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최근 유사 급발진이 많이 발생하는데, 국산차의 변속기 조작에 있어서 N에서 D로 넘어갈 때 브레이크 패달을 밟지 않으면 넘어가지 않게 하는 장비가 시급합니다.
독일차들의 경우 폭스바겐 골프3(1992년부터)때부터 이러한 기능이 적용되어 P에서 뿐 아니라 D로 가기 위해서는 R에서 직접 움직이는 경우를 제외하고 브레이크를 밟아야 합니다.
실제로 차에서 N에 두고 사이드브레이크를 채운후 다시 차에 돌아와 운전석에 올라타게 되는 상황을 가정해보면 운전자세를 완전히 잡기전까지는 오른발의 위치가 불완전한 상태가 되고 도어를 완전히 닫고 벨트를 매기 전에 움직이려는 의도로 체인지레버를 움직였을 때 마침 가속패달을 밟고 있다면 차는 미친듯이 튀어나가게 됩니다.
실제로 이런 조작실수는 실제로 급발진을 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자기도 모르게 가속패달을 밟았다가 회전수가 급상승하는 것에 놀라 다시 패달을 놓는 경우를 실제로 목격한 적이 있습니다.
이때 제동패달을 밟지 않아도 N에서 D에 들어가는 현재의 국산차들의 변속기 방식은 시급한 개선을 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급발진이 실제로 운전자의 실수 이외에 기술적 결함에 기인한다는 것이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메이커는 이미 유럽브랜드들이 적용하고 있는 안전시스템의 의미를 깨닫고 하루 빨리 적용시켜야 유사 급발진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testkwon-

수입차들은 N에서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D로 안넘어 가게 되어있나요? 잘 몰라서...
저는 메이커에서 이런 장치를 추가해주는 것도 좋지만 유사 급발진 같은 운전자의 실수와 관련해서는 메이커에 대한 요구보다 운전자들에 대한 교육이 더욱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얼마전 영상에서 본 에쿠스건만 봐도 (물론 마스터님이 말씀하신 장치 등이 있었다면 사고가 없었을 수도 있지만 다분히 가정일 뿐이고...) 일부 운전자들의 기본적인 마인드부터가 썩었다고밖에는 생각되지 않네요...
어차피 차는 기계일 뿐이고, 이를 조작하는 운전자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다면, 아무리 좋은 장비를 갖춰놓아도 그들에게는 단지 번거로움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가끔 생각해보면 메이커에는 이런 저런 것들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면서 정작 잘못을 저지르는 사람들을 제대로 교육하려는 목소리나 실행들은 미약한지 안타깝기도 합니다...
요즘 마눌님과 출근을 같이 하게되어 실시간으로 이상하게 운전하는 사람들이나 잘못된 운전 습관, 주의해야할 점, 교통 법규 등을 이야기해주는데 정말이지 면허를 어떻게 딴건지 모르겠을 때가 많더군요...
때문에 요즘은 좀 더 적극적으로 교육을 시켜주고 있는데, 조금만 돌아보면 주변의 수많은 사람들이 제 와이프와 비슷한건 아닐까 하는 생각에 머리가 띵~~해지곤 합니다...
메이커가 노력해주었으면 좋겠으며, 아울러 운전자들의 기본기를 더욱더 높여주는게 시급한 것 같습니다... 요게 제 생각입니다... ^^
smg의경우 문이 열려잇으면 중립에서 D 나 R이 안들어갑니다. 예전 발렛직원이 문열고 뒤보면서 후진하려는데
차가 안나가니 당황하시더라능; 일단 문이 다 안닫히면 D나 R이 안들어가게부터.....;;;

마스터님께서 말씀하신 시스템이라도 정말 얼른 도입되야 할것같습니다..
저희집 토스카차량에도 위와같은 시스템이 있는지 없는지
진작 시험해봤는데 없더라구요....
기본적으로 운전자 부주의가 될수 있지만 메이커자체에서
조금 신경써주었으면 좋을것 같습니다.
BMW는 E60,E90 LCI모델부터 지금까지 문이 열렸거나 덜닫히면
D들어갔다 자동으로 P로 밀려납니다.
E46M3 SMG나 E60M5의 SMG의 경우도 본넷이 잘 안닫혀있어도
주행이 안됩니다 -_-;;;
이런것이라도 된다면 정말 좋을텐데요...물론
불편해 하시는 분들도 많이 보았지만 안전을 위해서
그런 불편은 감수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출발전 항상 두번 브레이크는 기억해 두면 좋을꺼 같습니다.
제가 지금 타는 차들은 출발전에 브레이크를 두번 밟지 않으면 출발이 불가능합니다. 시동걸때 안밞으면 시동 안걸리고, P에서 변속시 안밟으면 변속 레버가 움직이지 않습니다. 이제는 습관이 되어서 모든차를 출발전에 이런 식으로 조작하는데 사소한거지만 안전에 기여한다고 생각합니다.

차가 정지한 상태에서 움직이기 위한 모든 조작과 전후방향의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한 모든 조작에 브레이크 페달을 먼저 밟는 절차를 두는 것이 당연히 (논란여부를 떠나서) 전체적인 안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법제화하는 것도 필요하지 않나 생각되네요. 그러지 않으면 현기차는 움직이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스위치의 내구를 확신할수 없어 적용 못한건 아닐까하는 생각도 해봤었습니다..

아..그렇군요.
20년 넘게 수동만 타다보니, 의례히 브레잌 밟고 기어넣는 습성땜에
당연히 모든 오토차가 브레잌을 밟아야 들어가는 줄 알았네요. ㅋㅋ
수동에 익숙했던 오너들은, 급발진 할 일 없을거 같습니다.
그런 장치가 있으면 이중 삼중으로 안전이 강화되겠지요. 당연히 메이커에서 제공해야 할 장치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차에 타면 먼저 브레이크 페달부터 밟는 게 버릇이 돼서 운전한지 20년 되었지만 아직 급발진 뿐 아니라 차가 미끄러지는 일도 없었습니다. 시동 걸 때나 기어 옮길 때도 브레이크 페달은 무조건 밟고 있습니다.
안전띠 잘 안하는 사람들의 특징은 처음부터 잘 사용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그것이 습관이 돼서 이제는 착용하면 불편하다고 하더군요. 저는 안전띠를 하지 않으면 불안해서 운전하기가 겁이 납니다. 습관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소소한 사고를 내는 사람들은 기본적인 습관과 기본적인 상식이 부족한 사람들이라고 판단해도 무리가 없을 겁니다. 운전면허증을 가질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속도가 너무 빠른 것 같네요. 더불어 차량의 성능은 무섭도록 발전해서 도로 뿐 아니라 골목길, 주차장 등에서도 대형 흉기가 돌아다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동감입니다.
별로 비용 많이 들지도 않을것 같은데 이런 소소한 곳의 안전에는 무감각하고 그보다 눈에 보이는 화려한 옵션에만 치중하는것은 지양해야 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