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이것 참. 이렇게 길게 이야기가 되다니.
저 랩타임이, 그것도 '뉘르부르크'라는 서킷 한곳에서 측정한 수치가 '슈퍼카'라는 것을 판단하는 절대적인 기준인지가 궁금하네요.
게다가 20km 거리의 서킷을 서로 다른 드라이버가, 다른 기후조건(습도만 높아져도 몇초는 차이납니다)에서 측정한 것을 빠르기를 따지는'절대적인' 기준처럼 보는 것은 무슨 이유인지 궁금하네요.
뉘르의 서킷 랩타임은 하나의 'reference'일 뿐이라는 생각입니다. 참고사항이죠. 페라리건 포르쉐건, 이미 충분하게 빠릅니다. 그 랩타임에 목을 맬 이유가 있을까요? '수퍼카' 브랜드라면 당연히 그렇게 해야할까요? 그거 하나만 바라보고 차를 만들어야할 이유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뭐... 할 수도 있겠지요. 자존심 상한 포르쉐가 비장의 꼼수를 발휘해서 정말 건조하고 접지 좋은 날을 잡아 뉘르에 특화된 드라이버 세명쯤을 투입하면 몇초쯤은 더 당길 수 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콜벳이나 GTR이 만든 기록을 깨트릴 수도 있지 않을까요?
이런게 의미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건 성능의 문제가 아니라 마케팅의 문제니까요.
지상근님이 말씀하신 시계 비유, 저도 공감하면서도 조금 다르게 보입니다.
GTR은, 그리고 NSX는 기술적으로 페라리 등과 같은 레벨에 올라섰습니다. 아니, 뉘르의 랩타임으로 보면 그보다 더 앞선 것들이 많네요. 자동차는 '역사와 전통'이라는 부분을 제외하면 페라리나 포르쉐에 근접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시계에서는 '절대적으로 넘지 못할' 선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한번 맞춰놓고 태엽만 감아주면 '문페이즈(달 모양)', 날짜, 요일, 시간이 몇초 오차없이 유지되는 수동 시계. 이런 거 개발할 기술이 세이코나 스위스아미에는 없고, 만들 생각도 하지 않습니다. 500만원을 주고 세이코에서 나온 이런 시계를 산다.. 글쎄요. 같은 돈이라면 저 같으면 오메가의 기본형 시계를 사겠습니다.
물론 저도 세이코 시계 좋아합니다. 특히나 오토매틱으로요. 다이버워치도 하나 가지고 있습니다. 200m 방수에 충격방지 기능이 포함되고, 사파이어 크리스탈 유리에 야광기능 훌륭하면서 월 오차 1분 정도 됩니다. 같은 기능의 오메가 시마스터는 오차가 월 몇초단위로 줄면서 가격은 15배쯤 합니다. 기능만을 놓고보면 차이가 없어서 저는 편하게 쓸 생각으로 세이코시계를 씁니다.
하지만 오메가 수동 시계를 하나 더 가지고 있습니다. 정장을 입을 때나 좀 격식을 차려야 할 곳 등에는 그 시계를 찹니다. 참.. 전 카시오 프로트랙 트리플 센서 모델도 있습니다. 오프로드 갈 때나 캠핑/산에 갈 때 쓰는 시계입니다.
자동차도 그렇습니다. '스포츠카'라는, 빨리 달려야 하는 용도에 의한 선택도 있지만, 꼭 그 사용 용도를 뛰어넘어 그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가치 때문에 구매하는, 소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에겐 오메가 시계가 그렇죠. 성능은 뛰어나지만 전 그 시계가 200m 방수 기능이 있다고 해서 바다에 다이빙할 때 가져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세이코 다이버 워치를 쓰면 되거든요. 비슷한 성능의..
'최고'는, 시대에 따라 조금은 뒤쳐질수도 있고 다시 앞설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2008년 7월 기준이 그렇겠지요. 지금 뒤져있다고 그 브랜드가 망한 것도 아닌데요.
