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갑자기 지나가던 코란도C를 보며 생각이 들었습니다.
얼마전 저마력버전 (149마력 36.7토크)의 코란도C가 수동변속기 전용모델로 출시되었죠.
연비는 구연비기준이겠지만 무려 20.1km/L 가격은 기본형이 2035만원입니다.
기본형이라도 안전장비는 대충 갖춰져있는데 사이드&커튼 에어백은 60만원짜리 옵션이군요.
기타 좀 아쉬운 점은 안개등이 없고 휠이 16인치이고 루프랙도 없고 리어스포일러도 없어서 모양새는 좀 빠지겠군요.
그래도 국내메이커 중 최초로 저마력/고마력 버젼을 나눠서 판매해주고, 수동변속기 전용이기는 하지만
연비가 획기적으로 개선되었기에 경쟁력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칭찬해 줄 만한 일이지요.
다만, 이걸 보고 투산ix나 스포티지R의 가격표도 대충 찾아보니 2000만원 언저리에서 수동변속기 모델 가격이 스타트하고 있고, 그걸 보면 코란도C의 가격경쟁력은 그닥 높지는 않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옵션은 자세히 비교해보지는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
유럽엔 이미 고마력/저마력 버젼의 구분이 일상화 되어있죠. 마력수나 CO2 배출량에 따라 세금이 달라지기 때문이라 들었습니다.
실제로 저마력버젼도 타보면 괜찮은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에도 파사트/골프가 140마력/170마력으로 출시되었었죠. 170마력 파사트타다가 140마력 파사트타도 그리 큰 차이는 별로 느껴지지 않더라구요. 최고속도 고작 5km/h 차이였구요.
프랑스에서 르노 라구나 2.0 dci 130마력 버젼을 타고 다녔었습니다. 130마력도 길들이니까 잘 나가더라구요. 아우토반에서 225km/h도 찍구요.
디젤의 힘의 원천은 주로 중속토크이기에 4500rpm에서 나오는 최대출력은 최고속 뽑을때 말고는 별로 사용되는 영역이 아니라 생각되는데 국내 소비자들의 반응이 궁금합니다.
가장 큰 걸림돌은 물론 수동변속기 전용모델이라는 점이겠지만, 실제로 차를 고르면서 별로 사용하지 않는 최고마력에 너무 집착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글을 남겨봅니다.
하지만 또 고마력 버젼이라고 그렇게 연비가 나쁜 것도 아니고, 참 헷갈립니다 ^^

네 그렇죠 평상시엔 100마력 정도면 충분하죠~~~^^
예전에 투싼 살때 수동 기본형이 1500정도였는데....요즘은 2천부터 군요...ㅋㅋ

당연히 수동변속기버전이라면 저마럭, 저토크로 셋팅하지요
이번 12년형 포터, 봉고의 경우 출력은 133마력 최대토크는 26 버전입니다
원래 엔진은 기본출력 150마력, 170마력 VGT버전 있지만 수동변속기일 경우
토크는 33 이내로 제한합니다
엔진 및 변속기의 내부 부품, 클러치등 내구성을 위해서죠
하지만 연비면에서 별로 도움이 안되서 운전자들 의견으로
5만원(27리터) 주유시 리터당 9km 이상(220km 이내) 주행하려면 쉽지 않죠...
이번 12년식 5단 오토밋션버전을 주행을 했는데....
거의 2,000rpm을 안넘기기에 연비는 거의 300km이상 주행가능 하더군요
물론 4단 오토밋션버전 대비 했을때 입니다....
그냥 젠쿱용 6단오토밋션이라면 어떨지 궁금합니다....
출력제한으로 굿이 의미가 없지요......
코란도C 수동 저출력버전.... 220마력 트윈터보버전이 나오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고유가영향으로 보류중이라고 하네요...
마력이 높은 차를 탈수록 최고 마력을 사용하는 횟수가 많아지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