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오늘 마트에 와이프의 스펙트라(오토)로 갔다가,
짐을 싣고 출발하려는데..
시동을 걸고나서 아이들링이 떨어지지 않고 3000RPM정도까지 오른후,
2000-3000 사이에서 아이들링 RPM이 유지되더군요..
(물론 브레이크를 밟고있었고 P상태였습니다)
흡사 엔진에 도둑공기가 들어갈 때 처럼요 ^^
(쓰로틀에 문제가 생겼거나 서지에 문제가 생겼을때..와 비슷한 느낌)
뭐..그래도 겨울 냉간시 시동이랑 비슷한 느낌이고 해서..
잠시 기다려주니까 30초쯤 후에 다시 아이들링 RPM이 정상화 되었습니다.
그리고나서 출발해서 아무 문제없이 오긴 했습니다만..
만약 그 상태에서,
생각없이.. 혹은 경험없는 분이 시동걸자마자 P에서 D로 내릴 경우,
3000RPM이상이 걸려있어서 바로 튀어나갈 가능성은 있겠더군요..
지금까지 솔직히 차량 급발진이 이해가 안갔었습니다.
기어가 P 상태에서 차가 튀어나간다는건 그야말로 말도 안된다 생각해서..
(기계적으로 동력이 이어져 있지 않은데 차가 나갔다면 초능력이겠죠)
하지만, 무의식중에 D를 넣은거라면 충분히 가능하겠구나..라는 생각이 문득 듭니다.
과연 이런걸까요?
P.S. 차를 처분하려고 하니 이놈이 그걸 눈치채고 시위한것일지도..
짐을 싣고 출발하려는데..
시동을 걸고나서 아이들링이 떨어지지 않고 3000RPM정도까지 오른후,
2000-3000 사이에서 아이들링 RPM이 유지되더군요..
(물론 브레이크를 밟고있었고 P상태였습니다)
흡사 엔진에 도둑공기가 들어갈 때 처럼요 ^^
(쓰로틀에 문제가 생겼거나 서지에 문제가 생겼을때..와 비슷한 느낌)
뭐..그래도 겨울 냉간시 시동이랑 비슷한 느낌이고 해서..
잠시 기다려주니까 30초쯤 후에 다시 아이들링 RPM이 정상화 되었습니다.
그리고나서 출발해서 아무 문제없이 오긴 했습니다만..
만약 그 상태에서,
생각없이.. 혹은 경험없는 분이 시동걸자마자 P에서 D로 내릴 경우,
3000RPM이상이 걸려있어서 바로 튀어나갈 가능성은 있겠더군요..
지금까지 솔직히 차량 급발진이 이해가 안갔었습니다.
기어가 P 상태에서 차가 튀어나간다는건 그야말로 말도 안된다 생각해서..
(기계적으로 동력이 이어져 있지 않은데 차가 나갔다면 초능력이겠죠)
하지만, 무의식중에 D를 넣은거라면 충분히 가능하겠구나..라는 생각이 문득 듭니다.
과연 이런걸까요?
P.S. 차를 처분하려고 하니 이놈이 그걸 눈치채고 시위한것일지도..
2008.07.05 23:56:17 (*.7.57.47)

급발진을 당했다고 하는 분들의 주장이 이해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브레이크를 풀브레이킹 했는데도 차가 미친듯이 튀어나갔다고 하는 겁니다. 말씀하신 상황같으면 그런 일은 발생할 수 없겠죠. 제 미천한 생각으로는 브레이크를 밟는다는게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풀로 밟았던게 아니었을까 하는..ㅋ
2008.07.06 00:29:54 (*.35.111.131)

맞는것 같은데요...저도 비슷한 경험이 있습니다. 차종은 체어맨이였는데, 주차장의 주차포켓에 주차하고 변속기를 뉴트럴로 놓고 바로 몇초 후 rpm이 레드존까지 치솟아 오르더군요. 순간 머엉해지면서 "어...어...."라는 반응밖에는 안나오더군요. 그 순간 무의식적으로 브레이크만 꽉 밟았던 것 외엔 정말 아무것도 할 수 없었습니다. 확실히 엑셀러레이터는 전혀 안밟았었구요. 나름 엔진에 대해서 공부했었고, 엔진으로 밥먹고 살던 입장에서, 이걸..어떻게 해석해야하는가 하는 생각에 한동안 혼란스러웠었습니다.
2008.07.06 09:53:08 (*.140.148.249)