어떻게 될지 바라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 회사에서 근무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피터지는 싸움판이지만, 세상에서 제일 재미있는 것이 싸움 구경하고 불 구경이라니까요. ㅎㅎ
저 랩타임이, 그것도 '뉘르부르크'라는 서킷 한곳에서 측정한 수치가 '슈퍼카'라는 것을 판단하는 절대적인 기준인지가 궁금하네요.
게다가 20km 거리의 서킷을 서로 다른 드라이버가, 다른 기후조건(습도만 높아져도 몇초는 차이납니다)에서 측정한 것을 빠르기를 따지는'절대적인' 기준처럼 보는 것은 무슨 이유인지 궁금하네요.
뉘르의 서킷 랩타임은 하나의 'reference'일 뿐이라는 생각입니다. 참고사항이죠. 페라리건 포르쉐건, 이미 충분하게 빠릅니다. 그 랩타임에 목을 맬 이유가 있을까요? '수퍼카' 브랜드라면 당연히 그렇게 해야할까요? 그거 하나만 바라보고 차를 만들어야할 이유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뭐... 할 수도 있겠지요. 자존심 상한 포르쉐가 비장의 꼼수를 발휘해서 정말 건조하고 접지 좋은 날을 잡아 뉘르에 특화된 드라이버 세명쯤을 투입하면 몇초쯤은 더 당길 수 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콜벳이나 GTR이 만든 기록을 깨트릴 수도 있지 않을까요?
이런게 의미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건 성능의 문제가 아니라 마케팅의 문제니까요.
지상근님이 말씀하신 시계 비유, 저도 공감하면서도 조금 다르게 보입니다.
GTR은, 그리고 NSX는 기술적으로 페라리 등과 같은 레벨에 올라섰습니다. 아니, 뉘르의 랩타임으로 보면 그보다 더 앞선 것들이 많네요. 자동차는 '역사와 전통'이라는 부분을 제외하면 페라리나 포르쉐에 근접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시계에서는 '절대적으로 넘지 못할' 선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한번 맞춰놓고 태엽만 감아주면 '문페이즈(달 모양)', 날짜, 요일, 시간이 몇초 오차없이 유지되는 수동 시계. 이런 거 개발할 기술이 세이코나 스위스아미에는 없고, 만들 생각도 하지 않습니다. 500만원을 주고 세이코에서 나온 이런 시계를 산다.. 글쎄요. 같은 돈이라면 저 같으면 오메가의 기본형 시계를 사겠습니다.
물론 저도 세이코 시계 좋아합니다. 특히나 오토매틱으로요. 다이버워치도 하나 가지고 있습니다. 200m 방수에 충격방지 기능이 포함되고, 사파이어 크리스탈 유리에 야광기능 훌륭하면서 월 오차 1분 정도 됩니다. 같은 기능의 오메가 시마스터는 오차가 월 몇초단위로 줄면서 가격은 15배쯤 합니다. 기능만을 놓고보면 차이가 없어서 저는 편하게 쓸 생각으로 세이코시계를 씁니다.
하지만 오메가 수동 시계를 하나 더 가지고 있습니다. 정장을 입을 때나 좀 격식을 차려야 할 곳 등에는 그 시계를 찹니다. 참.. 전 카시오 프로트랙 트리플 센서 모델도 있습니다. 오프로드 갈 때나 캠핑/산에 갈 때 쓰는 시계입니다.
자동차도 그렇습니다. '스포츠카'라는, 빨리 달려야 하는 용도에 의한 선택도 있지만, 꼭 그 사용 용도를 뛰어넘어 그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가치 때문에 구매하는, 소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에겐 오메가 시계가 그렇죠. 성능은 뛰어나지만 전 그 시계가 200m 방수 기능이 있다고 해서 바다에 다이빙할 때 가져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세이코 다이버 워치를 쓰면 되거든요. 비슷한 성능의..
'최고'는, 시대에 따라 조금은 뒤쳐질수도 있고 다시 앞설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2008년 7월 기준이 그렇겠지요. 지금 뒤져있다고 그 브랜드가 망한 것도 아닌데요.
