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지난 일요일에 가족과 새 차를 타고 가다가 내부순환로 위에서 막 타는 냄새가 나길래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고 하던 중, 계기판에 엔진경고등이 켜져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깜짝 놀라 일단 바깥쪽 차선으로 이동해 차를 세웠습니다. 갓길이나 안전지대가 아닌 곳에서 차를 세우자니 무섭기 짝이 없었는데, 잘못하다가 새 차를 말아먹을 것 같아 일단 차를 멈추고 시동을 끈 후 잠시 후 재시동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엔진경고등이 켜진 상태더군요.
현 위치에 차를 계속 세워둘 수 없겠다는 판단에 일단 출발하여 저속으로 주행, 일반도로로 빠져나와서 서비스센터에 전화를 걸었습니다. 서비스센터에 고장 접수를 하니 잠시 후 서비스 기사로무터 연락이 왔는데, 휴일관계로 인원이 없어 도착에 40분 이상 걸릴 것 같다고 하더군요.
별 수 없이 염천하에 땀 뻘뻘 흘리며 기다리고 있자니 기아 오토Q 정비사가 도착했습니다. 증상을 이야기하니 스캐너로 진단 시작했는데, 계속 ECU와 통신이 안된다고 버벅대더군요. 이봐요 이 차 JB가 아니라 UB인데요. 차종도 제대로 구분 못하는 기사가 영 못미더워졌습니다.
진단 결과 연료 증발 경고 코드가 나왔습니다. 연료의 이상 증발이 감지되었을 경우 뜨는데, 보통 연료 주입 후 주입구 캡을 제대로 잠그지 않았을 경우 발생한다더군요. 출고 후 기름을 한번도 넣은 적이 없었다고 하니, 신차의 경우 센서의 오동작으로 해당 경고가 들어오는 수도 있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주행하는 데 특별한 문제가 없었으면 일단 가던 길을 계속 가고 나중에 정비사업소를 찾아가 보라고 했습니다. 제가 좀 미심쩍어하니까 일단 에러 코드를 리셋해서 경고등을 꺼 주었고, 다시 경고가 들어오지 않는지 잘 관찰하라고 했습니다.
더이상 어떻게 할 수도 없어서 일단 출발했는데, 이렇게 불타는 길바닥에서 두시간여를 까먹는 바람에 예정보다 늦게 목적지에 도착해서 해야 할 일을 못해서 곤란한 상황이 발생했고, 몸은 더위와 피로에 찌들어 허덕이게 되었습니다.
그 후 엔진경고등은 다시 들어오지 않았지만 이게 정말 센서 오동작인 것인지, 아니면 요즘 심상치 않다는 현기차의 초기품질 문제인지 아직은 모르겠습니다. 나중에 시간 내서 사업소에 가 보던가 해야겠네요.
엔진 경고등은 색깔이나 점등과 같은 효과로 위험성을 나누어 경고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가까운 시일 내에 정비소를 들러 체크하면 되는 정도로 일반적인 주행엔 무리가 없는 경우는 주황색, 당장 멈추지 않으면 엔진에 큰 이상이 생길 수 있는 경우는 빨간색, 뭐 이런식으로 말이죠.

obd2의 경우 연료캡이 제대로 닫혀있지 않을 경우 경고등을 냅니다. 연료캡을 닫지 않아서 증발하는 휘발유의 환경오염이 상당하기 때문이라고 하더군요. 연채로 시동을 걸었거나, 열었다 닫았거나, 캡이 불량인 경우, 제대로 안 닫혔거나 등등 ^^
아무튼 별일 아니길 빕니다 ^^

더운데 고생하셨습니다..
제가 볼때는 정비사분 말씀처럼 연료주입구 캡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들어오는 경고등일것 같네요...
구형차종을 제외한 요즘 차종은 연료주입구캡에 연료캡 선이 같이 씹히거나 하면
엔진경고등이 들어오더라구요.
저도 한번 겪어본 뒤로 저없이 가족이 운전하다 그런경우가 생겼었는데
전화로 주유구 확인해보라 했더니 역시나 주유소에서 주유원이 선을 씹어먹게 해놔서
그런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그냥 타고다니면 자동으로 없어지더라구요.
다만 오토Q출동기사분께서 초반에 차종을 못가리고 스캔을 하니
태진님께서 믿음을 못갖게 하게끔 원인을 제공 하셨네요-_-
큰문제없으시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