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최근 테드 게시판의 주제는 국산차 vs 수입차, 그 중 내구성 문제가 부각 되는 거 같습니다.
비슷한 시대의 자동차 두대를 운용하는데 이게 우연찮게 국산차 vs 수입차 구도가 되겠습니다
주제넘은 의견이지만 제 의견은 뭘 어떻게해도 국산차는 수입차를 "흉내낼수도 없다......."가 되겠습니다
한가지 비교를 하자면,
비슷한시기, 같은 부위(?)의 소모품을 교환하게되었습니다.
비교 대상차는
99년식 크레도스2(1.8/MT) : 16만km over
03년식 R32(3.2/MT) : 약 8만km
두 노인네(?)는 비슷한시기(약 두달차이)에 후륜 브레이크시스템(브레이크 디스크+패드)를 교체했습니다
비용은 공임을 포함해서 크레도스가 약 5만원정도 저렴했던걸로 기억합니다.(25만원 vs 30만원)
중요한 사실은 두 차량의 운행거리가 비슷하지만, 오히려 와인딩과 고속주행이 빈번한 R32의 마모율이 현저히 적다는 것입니다.
크레도스의 경우 벌써 디스크가 약간의 단차를 보이더라구요 조금 놀랬습니다
비슷한 가격의 부품임에도 불구하고 동시대 외제차의 내구성을 못따라가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테드 회원님들이 인정(?)하시듯이...2000년대 초반의 독일차들이 단단하다고들 하지만 솔직히 이정도일 줄은 몰랐습니다
현재 크레도스의 경우 하체가 "썩었다"라는 표현이 걸맞을 정도로 부식이 심하고, 심지어 작년에는부식으로 인해 배기가 터져서..
F1 뺨치는 소리를 냈었습니다 ㅡ,.ㅡ;;
하지만 R32의 경우(물론 마일리지는 절반에 가깝지만) 부식이라는게 없습니다.
하부세차 후 리프트에 올려보면 감히 정말 신차 뺨칠정도라고 말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두 자동차 모두 오랜기간 소장하고, 아버지가 저한테 물려주셨듯이 저도 제 아들이 생기면 물려주고 싶은 차들입니다.
하지만 관리를 생각하면 크레도스의 경우 벌써부터 메인터넌스 걱정이 앞서지만, R32의 경우 딱히 걱정할 것이 없습니다.
그냥 정해진 시기에 소모품만 교환해주겠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국산차의 경우 교환주기가 3년이면 적당하고 5년이면 오래탄다는 농담이 많이들립니다.
외제차의 경우 비싼 가격 때문인진 모르겠지만 올드카라 불리는 자동차들이 많습니다.
관리만 잘해도 중간 이상은 간다는 의미겠지요. 그러다보니 매니아도 당연히 생기고...
테드 댓글을 보니 어떤분은 자동차는 그냥 소비재이니 너무 의미를 두지 말자라는 의견이 있더라구요.
어떻게 생각하실진 모르겠지만 제 경우엔 제 안전을 책임지는, 그리고 인생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중요한 물건으로써 내구성에 대한 의미는 크다고 생각합니다.
오랫동안 보고 같이 커가는 존재 같은 느낌입니다. 크레도스의 경우 처음 면허를 받고, 연수를 받고, 데이트를 하고, 여행을 가고.. 많은 추억을 공유하고 있는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제가 관리하는 차들의 차령이 10년가까이 된차들이기에 비교를 한다면 10년뒤에 현세대 국산차vs외제차를 해보면 좀더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겠지요.
하지만, 제가 다음에 신차를 사게된다면 무리를 해서라도 외제차, 특히 독일차를 구매할거 같습니다
(현세대 국산차 중 정말 감동받은차는 i40였습니다. 두대다 정리하고 i40로 넘어갈까 엄청 고민했지요 ㅎ)
동시에, 동시대의 자동차를 관리해보니 "이래서 독일차, 독일차 하는구나"를 뼈저리게 느끼고 있습니다.
인터넷 상에서 많이 접하는 "독일차의 잔고장"을 경험해보지 못해서 그런진 모르겠지만 독일 자동차회사들은 외계인들을 납치해서 기술개발하고 잇는게 분명한 거 같습니다 ㅎㅎ
회원님들의 의견/생각은 어떠신가요?
과연 현세대 국산차들이 10년뒤에도 유지보수하면서 탈만한 차가될까요?
큰 이유랄것도 없습니다. ^^
제 생애 첫차는 91년 입학할때 소나타.. 93년 스쿠프 96년 티뷰론 srx 그리고 tgx. 이 차들 모두 별 불편함이나 문제 없이 만족스럽게ㅡ사용했습니다. 티뷰론은 튜닝의 부흥기 시절이라 이것저것 많이도 해봤지요. ^^
그 후 생애 첫 독일차 e36 323을 타면서 충격이었습니다. 그 다른 느낌.... 사람에 따라 좋을수도 싫을 수도 있는 그 시절 독일차의 느낌..
그 이후 46, 39,53,60 그리고 f10. 현재는 53 x5, 60 520d, 10 535ix가 남아있습니다.
가끔 최신 국산차를 시승해보고 제주 여행시 렌트해서 타보고 합니다. 다릅니다. 사람에 따라 좋을수도 싫을수도 별차이 없을수도 있지만, 저는 국산차가 주는 그 느낌 별로 제 취향은 아닌듯 합니다. ^^ x5교체 예정인제 ml아니면 다시 x5일듯 합니다.