어떻게 될지 바라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 회사에서 근무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피터지는 싸움판이지만, 세상에서 제일 재미있는 것이 싸움 구경하고 불 구경이라니까요. ㅎㅎ
2008.07.11 02:02:32 (*.88.178.17)

1,500cc 엔진에 페라리 껍데기만 팔아도 꽤 팔릴것 같습니다......달리기보다는 뽀다구가 ㅎㅎㅎㅎ . 제로백 20초라도 껍데기가 페라리인데....뭐가 부족하랴...! ㅎㅎ
2008.07.11 02:20:54 (*.34.30.7)

김성환님 글은 항상 잘 읽고 있습니다. 그리고 김병혁님 말씀처럼 뉘르가 대세라고 저 또한 생각합니다. 이번 답글의 굴비 수를 보면서 충분히 실감하고 있습니다.
수입차의 시장침투가 몇해전 본격화 되면서 뉘르 스티커를 차에 붙이고 다니는게 유행이 되버린 것처럼, 미국에서도 많은 젊은 매니아들이 뉘르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들 또한 베스모를 봅니다. 영문 나레이션 또는 더빙 된 버젼으로... .
노드슐라이페의 랩타임이 뜨거운 감자가 된건 이미 수십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요. 노드슐라이페는 오래전 부터 조상들의 열린 공간이었고, 오늘날에는 20유로만 내면 일부 구간을 돌 수 있는 세계인의 관광 명소가 되었습니다. 물론 자동차 문화 관점에서 역사적으로 많은 일들이 그곳에서 있었기에 오늘까지도 주목을 받는 이유도 있습니다.
노드슐라이페의 독특함은 인간의 한계를 시험한다는데 있습니다. PS 게임에서 뉘르는 롤러 코스터를 타듯 스릴 만점인 코스입니다. 제가 실제로 돌아봐도 분명 위험한 코스인게, 목숨을 위협함에도 불구하고 초모랑마 산을 오르려는 인간의 도전과 정복 정신처럼, 시험대에 오르듯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곳이 뉘르입니다. 이러한 부분들이 뉘르를 여전히 찾는 다수가 느끼는 효용 가치라고 봅니다.
하지만 호켄하임이나 후지스피드웨이와 같은 트랙에서는 뉘르에서의 효용 가치를 느끼기가 어렵습니다. 역사적으로 뉘르 같은 곳이 아니고 그렇게 될 수도 없습니다.
수입차의 시장침투가 몇해전 본격화 되면서 뉘르 스티커를 차에 붙이고 다니는게 유행이 되버린 것처럼, 미국에서도 많은 젊은 매니아들이 뉘르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들 또한 베스모를 봅니다. 영문 나레이션 또는 더빙 된 버젼으로... .
노드슐라이페의 랩타임이 뜨거운 감자가 된건 이미 수십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요. 노드슐라이페는 오래전 부터 조상들의 열린 공간이었고, 오늘날에는 20유로만 내면 일부 구간을 돌 수 있는 세계인의 관광 명소가 되었습니다. 물론 자동차 문화 관점에서 역사적으로 많은 일들이 그곳에서 있었기에 오늘까지도 주목을 받는 이유도 있습니다.
노드슐라이페의 독특함은 인간의 한계를 시험한다는데 있습니다. PS 게임에서 뉘르는 롤러 코스터를 타듯 스릴 만점인 코스입니다. 제가 실제로 돌아봐도 분명 위험한 코스인게, 목숨을 위협함에도 불구하고 초모랑마 산을 오르려는 인간의 도전과 정복 정신처럼, 시험대에 오르듯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곳이 뉘르입니다. 이러한 부분들이 뉘르를 여전히 찾는 다수가 느끼는 효용 가치라고 봅니다.
하지만 호켄하임이나 후지스피드웨이와 같은 트랙에서는 뉘르에서의 효용 가치를 느끼기가 어렵습니다. 역사적으로 뉘르 같은 곳이 아니고 그렇게 될 수도 없습니다.
2008.07.11 09:35:12 (*.127.196.175)
어떤 쪽이건 자뻑을 할 일이 아니라 그런 차가 나와서 즐겁다는 내용이라고 이해했습니다.
