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안녕하세요, 테드의 유령회원 문정식입니다. ^^
요즘 유가도 엄청나게 오르고, 거기다가 매일같이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용인-청량리를 왕복해야 해서, 고속도로의 차들이라던가 버스의 운행 패턴에 대해서 자주 생각하게 합니다.
사실, 그동안 제가 주로 타고다니는 빨강버스들을 생각을 해보면, 고속도로의 무법자(!) 1차선의 날라다니는 세단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추월하지 않는 배틀쉽 이런 기분의 느낌이었는데
얼마전 조금 신선한 충격을 받아서, 이야기를 써봅니다.
집근처에서 오가는 1560 광역좌석버스를 타고 서울로 올라가던중에,
다른 버스회사 버스라면 엔진음이 터지도록 나야하는데, 이상하게 버스가 너무 조용한겁니다.
그래서 계속 주시를 하고 있으니 기사분께서 탄력주행 + 몇단계로 나눈지 모르는 엑셀링을 시전중이시더군요.
달래내 고개를 올라가는중에도 스무스한 엑셀링과, 내려가는중엔 엑셀링 없이 탄력주행으로만 주행하는 모습을 보며 굉장히 감명깊고 편했습니다.
또한 안전거리를 정말 100m이상을 준비를 하셔서 급가속/급정지가 없었던 점도 매우 감명깊었지요.
그런면에서 편한 탑승도 가능해지고 연비도 절약하는 일석 이조가 되는 것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속도가 느리지도 않았습니다.)
반면에 조금 유사한노선을 달리는 다른회사의 5000, 5001, 5001-1, 5005 번버스들을 타다보면 버스기사가 급가속, 초고속크루징(그것도 엑셀을 뗐다 밟았다 반복 하면서) 급차선변경, 급정지를 반복하는데, 이런버스를 타다보면 앉아있어도 편하게 이동을 못하게 됩니다. 언제 버스가 밟을지, 멈출지 모르니 온몸의 근육이 긴장하고 있죠. 하지만 저런 버스를 타다보면 온 몸이 릴랙싱되어서 정말 편하게 버스를 타고 어딘가를 이동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자가운전에 비해서 대중교통이 가지는 확연한 장점이 이동중에 운전을 하지 않고, 다른일 - 예를들어 책을 읽는다던가, 문서들을 검토한다던지 - 을 하던지, 아니면 편하게 휴식하면서 이동하는게 최대의 의의가 아니겠습니까.
그런면에서, 대중교통의 연비운전 그리고 좀 더 편안한 탑승을 보장하는 버스기사님들의 운전이 좀 더 요구된다고 생각합니다.
p.s 집 근처의 1560과 유사회사인 116-1번 버스노선중 어떤 기사분께서는 긴 신호(2분이상) 대기시엔 시동을 사정없이 꺼버리시더군요. 이 역시 기름값이 많이 올랐구나 라는 생각도 들지만 일상적인(!) 주행에서 사람들이 이런 습관을 가지면 좀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p.s 2 서울 시내 버스는 너무 난폭해요..ㅠ_ㅠ
요즘 유가도 엄청나게 오르고, 거기다가 매일같이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용인-청량리를 왕복해야 해서, 고속도로의 차들이라던가 버스의 운행 패턴에 대해서 자주 생각하게 합니다.
사실, 그동안 제가 주로 타고다니는 빨강버스들을 생각을 해보면, 고속도로의 무법자(!) 1차선의 날라다니는 세단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추월하지 않는 배틀쉽 이런 기분의 느낌이었는데
얼마전 조금 신선한 충격을 받아서, 이야기를 써봅니다.
집근처에서 오가는 1560 광역좌석버스를 타고 서울로 올라가던중에,
다른 버스회사 버스라면 엔진음이 터지도록 나야하는데, 이상하게 버스가 너무 조용한겁니다.
그래서 계속 주시를 하고 있으니 기사분께서 탄력주행 + 몇단계로 나눈지 모르는 엑셀링을 시전중이시더군요.
달래내 고개를 올라가는중에도 스무스한 엑셀링과, 내려가는중엔 엑셀링 없이 탄력주행으로만 주행하는 모습을 보며 굉장히 감명깊고 편했습니다.