그냥.. 기다리고만 있어도 아이들링은 정상화 되던데요..
딱 증상의 느낌이..
1. 쓰로틀 바디 이후의 문제에서 보이는 도둑공기 흡입시의 RPM상승유지
2. ISC모터의 이상으로 보이는 아이들링 문제
3. 겨울 냉간시동시의 RPM상승
이런 느낌으로 3000RPM정도로 잠깐 위이이잉 돌아가는거라..
보통 급발진 사고에서 말하는 굉음을 내며 돌아가는 정도는 아니고
저런 상황들을 겪어본 분이라면..
..그냥 음? 하면서 잠시 기다려볼만은 하더군요.
실은 그 상황에서도 잠깐 실험해볼까 하고,
사이드 채우고 D로 잠깐 옮겨봤었습니다.
그랬더니 앞으로 조금 나가길래 다시 N으로 빼고,
ㅎㅎㅎ 하면서 기다렸었죠 ^^
딱 증상의 느낌이..
1. 쓰로틀 바디 이후의 문제에서 보이는 도둑공기 흡입시의 RPM상승유지
2. ISC모터의 이상으로 보이는 아이들링 문제
3. 겨울 냉간시동시의 RPM상승
이런 느낌으로 3000RPM정도로 잠깐 위이이잉 돌아가는거라..
보통 급발진 사고에서 말하는 굉음을 내며 돌아가는 정도는 아니고
저런 상황들을 겪어본 분이라면..
..그냥 음? 하면서 잠시 기다려볼만은 하더군요.
실은 그 상황에서도 잠깐 실험해볼까 하고,
사이드 채우고 D로 잠깐 옮겨봤었습니다.
그랬더니 앞으로 조금 나가길래 다시 N으로 빼고,
ㅎㅎㅎ 하면서 기다렸었죠 ^^
2008.07.06 12:40:44 (*.90.169.199)

거의 11년전 첫 차를 사기위해 중고차 상사를 돌아다니던 중, 스쿠프 오토에 끌려서 시동을 걸어 봤더랬습니다. 아이들링이 거의 3천에서 유지되고 몇분간 떨어질 기미가 안보이더군요. 그때 딜러 아저씨의 한마디, "오토차 중고는 다 이래요~ " --;;;; 그 이후 지금까지 백대도 넘는 오토차를 타봤지만 비슷한 현상은 한번도 없었다는 절설(?)이 전해오고 있습니다.ㅎㅎ
2008.07.06 15:53:06 (*.35.111.131)

ㅎㅎ 그 당시에는 머리속이 하얗게 변하면서 아무것도 못하겠던데요. 차량 전원을 off시켜야한다는 생각...무의식중에라도 튀어나오게 마인드 컨트롤이 필요하긴 할 것 같습니다..
2008.07.06 20:02:38 (*.41.73.213)
급바진의 대부분은 실제로는 액셀을 밟았는데 브레이크를 밟았다고 '착각'을 하는 겁니다. 어느 차도 정지상태에서의 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가속력이 좋을수가 없습니다....
2008.07.07 08:13:38 (*.7.57.47)

풀브레이킹과 동시에 풀악셀해서 차가 앞으로 나가면 그차는 불량이죠. 풀브레이킹의 제동력을 이길 출력을 가진 엔진을 가지고 있는 자동차는 양산되지 않습니다.
2008.07.07 08:40:27 (*.189.60.69)