전 글을 써서 10년동안 밥을 빌어 먹었던 사람입니다. 글을 보면 그 행간의 이야기와 원하는 내용을 읽을 줄압니다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더이상 드릴말씀이 없습니다
맨 윗줄 대로 이해하셨으면 그렇게 이해하지 않은 사람들과는 다른세계에 사시고 계시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이동희님 생각이 다른사람들과는 다를수도 있겠지만 그게 전부인양 말하시는게 더 이상합니다... 전 문맥을 아무리봐도 자뻑이란 단어는 GT-R을 향한것이라고 밖에 말씀드릴수 없군요... 전 단순히 글을 바꿨을뿐입니다 그런데도 비약이라는 단어를 쓰실정도면... 그리고 저도 포르쉐를 깍아내릴 마음으로 쓴건 아니었는데 그렇게 이해하신다면... 문맥을 잘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이동희님의 마음이 어느곳에 있다는건 분명하지요)
또 무언의 동의를 하셨다고 생각합니다 (글을 전체를 봐도 무슨뜻인지 분명한데... )
그리고 자랑이 될수없다는 말을.... 뉘르 전부다...!!! 라고 이해하시는것도 참 대단하십니다
제가 그랬지요? 오해는 오해하고 싶은 마음에서 온다고...
전 글을 써서 10년동안 밥을 빌어 먹었던 사람입니다. 글을 보면 그 행간의 이야기와 원하는 내용을 읽을 줄압니다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더이상 드릴말씀이 없습니다
맨 윗줄 대로 이해하셨으면 그렇게 이해하지 않은 사람들과는 다른세계에 사시고 계시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이동희님 생각이 다른사람들과는 다를수도 있겠지만 그게 전부인양 말하시는게 더 이상합니다... 전 문맥을 아무리봐도 자뻑이란 단어는 GT-R을 향한것이라고 밖에 말씀드릴수 없군요... 전 단순히 글을 바꿨을뿐입니다 그런데도 비약이라는 단어를 쓰실정도면... 그리고 저도 포르쉐를 깍아내릴 마음으로 쓴건 아니었는데 그렇게 이해하신다면... 문맥을 잘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이동희님의 마음이 어느곳에 있다는건 분명하지요)
또 무언의 동의를 하셨다고 생각합니다 (글을 전체를 봐도 무슨뜻인지 분명한데... )
그리고 자랑이 될수없다는 말을.... 뉘르 전부다...!!! 라고 이해하시는것도 참 대단하십니다
제가 그랬지요? 오해는 오해하고 싶은 마음에서 온다고...
2008.07.11 09:36:11 (*.127.196.175)
사견인데 아직까지 GT-R이 포르쉐보다 뛰어난 스포츠카라고 자뻑(?)하는 사람(환자 기준)은 없을 것 같습니다. 츠치야 게이치도 아직 안한걸로 압니다. 그랬다면 마케팅 스폰서구요.
를...
어떤 쪽이건 자뻑을 할 일이 아니라 그런 차가 나와서 즐겁다는 내용이라고 이해했습니다.
--> 참 대단하신 이해력을 가지고 계십니다 오해는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를...
어떤 쪽이건 자뻑을 할 일이 아니라 그런 차가 나와서 즐겁다는 내용이라고 이해했습니다.
--> 참 대단하신 이해력을 가지고 계십니다 오해는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2008.07.11 09:39:23 (*.127.196.175)
논지라는 것은, 처음부터 끝까지 같아야 합니다. 뉘르의 기록은 레퍼런스로써 수퍼카임을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이며 전부는 아니다라는 것이 처음부터 지금까지의 제 이야기입니다. 그 이야기에서 한걸음이라도 멀어졌었나요? ---> 저역시 같은 말을 하고 싶군요
제논지가 바뀌었다는 이야기인데... 어디서 어떻게 바뀌었나요?
