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요즘 미국 회사들이 고전하는 이유를 유머로 표현한 글 입니다.
꼭 다 맞는 이야기는 아니겠지만 그냥 한번 웃고 넘어가 주시기를...^^
공장에 쥐가 나타났을 때 각 나라 자동차 회사의 대처.
독일 : 공장에 쥐 같은 거 안나온다. 쥐 그런거 나타날 수가 없다.
일본 : 쥐를 발견한 사원이 라인을 즉시 멈추고, 쥐를 빨리 잡은 후, 라인을 다시 가동 시킨다.
나중에 쥐가 나타난 이유를 분석하여 개선한다.
한국 : 쥐가 보이면 본 사람이 얼른 뛰어가서 잡고나서 하던 일 계속 한다.
미국 : 쥐가 출현하면 일단 쥐 출현 대책 위원회를 조직한다.
위원회에는 외부에서 초빙한 쥐 생태 전문가 및 환경 보호 전문가가 참여한다.
쥐를 목격한 사원을 증인으로 청문회를 개최하여 사실을 증명한다.
위원회는 청문회의 내용을 중심으로 난상 토론을 거친다.
6개월 후 공장 내 쥐 출현에 대한 생태학적이고 환경보호적인 보고서가 작성된다.
보고서를 토대로 쥐 퇴치 전문가 그룹이 구성된다.
이후
Case 1
쥐는 이미 도망갔다.
이번에는 쥐 대책 지연 조사 위원회가 구성된다.
Case 2
쥐약을 통해 쥐를 잡았다.
1년 후 쥐약의 유해성에 대한 현장 근로자의 소송이 일어난다.
덤1
중국 : 쥐가 있건 말건. 신경 안쓴다. 쥐 쯤이야.
덤2
이탈리아 : 쥐가 보이면 이름을 지어준다. 그 쥐는 공장의 마스코트가 된다.
세월이 지나면 노랑 바탕에 검은 쥐가 앞발을 쳐들고 있는 엠블럼을 단 차가 발매.
꼭 다 맞는 이야기는 아니겠지만 그냥 한번 웃고 넘어가 주시기를...^^
공장에 쥐가 나타났을 때 각 나라 자동차 회사의 대처.
독일 : 공장에 쥐 같은 거 안나온다. 쥐 그런거 나타날 수가 없다.
일본 : 쥐를 발견한 사원이 라인을 즉시 멈추고, 쥐를 빨리 잡은 후, 라인을 다시 가동 시킨다.
나중에 쥐가 나타난 이유를 분석하여 개선한다.
한국 : 쥐가 보이면 본 사람이 얼른 뛰어가서 잡고나서 하던 일 계속 한다.
미국 : 쥐가 출현하면 일단 쥐 출현 대책 위원회를 조직한다.
위원회에는 외부에서 초빙한 쥐 생태 전문가 및 환경 보호 전문가가 참여한다.
쥐를 목격한 사원을 증인으로 청문회를 개최하여 사실을 증명한다.
위원회는 청문회의 내용을 중심으로 난상 토론을 거친다.
6개월 후 공장 내 쥐 출현에 대한 생태학적이고 환경보호적인 보고서가 작성된다.
보고서를 토대로 쥐 퇴치 전문가 그룹이 구성된다.
이후
Case 1
쥐는 이미 도망갔다.
이번에는 쥐 대책 지연 조사 위원회가 구성된다.
Case 2
쥐약을 통해 쥐를 잡았다.
1년 후 쥐약의 유해성에 대한 현장 근로자의 소송이 일어난다.
덤1
중국 : 쥐가 있건 말건. 신경 안쓴다. 쥐 쯤이야.
덤2
이탈리아 : 쥐가 보이면 이름을 지어준다. 그 쥐는 공장의 마스코트가 된다.
세월이 지나면 노랑 바탕에 검은 쥐가 앞발을 쳐들고 있는 엠블럼을 단 차가 발매.
2008.06.29 13:13:19 (*.234.39.5)

각 나라의 문화가 정말 적절하게 표현되었네요 :)
미국의 "위원회" 문화가 효율성에서는 문제가 많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파헤치고 그에 대한 대책을 체계적으로 세우려는
원칙에 충실한 그네들의 모습(우리와는 정반대인 듯한...-_-)이
결국 ZR1같은 괴물을 만들어 내는 저력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수익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산업"이라는 특성상
결과로만 보면 효율성이 떨어지는 그런 문화가 밀리는 것도 당연하구요.
미국의 "위원회" 문화가 효율성에서는 문제가 많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파헤치고 그에 대한 대책을 체계적으로 세우려는
원칙에 충실한 그네들의 모습(우리와는 정반대인 듯한...-_-)이
결국 ZR1같은 괴물을 만들어 내는 저력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수익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산업"이라는 특성상
결과로만 보면 효율성이 떨어지는 그런 문화가 밀리는 것도 당연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