물론 실수로 엑셀을 밟아서 급발진인것처럼 사고가 난 경우가 있겠지만요...
급발진.. 정말 겪어보지 않으신 분들한테는 브레이크 밟으면 되지..라는 단순한 사고로 다가오겠지만 정말 브레이크 밟고 시동키 뽑아도 앞으로 나갑니다. ㅡㅡ;;
그리고 예전에 뉴스에서 동영상에도 나왔던 걸로 알고 있는데 cctv에 잡힌 급발진 사례에서도분명히 브레이크 등에 불이 들어오고 브레이크가 잡히는 상황에서도 차가 튀어나가는 그러한
영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실제 사고를 겪지 않으신 분들께서 급발진 사고 난 사람들에게
엑셀을 밟았는데 브레이크 밟았다고 착각을 한다느니 하는 식의 말씀은...
정말 억울하게 당한 급발진 사고 피해자들을 한 번 더 죽이는 일입니다.
급발진.. 정말 겪어보지 않으신 분들한테는 브레이크 밟으면 되지..라는 단순한 사고로 다가오겠지만 정말 브레이크 밟고 시동키 뽑아도 앞으로 나갑니다. ㅡㅡ;;
그리고 예전에 뉴스에서 동영상에도 나왔던 걸로 알고 있는데 cctv에 잡힌 급발진 사례에서도분명히 브레이크 등에 불이 들어오고 브레이크가 잡히는 상황에서도 차가 튀어나가는 그러한
영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실제 사고를 겪지 않으신 분들께서 급발진 사고 난 사람들에게
엑셀을 밟았는데 브레이크 밟았다고 착각을 한다느니 하는 식의 말씀은...
정말 억울하게 당한 급발진 사고 피해자들을 한 번 더 죽이는 일입니다.
2008.07.07 09:13:22 (*.107.33.194)

브레이크등이 들어오는데도 차가 앞으로만 전진한다면 그거야말로 제대로 브레이킹을 못했다는 결정적 증거 아닐런지... 2페달을 같이 밟았다는 뜻이니까요..
브레이크는 전기적신호로 동작하는 부분이 분명 아닌만큼 어떤 경우에라도 끝까지 밟았다면 차가 느려지고 하다못해 패드에서 연기라도 나면서 불타올라야 정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담이지만 맘먹고 드래그를 해도 미친듯이 튀어나가지 못하는 차들이 훨씬 더 많죠..;;;;
급발진이건 주행중 사고이건 그냥 사고일 뿐입니다.. 운전하면서 아무리 조심해도 언제 누구에게건 일어날수도 있는 일이고.. 그냥 사고로 넘기면 되는데 유독 급발진만큼은 사고자체를 인정 못하시는 분들이 많은듯...
브레이크는 전기적신호로 동작하는 부분이 분명 아닌만큼 어떤 경우에라도 끝까지 밟았다면 차가 느려지고 하다못해 패드에서 연기라도 나면서 불타올라야 정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담이지만 맘먹고 드래그를 해도 미친듯이 튀어나가지 못하는 차들이 훨씬 더 많죠..;;;;
급발진이건 주행중 사고이건 그냥 사고일 뿐입니다.. 운전하면서 아무리 조심해도 언제 누구에게건 일어날수도 있는 일이고.. 그냥 사고로 넘기면 되는데 유독 급발진만큼은 사고자체를 인정 못하시는 분들이 많은듯...
2008.07.07 09:24:57 (*.148.159.138)