또한 안전거리를 정말 100m이상을 준비를 하셔서 급가속/급정지가 없었던 점도 매우 감명깊었지요.
그런면에서 편한 탑승도 가능해지고 연비도 절약하는 일석 이조가 되는 것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속도가 느리지도 않았습니다.)
반면에 조금 유사한노선을 달리는 다른회사의 5000, 5001, 5001-1, 5005 번버스들을 타다보면 버스기사가 급가속, 초고속크루징(그것도 엑셀을 뗐다 밟았다 반복 하면서) 급차선변경, 급정지를 반복하는데, 이런버스를 타다보면 앉아있어도 편하게 이동을 못하게 됩니다. 언제 버스가 밟을지, 멈출지 모르니 온몸의 근육이 긴장하고 있죠. 하지만 저런 버스를 타다보면 온 몸이 릴랙싱되어서 정말 편하게 버스를 타고 어딘가를 이동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자가운전에 비해서 대중교통이 가지는 확연한 장점이 이동중에 운전을 하지 않고, 다른일 - 예를들어 책을 읽는다던가, 문서들을 검토한다던지 - 을 하던지, 아니면 편하게 휴식하면서 이동하는게 최대의 의의가 아니겠습니까.
그런면에서, 대중교통의 연비운전 그리고 좀 더 편안한 탑승을 보장하는 버스기사님들의 운전이 좀 더 요구된다고 생각합니다.
p.s 집 근처의 1560과 유사회사인 116-1번 버스노선중 어떤 기사분께서는 긴 신호(2분이상) 대기시엔 시동을 사정없이 꺼버리시더군요. 이 역시 기름값이 많이 올랐구나 라는 생각도 들지만 일상적인(!) 주행에서 사람들이 이런 습관을 가지면 좀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p.s 2 서울 시내 버스는 너무 난폭해요..ㅠ_ㅠ
2008.07.09 17:56:45 (*.150.0.242)

수원에서 버스를 탔더니 버스 안에 노선표가 없더군요. _-_
와이프는 서울 버스 정류장에는 왜 몇 번 버스가 언제 오는지 알려주는 장치가 없냐고 하고. -_-
와이프는 서울 버스 정류장에는 왜 몇 번 버스가 언제 오는지 알려주는 장치가 없냐고 하고. -_-
2008.07.09 18:01:35 (*.193.194.21)

전국에서 가장 선두격으로 시내외 자동환승시스템(하차때 환승찍고 1시간이내
무제한 환승)이 가능한 지역이면서 주요정거장마다 LCD 노선안내판과
LED조명전광판이 설치되어 현재 내가탈 버스가 어디쯤 오고있으며 도착
대기시간은 얼마나 남아있는지의 정보가 안내되어 무척 편리합니다.
(안내 시스템의 설치는 1년여 훨씬 넘었음)
버스노선 변경이나 증/하차 관련에 대해선 시청에서 평일/토요일/일요일에
대한 배차시간표가 엑셀로 전부 제공되고 있구요~
다만 기존 버스노선이 A에서 A-1으로 변경되면 관련정거장마다 관련정보가
업데이트가 신속히 되지 못한다는 점이 가장 문제점이기도 하구 제가 그
문제점의 지역에 거주하다보니 무척 불편합니다. ㅡ_ㅡ;;;
수도권내의 광역버스차량의 난폭운전이 문제라면 울산버스도 시외곽으로
벗어나면 만만치 않습니다. 거의 드래그수준인 경우도 있지요. ㅎㅎㅎ
저희 여직원은 신호등 무시후 달리는 버스와 트레일러와의 충돌로 인한
사고후유증으로 3개월입원후 현재 6개월째 통원치료와 더불어 공황장애로
인한 심각한 장애를 겪고 있습니다.
무제한 환승)이 가능한 지역이면서 주요정거장마다 LCD 노선안내판과
LED조명전광판이 설치되어 현재 내가탈 버스가 어디쯤 오고있으며 도착
대기시간은 얼마나 남아있는지의 정보가 안내되어 무척 편리합니다.