음...지금은 상향평준화가 많이 되어서 주인만 잘 만나면 10년이야 쉬울것 같아요...^^
20년은 지금의 행태라면 부품 수급에서 어려움이 있겠지만요...=.=

개인의 경험, 기호 등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는 외국산 차량 중 폭스바겐, 아우디는 절대 기피 대상입니다. 2000년대 초반에 무척 인기있었던 A4, 비틀, 제타, 파삿를 구매한 덕에 온갖 불필요한 고초를 다 겪은 가족, 친구들을 봐와서요. 차값이야 다른 브랜드와 별 차이도 안나지만 고장난 것 고치느라 길바닥에 쏟아부을 시간이 아깝고 신뢰성에 의문을 갖게되는 차에 가족들을 태우기는 더더욱 싫어서 지금은 쳐다도 안봅니다. 만약 지금 당장 고르라면 렉서스/토요타, 인피니티와 스바루 중에 하나 택하겠습니다. 전부 수입차 - 그것도 일본차네요.

내구성 좋은 골프중에도 최강 스포츠모델인 R32 를 타시니..
이젠 다운그레이드하기 힘드실 듯. ^^
크레도스는 부식이 정말 심한거 같더군요.
독일차랑 수평비교는 어렵다고 봐야죠.
가격도 서너배씩 차이가 나니.. 냠.
03 년식 R32 랑 가격이 비슷한 에쿠스엔트리급이나 그랜저 상위급이랑 비교해야 할거 같아요.
아..5분의 1 가격인 클릭이 있네요.. 그거 03년식이면 아직 쌩쌩할 듯요. ㅎㅎ

이젠 국산차라고 해봐야 두개 브랜드를 가진 한개 그룹밖에 없으니 이 회사를 기준으로 보면 그나마 국제시장에서 보편타당하게 간신히 먹힐만한 수준으로 부품, 차대성능이 올라온게 2000년대 중반이라 생각됩니다. 그보다 몇년 전 그러니까 2000년대 초반 합병 후 지속가능성의 확보가 죽으나 사나 여튼 품질향상이라고 깨닫고 전사적으로 닥달하신 회장님이 때문이랄까요..(.여전히 갈길은 멀지만 뭐...)
크레도스는... 예전 기아차죠.
지금 비교되는 현대 차와는 거리가 좀 있는
게다가..현대의 발전은.. 2000년대 이후이니..
비교가 조금 아닌거 같습니다만...
독일차의 잔고장이란 거에 대한 개념이..
오너들 중심으로.. 미리미리 교환하면 된다는 식으로 생각하고 있죠.
그러니.. 국산차에서는 잔고장인데..
독일차는... 아.. 내가 미리 교환을 안해서 생기는 거구나...
소모품만 갈아주면 되는구나...
하는....