급발진이라는 기현상(?)을 직접 경험해보면 황당 그 자체라서 달리 설명할 말도 없던데요... ㅡ.ㅡ;;
기계적, 인위적, 환경적 결함이 정말 운없게도 일치하면 발생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하기 쉽지만, 그걸로도 설명이 안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저는 몇년 전(딱 한번) 근교의 공터 주차장에서 한번 겪어 봤는데요...
시동걸고 rpm 1,000에서 D로 변속...(당연히 브레이킹 중이었고요...)
갑자기 전륜 땅파기 시작... ㅡ.ㅡ;;
엄청난 먼지와 함께 돌튀는 소리가... ㅡ.ㅡ;;;;;
사이드도 풀기 전이었고 브레이크 밟고 있는 상태에서 변속한거니 악셀은 전혀 털끝도 안 닿았던 상태였습니다...
근데도 rpm은 거의 4,000을 육박하더라고요...
머리는 멍해지고, 무의식적으로 시동을 껐습니다...
대략 2~3초 후에 엔진이 정지하더군요...
식당 사장님이 놀라서 나오셨고, 주위 사람들의 시선 완전 집중...
(먼지 사이로 내린 저에게 왔던 시선들은... '저거 뭐야?' 하는 살기어린 눈빛들이 대부분)
그 이후에는 한번도 그런 적이 없지만 뭐 이야기 해도 아무도 안믿더군요...
그래더 더 이야기 안하기도 합니다... ㅡ.ㅡ;;;
다행히 여분의 공간이 있어서 큰 issue는 없었지만 대략 1m 정도 차가 전진한 상태였네요...
1시간 정도 산책하고 몸과 마음을 진정 시킨 후 겨우 집에 왔었습니다... ㅠ.ㅠ (다리가 제정신이 아니었거든요... ^^;;)
다른 사고 경험자분들은 어땠는지 모르지만, 최소한 제 경우에는 패달 오조작은 절대!!! 아니었는데도 나타난 현상이었습니다...
다행히 아직까지는 반복된 적이 없지만, 덕분(?)에 기어 레버 변경 시에는 브레이킹을 상당히 강력하게 하는 버릇이 생겼습니다...(오히려 좋은거죠? ^^)
왜그랬을까요??? ^^;;;
기계적, 인위적, 환경적 결함이 정말 운없게도 일치하면 발생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하기 쉽지만, 그걸로도 설명이 안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저는 몇년 전(딱 한번) 근교의 공터 주차장에서 한번 겪어 봤는데요...
시동걸고 rpm 1,000에서 D로 변속...(당연히 브레이킹 중이었고요...)
갑자기 전륜 땅파기 시작... ㅡ.ㅡ;;
엄청난 먼지와 함께 돌튀는 소리가... ㅡ.ㅡ;;;;;
사이드도 풀기 전이었고 브레이크 밟고 있는 상태에서 변속한거니 악셀은 전혀 털끝도 안 닿았던 상태였습니다...
근데도 rpm은 거의 4,000을 육박하더라고요...
머리는 멍해지고, 무의식적으로 시동을 껐습니다...
대략 2~3초 후에 엔진이 정지하더군요...
식당 사장님이 놀라서 나오셨고, 주위 사람들의 시선 완전 집중...
(먼지 사이로 내린 저에게 왔던 시선들은... '저거 뭐야?' 하는 살기어린 눈빛들이 대부분)
그 이후에는 한번도 그런 적이 없지만 뭐 이야기 해도 아무도 안믿더군요...
그래더 더 이야기 안하기도 합니다... ㅡ.ㅡ;;;
다행히 여분의 공간이 있어서 큰 issue는 없었지만 대략 1m 정도 차가 전진한 상태였네요...
1시간 정도 산책하고 몸과 마음을 진정 시킨 후 겨우 집에 왔었습니다... ㅠ.ㅠ (다리가 제정신이 아니었거든요... ^^;;)
다른 사고 경험자분들은 어땠는지 모르지만, 최소한 제 경우에는 패달 오조작은 절대!!! 아니었는데도 나타난 현상이었습니다...
다행히 아직까지는 반복된 적이 없지만, 덕분(?)에 기어 레버 변경 시에는 브레이킹을 상당히 강력하게 하는 버릇이 생겼습니다...(오히려 좋은거죠? ^^)
왜그랬을까요??? ^^;;;
2008.07.07 12:41:04 (*.49.199.220)

본인의 잘못으로 인함도 상당수이겠지만
모두가 자기가 잘못해놓곤 발뺌을 위해
차탓만을 하는건 아닐거란 생각이 듭니다
풀악셀로 밟는다고 해도 못나올 파워가 나왔다는 증거들도 있구 말이져
반드시는 아니겠지만 그런 점에선 수동이 훨씬 안전하다는게 ...
당연한 얘기겠지만 저는 운전을 시작하는 지인들에게 항상 얘기합니다
차 앞에 사람이 있을땐 시동걸지 말라고..
모두가 자기가 잘못해놓곤 발뺌을 위해
차탓만을 하는건 아닐거란 생각이 듭니다
풀악셀로 밟는다고 해도 못나올 파워가 나왔다는 증거들도 있구 말이져
반드시는 아니겠지만 그런 점에선 수동이 훨씬 안전하다는게 ...
당연한 얘기겠지만 저는 운전을 시작하는 지인들에게 항상 얘기합니다
차 앞에 사람이 있을땐 시동걸지 말라고..
2008.07.07 14:45:05 (*.251.222.171)