(안내 시스템의 설치는 1년여 훨씬 넘었음)
버스노선 변경이나 증/하차 관련에 대해선 시청에서 평일/토요일/일요일에
대한 배차시간표가 엑셀로 전부 제공되고 있구요~
다만 기존 버스노선이 A에서 A-1으로 변경되면 관련정거장마다 관련정보가
업데이트가 신속히 되지 못한다는 점이 가장 문제점이기도 하구 제가 그
문제점의 지역에 거주하다보니 무척 불편합니다. ㅡ_ㅡ;;;
수도권내의 광역버스차량의 난폭운전이 문제라면 울산버스도 시외곽으로
벗어나면 만만치 않습니다. 거의 드래그수준인 경우도 있지요. ㅎㅎㅎ
저희 여직원은 신호등 무시후 달리는 버스와 트레일러와의 충돌로 인한
사고후유증으로 3개월입원후 현재 6개월째 통원치료와 더불어 공황장애로
인한 심각한 장애를 겪고 있습니다.
2008.07.09 18:55:44 (*.100.185.176)

광주광역시내지역도 1시간내에 무제한 입니다.... 정류장에서 화면으로 xx번 10분 뒤에 도착 현재위치 yy사거리...이렇게 표시가 되던데요.... 그러나 주행은 좀 스포티하죠~~~
2008.07.09 23:55:52 (*.99.9.22)
여선암님/5000번 유명한 버스였군요.. 오늘도 집에오는길은 너무 힘이들었습..ㅠ_ㅠ
적어도 수도권의 노선이라면 노선도, 시간표, 실시간 위치를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버스에 한해) 서울시 버스는 http://bus.seoul.go.kr 경기도 버스는 http://www.gbis.go.kr 입니다. 경기도의 경우, 마을버스가 모니터링이 안되는 경우가 왕왕 있어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핸드폰 데이터 정액제를 사용하신다면 287 + 인터넷 버튼 (서울시) 4247 + 인터넷 버튼을 누르시면 정류장별 실시간 버스 도착현황을 알 수 있습니다. ^^ 근데 전국시스템이 정말 아쉽더군요.. =_= 그리고 광화문 - 용인간 노선은 진짜 상황이 안좋았었는데, 각 방송사에서 뉴스시간에 배차대수 모잘라서 꽉 차서 서서가는 장면 몇번 찍어 보내주니 서울시가 증차해주더군요 =_=. 참 화났습니다.
예승철님/수원시 버스들은 예전부터 버스내 노선도가 정말.. 후우. 이유는 알 수 없어요... 그나마 BIS도 GBIS에 얹어서 하는거라...... 수원시는 큰돈 안들이고 생색내는거죠.. 서울시는 ARS시스템이랑 WAP시스템이 있으니깐, 그렇게 정류장마다 LCD달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
장요섭님/예전에 용인시에서 99-01년 시절 TRS+LED 디스플레이 기반 버스정보시스템을 만들었었는데 시범서비스만 2년쯤 하다가 문 닫았죠.... 그것도 나름 꽤 최초에 가깝다고 들었는데... 다른 시하고 협조가 전혀 안되서 무산됐었죠. (결국엔 경기도에서 손걷고 나서서 해결..)
여직원분은 완쾌가 됐으면 좋겠네요..ㅠ_ㅠ. 대중교통시설에서 사고 경험이 정말 무섭다던데...
최태웅님/스포티한 버스 정말 너무 싫어요.. 우훅 ㅠ_ㅠ. (모르는 사람하고 살 부딪히는걸 극도로 싫어해요)
적어도 수도권의 노선이라면 노선도, 시간표, 실시간 위치를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버스에 한해) 서울시 버스는 http://bus.seoul.go.kr 경기도 버스는 http://www.gbis.go.kr 입니다. 경기도의 경우, 마을버스가 모니터링이 안되는 경우가 왕왕 있어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핸드폰 데이터 정액제를 사용하신다면 287 + 인터넷 버튼 (서울시) 4247 + 인터넷 버튼을 누르시면 정류장별 실시간 버스 도착현황을 알 수 있습니다. ^^ 근데 전국시스템이 정말 아쉽더군요.. =_= 그리고 광화문 - 용인간 노선은 진짜 상황이 안좋았었는데, 각 방송사에서 뉴스시간에 배차대수 모잘라서 꽉 차서 서서가는 장면 몇번 찍어 보내주니 서울시가 증차해주더군요 =_=. 참 화났습니다.
