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보통 터보튜닝을 하게되면 오픈형 필터가 되고
순정의 플라스틱박스나 격벽은 전부 제거가
되는데요
어차피 공기가 터빈을 지날때 고온의
배기하우징 옆을지나고 압축되며 온도 상승
된것을 인터쿨러로 식히기에
터보차는 흡기격벽 및 에어홀등이 전혀 도움이
안된다고 들어왔습니다
그런데 최근 스마트폰 OBD어플로 흡기온을
보게 되었습니다 요즘 날씨로 65도
나오더라구요 정차시에비해 달릴때도 크게
내려가진 안더라구요... 좀 높은것 아닌가요?
엔진룸 열고 보니 룸자체 온도가 워낙높고
라지에이터 팬 돌때 후끈한 바람이 필터쪽으로
향하고... 혹시 터보회원님들 흡기온은 어떠신가요?
순정의 플라스틱박스나 격벽은 전부 제거가
되는데요
어차피 공기가 터빈을 지날때 고온의
배기하우징 옆을지나고 압축되며 온도 상승
된것을 인터쿨러로 식히기에
터보차는 흡기격벽 및 에어홀등이 전혀 도움이
안된다고 들어왔습니다
그런데 최근 스마트폰 OBD어플로 흡기온을
보게 되었습니다 요즘 날씨로 65도
나오더라구요 정차시에비해 달릴때도 크게
내려가진 안더라구요... 좀 높은것 아닌가요?
엔진룸 열고 보니 룸자체 온도가 워낙높고
라지에이터 팬 돌때 후끈한 바람이 필터쪽으로
향하고... 혹시 터보회원님들 흡기온은 어떠신가요?
2012.05.20 12:48:31 (*.236.178.226)
일반적으로 터보 인터쿨러를 통해 냉각 후 연소실로 들어가기때문에 냉각수 수온 보다는 낮을거 같은데요. 인터쿨러 냉각전에 110', 냉각후 51'까지 내려가구요. 제 경우 예열후 58', 고알피엠 사용후 80'정도 나옵니다.
2012.05.20 23:31:57 (*.179.91.212)

흡기온은 엔진특성별로 차이가 있으나 50-60도 정도입니다
이유야 낮은 온도는 연료의 무화률이 떨어져서 출력이 떨어지고요
높은 흡기온은 노킹 현상 유도 및 실린더 충진효율이 떨어지기에
메이커에서는 항상 일정한 온도의 공기가 엔진에 유입하도록 흡기라인을
설계합니다 그래서 원만하면 특정 엔진회전수를 고집하지 않은 이상은
흡기라인은 필터외 잘 만지지 않습니다
흡기온 변화가 심하면 연비변화가 심했던 기억이 있네요
이유야 낮은 온도는 연료의 무화률이 떨어져서 출력이 떨어지고요
높은 흡기온은 노킹 현상 유도 및 실린더 충진효율이 떨어지기에
메이커에서는 항상 일정한 온도의 공기가 엔진에 유입하도록 흡기라인을
설계합니다 그래서 원만하면 특정 엔진회전수를 고집하지 않은 이상은
흡기라인은 필터외 잘 만지지 않습니다
흡기온 변화가 심하면 연비변화가 심했던 기억이 있네요
2012.05.21 06:57:34 (*.246.73.202)

인터쿨러 성능이 매우 좋다면야 상관없겠지만 터보랙이나 장착성 문제 등으로
무작정 인터쿨러 사이즈를 키우는것도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터보 차량들도 na만큼은 아니지만 격벽등으로 단열을 해 주시는것이
좋습니다
흡기온은 대기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요즘 낮 날씨에 주행시 40도 언더로
대기온 대비 10도 이내 차이를 보여줍니다
물론 정차시에는 흡기온이 막 올라갑니다 ㅎㅎ
무작정 인터쿨러 사이즈를 키우는것도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터보 차량들도 na만큼은 아니지만 격벽등으로 단열을 해 주시는것이
좋습니다
흡기온은 대기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요즘 낮 날씨에 주행시 40도 언더로
대기온 대비 10도 이내 차이를 보여줍니다
물론 정차시에는 흡기온이 막 올라갑니다 ㅎㅎ
2012.05.21 11:35:39 (*.234.204.37)

답변 감사해요
오늘 아침 고속도로 주행 테스트해보니 40도
전후가 나옵니다 외부기온14도였는데 확실히
격벽정도만이라도 해봐야겠네요
오늘 아침 고속도로 주행 테스트해보니 40도
전후가 나옵니다 외부기온14도였는데 확실히
격벽정도만이라도 해봐야겠네요
2012.06.15 12:53:50 (*.187.157.244)

블로그 잘봤습니다. 압축하면 온도가 제법 올라가네요.
여기서 또 다시 드는 의문점은.. obd로 나오는 흡기온도는
어느부위의 온도이냐 입니다..
부스트 없이 다니나, 풀부스트를 쓰나 흡기온의 변화는 없는걸로 봐서는
터빈 전의 흡기온도일 것 같다는 생각이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