저역시 그런경험이 있습니다~
세라토가 그런문제가 몇몇차량에서 꽤 발생하더군여~
나중에~붕~붕~붕~ 몇단콤보(?)로 까지 발생하더군여~
스로틀바디교환하고 증상은 사라졌습니다~
저도 처음 당했을땐 괸장히 불안하더라구요~^^*
세라토가 그런문제가 몇몇차량에서 꽤 발생하더군여~
나중에~붕~붕~붕~ 몇단콤보(?)로 까지 발생하더군여~
스로틀바디교환하고 증상은 사라졌습니다~
저도 처음 당했을땐 괸장히 불안하더라구요~^^*
2008.07.07 17:47:58 (*.94.41.89)

좀 엉뚱한 경험 일 수 있지만...
예전에 빗길 운행 중 앞차가 급정거를 했습니다. 저는 겨우 멈추었는데 - 뒤에 오는 택시는 이 사태를 모른 듯 하여 비상등 켜고, 브레이크를 미리 밟고 있었죠.
역시나 늦게 알아 차린 택시가 저를 쿵 하고 받아 버렸는데 - 수납 공간에 둔 여러 물건들이 순간 우수수 떨어질 정도의 충격 이었습니다.
그런데 브레이킹 상태임에도 엔진이 우웅 하고 RPM을 올리고 있었습니다. 알고보니 추돌 충격으로 브레이킹만 하던게 아니고 엑셀레이터 까지 동시에 밟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다행이 수동차량이라 클러치를 함께 밟은 상태라 추가 사고는 없었습니다.
지나고나니, 순간적이 상황에 따라 브레이킹+악셀레이팅을 동시해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듯 합니다.
예전에 빗길 운행 중 앞차가 급정거를 했습니다. 저는 겨우 멈추었는데 - 뒤에 오는 택시는 이 사태를 모른 듯 하여 비상등 켜고, 브레이크를 미리 밟고 있었죠.
역시나 늦게 알아 차린 택시가 저를 쿵 하고 받아 버렸는데 - 수납 공간에 둔 여러 물건들이 순간 우수수 떨어질 정도의 충격 이었습니다.
그런데 브레이킹 상태임에도 엔진이 우웅 하고 RPM을 올리고 있었습니다. 알고보니 추돌 충격으로 브레이킹만 하던게 아니고 엑셀레이터 까지 동시에 밟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다행이 수동차량이라 클러치를 함께 밟은 상태라 추가 사고는 없었습니다.
지나고나니, 순간적이 상황에 따라 브레이킹+악셀레이팅을 동시해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듯 합니다.
2008.07.07 18:35:49 (*.148.159.138)

물론 승원님의 경우와 같이 동시에 두 페달을 모두 밟는 경우가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Case by Case로 접근해야하는 사안으로 생각이 되네요...
워낙 다양한 조건에서 발생하곤 하니까요...
딱히 뭐가 문제이다!!! 라고 단정짓기엔 너무 위험한 정의가 아닐까 합니다...
실 경험자들을 완전 좌절시킬 수도 있으니까요... ^^;;
(충격이 가해지면 발이 미끄러질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암튼 이런거 생각하면 전자장비가 늘어가는 것을 마냥 좋아할 수만은 없을 것 같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시대에 역행할 수도 없고... 어렵네요... ^^;;;
Case by Case로 접근해야하는 사안으로 생각이 되네요...
워낙 다양한 조건에서 발생하곤 하니까요...
딱히 뭐가 문제이다!!! 라고 단정짓기엔 너무 위험한 정의가 아닐까 합니다...
실 경험자들을 완전 좌절시킬 수도 있으니까요... ^^;;
(충격이 가해지면 발이 미끄러질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암튼 이런거 생각하면 전자장비가 늘어가는 것을 마냥 좋아할 수만은 없을 것 같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시대에 역행할 수도 없고... 어렵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