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중학생시절 프리첼 테드에 가입해서 환상만 키워오다가
외국 거주하는 관계로 고1때 면허따서 운전하기 시작해서
제차 남의차 정말 꼼꼼히 보는성격입니다. 요즘은 다운타운거주하고 워낙 돈많이 깨지는 동네라 잠시 차없이 살고있지만
지인차도 많이 몰고 이차 저차 많이 빌려서 타고있습니다.
예전에는 참 독일차 일본차에 대한 환상이 많았습니다.
확실히 독일차는 하체의 탄탄한 느낌이나 드라이빙 느낌은 맘에 들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소유했던 혼다차나 기타 주변이야기를 들어도 가벼운 주행감은 맘에 안들지만 내구성은 맘에 들었고요
어린나이에 참 국산차 무시했는데..
나이 들고 한국 들어갈때마다 어머니차 몰아보고 이차 저차 한번씩 몰아보면서 느끼지만 참 많이 좋아졌구나 생각합니다
주변에 한국차 처다도 안보던 교포분들도 요즘에는 한국차 구매하시는분들이 적지 않고요
독일차보다 떨어진다기 보다는 추구하는 방향이 다른거 같고 일본차보다는 떨어질게 없다고 많이 느낌니다.
특히나 가격대비 옵션보면 참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왜 우리나라 네티즌들은 이세상에서 차가 가장 저렴한 미국과 비교하면서 현대가 비싸다고 욕하고
타보지도 않았거나 한두번 경험하고 엔트리급 독일차 숭배하고 국산차를 깍아 내리기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현대와 현다이모터스는 다르다는분들도 있지만 현기차는 북미에서는 엄청나게 팔려나가고있고
저 처음 왓을때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정도로 인정받는게 현실인데...
수입차를 많이 안몰아서 환상이 있는건지 그냥 대기업에 대한 반감인지 좀 합리적이지 않은 이유로
국산차 특히 현기차만 무조건 적으로 욕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예전에 여기서도 제가 봤던 많은 리플중에 하나가
[소나타 사이즈에 다운사이즈 되어 연비좋은 엔진얹고, 패밀리카로 넉넉한 웨건이 나오면 '반드시 산다']
는 리플이 참 많았습니다. 저도 그랬구요.
i40 어떻게 되었죠? 매니아적인 시각과 실제 시장은 이렇게 다른겁니다.
내가 차를 좋아한다고 시장을 잘 알고, 수요예측도 가능하다고 생각하며, 대기업의 기술발전 방향이
어떠니 하는거야 좋지만, 모든것이 정도껏 이어야 좋겠죠.
본문의 화제로 돌아와보자면... 제가 어렸을 적엔 국산차중에는 타고싶은게 전혀 없더니, 지금은
타고싶은 차가 많아졌다 라는 감상입니다.

현기를 좋아하는 이유는 차를 구입할 시점에서
다른 메이커(gm이나 르삼)보다 먼저 깡통모델에 자세제어장치와 사이드커튼에어백을 장착할수 있게 해준데 있습니다.
반대로 현기를 까는 이유는 지금도 제차가 썩어가고(2010년의 기아에는 아연도금이 적용안되어있는것같습니다.) 있다는데 있습니다. !!!!!!ㅜㅜㅜㅜㅜ

참조용 자료 하나 올려 봅니다.
일본의 월별 국산차/수입차 신규 등록 대수 (수입차 브랜드별 등록 대수)




몇년전에 안전옵션장난질(사이드 에어백 이나 동승자 에어백,VDC은 상위트림에서만 선택가능..)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분노했었고...(미국은 안전옵션기본채택..) 인터넷중심으로 비난 여론이 들끓자...
요즘은 안전옵션을 가지고는 많이 관대해(?)진듯한 모습에서...
현대차에대한 비판도 긍정적인 측면이 상당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체나 차체 세팅도 예전세대 모델과는 다르게 많이 탄탄해진 모습들을 보면..
차량 애호가(?)들의 많은 쓴 말과 회초리도 결국 현대차의 성장에는 도움을 주는거 같습니다..
국산차(현기등)에 대한 비판은 그래도 관심이 있어서 한다는말... 이거 틀린말은 아닌듯 합니다.
사실 저는 국산차는 자동차 그 자체로써 관심은 있지만 구매 관심은 전혀 없습니다. 사실 저 같은 부류가 국산차에 도움이 안되는 부류죠. 제 첫차가 스쿠프였고... 그 이후 소나타, 티뷰론 srx, tgx 등을 탔었지요.
국산차 타면서 징글 징글 고생했느냐?? 그런거 없어요. 고장도 별로 없었고 만족하면서 사용했습니다. 오히려 지금 차들보다 유지보수 편하고 그랬지요.