예승철님/수원시 버스들은 예전부터 버스내 노선도가 정말.. 후우. 이유는 알 수 없어요... 그나마 BIS도 GBIS에 얹어서 하는거라...... 수원시는 큰돈 안들이고 생색내는거죠.. 서울시는 ARS시스템이랑 WAP시스템이 있으니깐, 그렇게 정류장마다 LCD달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
장요섭님/예전에 용인시에서 99-01년 시절 TRS+LED 디스플레이 기반 버스정보시스템을 만들었었는데 시범서비스만 2년쯤 하다가 문 닫았죠.... 그것도 나름 꽤 최초에 가깝다고 들었는데... 다른 시하고 협조가 전혀 안되서 무산됐었죠. (결국엔 경기도에서 손걷고 나서서 해결..)
여직원분은 완쾌가 됐으면 좋겠네요..ㅠ_ㅠ. 대중교통시설에서 사고 경험이 정말 무섭다던데...
최태웅님/스포티한 버스 정말 너무 싫어요.. 우훅 ㅠ_ㅠ. (모르는 사람하고 살 부딪히는걸 극도로 싫어해요)
2008.07.10 01:06:57 (*.49.199.220)

빠르게 모는 나름대로의 사정들이 있겠지만
모든 기사분들이 저렇게만 몰아준다면 좋겠네요 ^^
저희동네에선 버스가 티뷰론을 앞질러 가요 (ㅜㅜ )
모든 기사분들이 저렇게만 몰아준다면 좋겠네요 ^^
저희동네에선 버스가 티뷰론을 앞질러 가요 (ㅜㅜ )
2008.07.10 08:19:06 (*.126.244.81)

저도 수원에 자주가서 타는 버스가 주로 정해져있는데(1112 혹은 1007) 95에서 리밋이 걸립니다. 95를 넘어가면 부저가 울리고 98을 넘어가면 부저음이 바뀌면서 기록이 된다고 하더군요.
편하긴하지만 상당히 답답하다고 느낀적이 많았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다른버스들은 항상 제가 탄 버스를 추월해갔던 기억이 나는군요.
편하긴하지만 상당히 답답하다고 느낀적이 많았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다른버스들은 항상 제가 탄 버스를 추월해갔던 기억이 나는군요.
일부 조용한 기사분들도 계시지만 주로 WRC처럼 운전하시는 분이 대부분이죠.
문정식님 말씀대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은 돈도 절약하지만 운전을 안하고 편하게 간다는 장점이 더 큰데요. 제가 타는 버스는 그렇지 못하죠.
버스가 130이상 안나가서 망정이지 250키로가 나온다면 거기까지 밟으실 분들이 대부분이라고 봅니다.
제가 타는 노선의 경우 승객이 아무도 빨리가라고 재촉하는 사람이 없는데 운행시마다 베틀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그래서 편하게 목적지까지 가는 것은 일단 불가능합니다. 엄청 멀미가 나거든요. 의자도 꽉 잡아야하고.
물론 배차시간 맞춘다고 그러시지만 그렇다면 준법운행을 해서 배차가 빵꾸나면 차량 댓수를 늘리는 방식도 필요할텐데요. 왜 그렇게 달리는지 모르겠어요.
기사는 기사대로 차량대수 늘리는 것은 서울시가 허가해줘야한다고 하지만... 우리 정부는 20년 전부터도 대중교통을 이용하라고 캠페인하는 것같지만 실상 보면 별로 하는 것도 없느 것같아요.
제가 대중교통을 전국단위로 사용하면서 다녀보니 돈 절감이 엄청나더군요. 특히 운전을 안해도 좋고.
문제는 노선표나 시간표가 전국단위로 나온 것이 없기에 불편했습니다.
건교부에 그런 홈페이지 등이 없냐고, 문의했더니 아직도 준비중이랍니다.
우리나라 대중교통의 역사가 50년은 되었을텐데 왜 아직도 준비중인지 모르겠고, 우리나라는 IT강국인데 그런 표도 일목요연하게 못만드나... 분통이 터지더군요.
우리가 낸 세금 다 어디갔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