딴지도 거리도 아닌 딴지를 계속 걸고싶은 모양이신데... 좀 제대로 알고 거시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전 글을 써서 10년동안 밥을 빌어 먹었던 사람입니다. 글을 보면 그 행간의 이야기와 원하는 내용을 읽을 줄압니다" 라고 말하시려면 말입니다
제논지가 바뀌었다는 이야기인데... 어디서 어떻게 바뀌었나요?
딴지도 거리도 아닌 딴지를 계속 걸고싶은 모양이신데... 좀 제대로 알고 거시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전 글을 써서 10년동안 밥을 빌어 먹었던 사람입니다. 글을 보면 그 행간의 이야기와 원하는 내용을 읽을 줄압니다" 라고 말하시려면 말입니다
2008.07.11 09:42:30 (*.127.196.175)
수퍼카가 빠르지 않다면 죽어 마땅하다고, 그래서 망할 것 (?? 언제 망할것이라고 했나요?) 이라고 비난을 퍼부으셨던 분의 논지가 아니군요.
슈퍼카가 스피드 경쟁을 포기한다면 더이상 스포츠카 메이커로서의 자격이 없다고 말씀드렸군요... 죽어마땅하다...라는 비약은 왜하세요?
글을 써서 10년동안 밥을 드신분이...
슈퍼카가 스피드 경쟁을 포기한다면 더이상 스포츠카 메이커로서의 자격이 없다고 말씀드렸군요... 죽어마땅하다...라는 비약은 왜하세요?
글을 써서 10년동안 밥을 드신분이...
2008.07.11 09:44:14 (*.127.196.175)
전 반대를 위한 반대에는 리플을 달아야할 이유를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이동희님께 사적인 감정도 없을뿐더러...
이동희님을 지목한적도 없느데...
왜 오버를 하시는지... 이건 아니다 싶어 적어봅니다...
제가 이동희님께 사적인 감정도 없을뿐더러...
이동희님을 지목한적도 없느데...
왜 오버를 하시는지... 이건 아니다 싶어 적어봅니다...
2008.07.11 10:10:43 (*.219.0.69)

좋은게 좋은건데... 두 분, 마치 꼭 뉘르를 달리는 두 레이서 같으세요. 뉘르는 '자신과 애마가 함께하는' 도전장입니다. WRC라고 생각하시고, 서로 기분 풀어주시고 :-)하세요.
2008.07.11 10:15:04 (*.148.159.138)

개인적인 의견 교환은 쪽지로...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댓글에 대한 꼬리잡기는 댓글로 보기 거북합니다...
상당한 비꼬기밖에 안보이는게 참...
특히 댓글에 대한 꼬리잡기는 댓글로 보기 거북합니다...
상당한 비꼬기밖에 안보이는게 참...
2008.07.11 10:23:11 (*.219.0.69)

제가 쓴 글에 리플이 100개가 넘어가다니.. 테드 가입하고 처음인 것 같군요. 참 놀랄 일이긴 합니다. ^^
굳이 의견이 있으시면 쪽지로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스포츠카냐 수퍼카냐의 정의 문제에대한 논의는 더 아닌 것 같네요. 어쩌다가 이 글이 '마음을 읽히는 독심술'까지 발전할 줄은 몰랐습니다. ^^;; 거북함을 느끼신 회원분들께는 죄송합니다.
굳이 의견이 있으시면 쪽지로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스포츠카냐 수퍼카냐의 정의 문제에대한 논의는 더 아닌 것 같네요. 어쩌다가 이 글이 '마음을 읽히는 독심술'까지 발전할 줄은 몰랐습니다. ^^;; 거북함을 느끼신 회원분들께는 죄송합니다.
2008.07.11 10:36:37 (*.127.196.175)
저역시 제글이 못마땅해서 리플을 일일히 열거하며 딴지를 거실거라면 쪽지로 주셨으면 하는 바램이 있었습니다만...
굳이 의견이 있으시면 쪽지로 주십시요... 저도 감사히 받겠습니다
거북함을 느끼게 만들어드려서 저역시 죄송합니다
굳이 의견이 있으시면 쪽지로 주십시요... 저도 감사히 받겠습니다
거북함을 느끼게 만들어드려서 저역시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