구형 혼다 '땡처리' 한다는 기사가 오늘 실렸네요....
혼다 정도라면, 조금만 구형이 되도 '땡처리'를 해야 팔리는 것이 요즘 국내 현실입니다. ^^

장사꾼이 만드는 물건과 장인이 만드는 물건의 차이랄까....얼마전 단지 추돌사고인데 불이나 4가족이 숨진이유가 무얼까?라는 생가이 들기도 하고...(물론 전문가들이 하는 얘기로 연료 파이프가 동제품이 아니라 플라스틱제라서...), 고속도로 지나다 차가 뒤집혀졋는데 눌러앉은 천장으로 인해 중상이나 사망한 사람들으 보았을때..옛날에 천장에 승용차 7대나 쌓아놓은 광고를 한 차였다면하는 생각과 함께 실내 조명등이나 TV를 다는 대신에 천장을 조금만 더 단단하게 만들었 어도 하는 아쉬움이 들때가 많아요.
외제차만 타더라도 매국노 보는 눈빛으로 바라보며 국산차 애용하는 국민들이 있었기에 이만큼 성장했는데, 이제는 번쩍이는 불하나 더붙이는 사탕발림으로 많이 팔려는 장사꾼의 태도보다는 자존심을 가지고 국민의 안전을 더생각하는 기업이되었으면 ....그냥 저의 바램입니다.
다른 시각으로 보시는 분도 계시기에 불쾌한 부분이 있더라도 용서바랍니다.
관점을 좀 비틀어서 보면..
현대 기아차가 최근에 급격히 발전했죠.
미션, 샤시, 도료, 엔진 등 거의 모든 부분에서 어디에 내 놓아도 꿀리지 않을 정도로 발전했다고 생각합니다.
후발 업체로 제대로 된 FR 고급세단을 만들어 낸것도 대단하고..
물론.. 이러한 발전에는 국가의 법적인 보호를 받고.. 국민들의 엄청난 지원이 있었던건 사실이지만..
다른 나라도 자국의 업체를 위해 어느 정도 보호 기준을 마련해주는걸 볼 때.. 현대 기아차가 엄청난 특혜를 받았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또... 현대가 값을 많이 올렸지만... 품질적으로 예전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발전 했기 때문에..
아이러니 하게도..
수입 차량들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낮춰서 들어오고 있죠.
프리미엄 브랜드의 가격도.. 엔트리급에선 어느 수준을 계속 유지하는 이유도 점유율 높고 A/S망 좋은 현대기아차와의 경쟁 때문이고..
도요타, 닛산, 혼다 같은 대중 브랜드의 가격이 신형이 나오면서 낮아지거나.. 그대로인 이유 역시..
현대 기아차가 버텨 주고 있어서라고 생각합니다.
동남아를 봐도.. 자국내 브랜드가 없는 나라의 차량 가격을 보면...
어찌보면.. 애증의 관계에 있더라도.. 현대 기아차라는 제대로 된 차를 만드는 회사가 있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시장이 유지된게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일정부분 동감합니다.
현기차와 경쟁으로 수입차(시장 신규 진입 업체들)이 공격적인 마케팅을 해야 하는 것이죠.
말씀하신 것처럼 덕분에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수입차도 구매 할 수 있는거겟죠.
마찬가지로 현기차가 독점이 아닌 국산차간의 경쟁이 치열하게 있다면
국산차간 경쟁으로 상품성도 높이면서 가격도 지금처럼 올라가지는 않았을듯 합니다.
공급자간 경쟁이 치열 할 수록 소비자는 득이 될 수 있으니..
이 부분은 많이 아쉽습니다.
이럴때는 사업 잘 못한 다른 국산 메이커 탓을 해야 하는지...
로비건 사업적 판단이였건.. 특혜를 받은 것이건 어쨌건..
지금의 독점을 이룬 현기가 대단하다고 해야하는건지..
여튼 그 부분은 소비자들에게 독이 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자국메이커가 있음으로 인해서 저렴한 가격에 누릴 수 있는 혜택을 자동차에서는 본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세계최고수준의 LED 기술을 가지고 있는데도 우리나라에서는 LED TV는 비싼지 진짜 욕을 먹어야 하는 곳은 현대차가 아니라 삼성과 엘지전자라고 생각하는데 인터넷에서는 현대차만 나왔다 하면 벌떼같이 욕을 하면서 삼성 엘지를 그렇게 대하는 경우는 없더군요. 정말 LED TV는 거품이 많다고 생각해서 아직까지도 안사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대차에만 특혜를 준다고 하는데 제가 보기에는 그 어느 나라도 자국 메이커에 특혜를 주려고 하지 외국업체에게 특혜를 주려고 할까요? 오히려 특혜라면 이익이 날 때만 대출금을 갚아도 되는 르노삼성에게 엄청난 특혜와 혈세를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아래에 쓰신 댓글 포함해서 홍석호님 의견에 공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