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전 항상 전조등과 안개등을 같이 켜고 다니는데요..
오늘 친구차 타고오면서 친구랑 얘기를 하다가
안개등켠차들때문에 눈이 부신다 라하길레
궁금증이 생기네요...
안개등은 명칭과같이 안개나 기상상황이 안좋을때만 쓰는건가요?
제가 운전하는차는 평범한세단차량이라 눈부심이 없을줄 알았는데 궁금해지네요~

따라서 몇몇 나라에서는 일반적인 기상 상황에서 안개등 사용ㅇ은 법으로 처벌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급적이면 안켜는게 서로 배려하는 길이라 봅니다
안개등은 말 그대로 안개가 끼었을 경우 켜는 등으로 안개가 자욱할때는 전조등을 켜면
안개가 반사되어 앞이 안보입니다. 그럴때 안개가 적은 자면에 가까운 하단으로 비추어주는 안개등
(그래서 하단에 위치)
만 켜면 시야가 좀 더 나아집니다.
평소에 안개등을 켜먄 직진성이 약하게 설계된 것이라 전조등처럼 상대 운전자 눈 아래만 비추는게 아니라
눈이 부시고 추가로 일부차종은 유닌히 밝은 후면 적색등이 추가로 들어와 본인차량의 앞 뒤 차량 모두의
운전에 악영향을 주고 이는 사고 가능성이 커지는 결과를 만들겠지요.
그리고 본인의 발전기,배터리등에 많은 전력을 만들기 위한 혹사로 수명도 짧아지는 부작용까지
마지막으로 주행중에는 안개등 켜봐야 차 아래부분이 조금더 밝아지는데 그치므로 먼곳을 보면서 운전할때는
별 도움이 안됩니다.
제발 안개등은 보통때는 꺼주세요~.

안개등이 왜 안개등이란 이름이 붙어 있는지 한 번만 생각해보면 답은 바로 나오지 않을까요? 안개낀 날씨나 비오는 날씨나 눈오는 날씨에 어두운 국도같은 곳 다니실 때 켜시면 됩니다.
사실 안개등은 산란이 적고 더 멀리 퍼지는 노랑 계열을 써야 확실한데
요즘 차들은 그냥 장식목적으로 달고있지요.. 멋으로 달고 다니는 백색이나 파랑같은 계열은 노랑에 비교하면 효율이 매우 떨어집니다..
그리고 그 목적에 맞게 이용해야겠지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굳이 켤 필요는 없다 봅니다..

그냥 안개등 스위치를 항상 on으로 두고 다니는 운전자들이 상당히 많은것 같습니다..
그나마 프로젝션 타입은 조금 나은데 반사경 타입 안개등은 정말 눈부십니다ㅠㅠ
그런데 많은 분들이 안개등은 전조등 켜기에는 좀 밝은 시간대에 전조등을 대신해서 켜는 등이라고 생각하시더라구요......
그럴때는 그냥 전조등 켜면 좋은데 미등이랑 안개등만 켜면 거리 측정도 잘 안되고 참............
오래된 제차의 경우 안개등을 켜면 배터리 전압이 약간 내려가고, 차의 진동이 심해져서^^;; 저는 극한 상황 아니면 켜지 않습니다. 저도 초보때는 모든 등을 다 점등하고 다니곤 했습니다만. 지금은 미등과 전조등만 항상 점등하고 다닙니다.
요새 나오는 차들은 데이라이트도 무지하게 밝게 설계를 하고, 전조등도 밝게 하고, 안개등도 밝게하고..
도로는 점점 밝아지는데 왜 차들은 거꾸로 더 밝아지는지 모르겠습니다..

안개등에 HID 박은 차량. 후방안개등 상시 켜고 다니는 차량들. 단속해야됩니다. 대부분 순정안개등은 눈부시기 않은데 일부 SUV (무쏘.. 등) 은 순정 안개등도 엄청 눈부시더라구요. 가급적 끄고 다닙시다~
안개등은.. 안개가 낀 날 자신의 위치 표시 하는 목적이 더 큰거 같습니다.
맑은날 키면.. 다른 차량의 운전자는 눈이 부시죠.
가끔 후방 안개등을 키고 운전하는 운전자들을 보는데..따라 가는 동안..
정말.. 짜증이...
본래 목적은 기상상황 악화때 시인성 확보를 위해쓰는것 맞지만...
전 전조등 키면 그냥 킵니다 ^^
왠지 등이 하나라도 더 들어오면 인지하기 쉬울꺼 같아서요...
근데 순정차들은 안개등을 똑바로 봐도 눈 안부시지 않지 않나요 ??
안개등에 손댄차들은 정말... 욕나와요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