증 차들이 많이 없나봐요..
신청절차는 이래저래 다 파악해 놨는데 윤중님 말씀처럼 막상 닥쳤을때 발생하는 변수가 많겠지요..
신수철님.
켈리포니아 배기가스 인증 워런티는 어떤 개념인지 간략하게 개념설명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예전에 답해주셨던 유사글을 참고해 보면 켈리포니아가 상당히 까다로운 에미션 규제가 있어서 켈리포니아에 소재한
쉐보레 정비딜러에 가서 "무상" 으로 켈리포니아 에미션에 맞게끔 배기가스 조정을 받으라는 말씀이신지요?
그리고 켈리포니아 배기가스 워런티를 받은 후 이에대한 인증 서류를 차후 국내 반입후 환경인증시 제출하면 별 문제없이 통과가 가능하단 말씀으로 이해해도 될까요?
그리고 노이즈의 경우.. 배출가스 통과 후 그냥 아무 대형 승용차용 레조네이터를 임시로 달아서 일정 이상의 소음으로 감소 시키면 특별히 문제가 없을까요?

2008년에 C6 콜벳 신차를 수입해서 인증도 받고 타고 다녔었죠.... 콜벳 참 멋진차 입니다. ZR-1은 더하겠죠
직접 수입은 윗분도 써 놓으셨지만 개인이 못하는 걸루 알고 있습니다.
콜벳은 깜박이가 노란색 점멸부분이 없어서 저 같은 경우는 일본버전 깜박이를 사서 인증할때 사용했습니다. 아마도 제가 중고로 팔때 같이 드렸으니 수소문 하면 분명히 있을겁니다. ^^
그리구 배기가스는 통과하는데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차 상태만 좋다면) 필요시에는 업자들 같은 경우는 ECU 보다는 촉매를 이용하더군요
그런데 문제는 소음입니다.
저도 소음 때문에 3번 낙방했죠 마지막에는 저보다 더 시끄러운 말이랑 소 검사할때 낑궈 넣었습니다. ^^
머플러 소음도 소음이지만 타이어 소음도 신경쓰셔야 합니다. 소음 측정은 일정한 구간에서 달리며 측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검사원이 어떻게 해주느냐가 솔찍히 당락을 좌우합니다 ㅠ.ㅜ 그때 당시 제 차는 순정 런플렛과 285라는 싸이즈 문제로 타야 소음도 심했고 나중에는 다른 휠에 소폭의 세단형 타이어낑궈 넣었고 우스꽝스러운 콜벳이 되버렸죠 머플러에는 온갖 소음 줄이기 위한 철쑤세미 같은것 잔뜩넣어서 폭발 일보 직전이었구 스로틀 바디 앞 부분에어 덕트에도 꼬챙이 비슷한 뭔가 꽂아 넣으니 센서 인식이 이상해 지는지 출력다운 되더군요.....
대략 이런 저런 일을 하구 랙카로 몇번씩 떠서 다니구 임시 번호판 발급 받구 쉬운 일이 아닙니다. 시간두 시간이지만 돈두 들어가고 스트레스는 말할것도 없죠
C6가 이렇습니다. 스틱도 아니고 오토였죠 ZR-1 업자들도 쉽지 않을거예요 저도 콜벳을 좋아하는 1인으로 이렇게 긴글을 썼지만 책임질수 있는 정직한 업자 찾아서 멋진차 수입,인증하세요 ^^

흠... 그렇군요.. 소음이 또다른 문제네요..
ZR-1 뒷타이어가 305인데 타이어쪽도 큰 변수네요..
소음과 촉매추가 부분은 별도로 샵에서 작업을 해 가야 겠네요.. 흡기 레조네이터도 승용 것으로 개조하고..

헐....
이번에 쉐보레에서 출시하는 콜벳에 Z06이 포함된듯 하네요.. 505마력 7111cc 수동.
이것저것 준비하던 찰라에 갑자기 아구가 맞아 들어가는 느낌이 드네요..
일단 내일 신차발표회 갔다 온 후 고민좀 해 봐야 겠습니다.
리포트 하겠습니다. ^^
있습니다 당시 느꼈던 것은 대행 업체들의
경우 에쿠스용 머플러를 계조해 사용하고
약간의 문제의 경우에는 편법을 이용한다
고 했습니다 그 변법이라는것이 담당공무원
과의 관계 정도로 이야기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과급대배기량 차와 관련된 일이 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