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고속 도로 주행을 하면서 느낀점입니다.


저는 주로 80 ~ 110의 속도로 달리고.

아무래도 오르막에선 좀 속도가 줄고, 내리막에서 좀 더 달리겠죠.

연비 운전 스타일이라서 거의 밟고 다니지 않습니다. 

물론 밟는다고 나가는 차도 아니고요. ^^;;;


추월을 위해서 1차로로 잠시 진입하는건 매우 피곤한 일입니다.

1차로를 광속으로 질주하는 차들이 거의 협박식으로 운전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저 멀리서 상향등 깜박해주는건 매우 매너있는 경우 입니다. 

저는 충분히 안전한 거리를 두고 다시 2차로로 빠질 수 있거든요.


근데 분명히 저 멀리서 제가 트럭을 피해서 추월을 하는것을 봤음에도.

광속으로 질주해와서..수 미터 간격으로 제 차 바로 뒤에 붙어서 밀어 붙이기식의 운전을

하는 차들도 있습니다..저도 열심히 밟고 있습니다만. 백미러 가득하게 바짝 붙어서..

얼른 비키라고 운전하는 '인간'들을 보면..(이런분들은 상향등, 경적 아무런 의사 표시 안합니다.)

앞차에 무슨 문제가 생겨서 갑자기 급정거 할 일이 생기면 어쩌려고 저렇게 바짝 붙어서

고속 주행을 하는지..무슨 배짱인지..참으로 궁금할 따름입니다.


공도 주행은 혼자 하는게 아니고, 자신의 앞뒤옆 반대편 운전자 모두 같이 운전을 하는 겁니다.

자신만 운전을 잘하면 되는게 아니고, 도로위에 있는 모든 운전자가 서로 서로 매끄럽게 운전을

할 수 있게 배려하고 주변 상황을 항상 살피고, 만약에 일어나는 돌발 상황에서도 피해를 최소할 수

있게 충분한 간격(특히나 고속 주행일 경우) 유지도 필요하고요.


차들이 점점 고성능화가 되어서 그런지.

자신의 차를 제외한 다른 사람의 차는 마치 장애물 취급하는 운전자도 같이 늘어나는것 같습니다.

장애물을 멋지게 잘 피해가면 자신이 마치 운전을 굉장히 잘하는 것 같은 착각을 하는것 같기도 하고요.


이제 막 포장을 뜯은 새차. 20년이 넘은 차.

오르막도 막 달려가는 차. 오르막만 나오면 허덕이는 차.

이제 막 운전을 시작한 운전자. 20년이 넘게 운전하시는 분들.


모두가 같이 같은 도로를 달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