국산차와 수입차를 비교할 때 현대차 기준으로 NF 이전의 차는 비교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해외에서의 평가도 09년 YF 이후에서 좋아진 것이기 때문에 저 역시 국산차는 YF 이후의 현대차만 고려해서 비교합니다. 저도 현대차가 2000년대 중반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면 지금 현대차를 타고 있지 않았을 것입니다.
하물며 크레도스는 너무나 오래됐고 여러가지 엔지니어링 측면에서 많이 뒤떨어지는 차입니다. 단적인 예로 문짝 웨더스트립이 2중이 아닌 문짝에만 붙어 있습니다. 당시 크레도스보다 훨씬 먼저 데뷔한 쏘나타2도 문짝과 차체에 웨더스트립이 2중으로 붙어 있어 지금도 타보면 정숙성에서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또한 T8D 엔진도 인터넷에서 부정확한 정보로 과대포장되어 있는 것이지 냉각이나 출력, 내구성에서 경쟁차인 쏘나타의 시리우스나 아반떼의 베타와 비교해도 나은 점이 없었습니다.

국산차는 부식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게 가장 큰 문제이구요, 대부분 수입차에 비해 메인터넌스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차가 많아서 수명이 짧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부식없는 바디에 양질의 메인터넌스를 받는다면 국산차에 비해 절대적으로 독일차가 좋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독일차도 찬찬히 뜯어보면 어이없는 부분도 많구요.

제 크레도스는 10년차 되던 해에.. 폐차장을 보냈습니다. 팔면 1백만원 이상 받았을텐데.. 이유없는 RPM상승으로 스틱이니 급발진상황이 연출 되진 안았지만... 간헐적으로 엑셀 오프상태에서도 3-5천 알피엠까지 그냥 올라갔으니까요.. 사업소에서 스캔 하면 노멀 진단....쓰로틀 밸브 청소 정도 해주고...땡.... 결국 누가 이차 사가서 사고 나면 오히려 기분나쁠 듯해서...그냥 페차장으로 보냈던 기억이... 그래도 뭐 그거 빼곤? 잔고장 없었습니다. 그 고장이 아주 치명적이였지만요. 아 ~~대쉬보드 교체해줬군요.. 리콜해서.. ^^

독일차 몇대(R230 SL500, E60 528i, E60 530i, ...) 타면서 잔고장도 좀 있었습니다. E60만 해도 이상한 떨림과 소음...(나중에 보니 생산/출고시 배기쪽 볼트 조임이 제대로 안되어있었다는..), 도어락이 다시 열린다던지..(CAN 통신 터미네이션 이슈) 뒷좌석 파워아웃렛 조명 불량, 도어 전체적인 잡소리, SL의 경우에는 소모품(?)이라고는 하나 ABC도 교체하고 나니 ㄷㄷㄷ 하더라구요. 그래도 다행인건 잘 고장나지도 않지만, 전국 어디서 고장나도 금방 고칠 수 있는 국산차가 몇 대 있었기 때문에 세워두고 고치고 했습니다. 독일차, 영국차, 이태리차, 일본차 저는 다 좋아하는데 앞으로도 지금의 품질 수준이라면 신형 국산차 1대는 꼭 가지고 있을 겁니다. 제 정신 건강을 위해서;;

논지와 어긋날수 있지만,
상용차(대형트럭)쪽에서는,
오히려, 유지비 때문에, 수입차를 운행하시는분들이 많습니다.
한창 4대강 공사가 막 시작할 무렵이었던 2009년에,
2006년식 뉴-파워텍 24T 덤프트럭 440PS 트라고 직전모델, 18만KM 달린 녀석을 인수하여,
두어달 영업을 돌린적 있습니다.
그 현장에서, 24T 덤프가 하루에 50여대씩 배차가 되었기에,
차종별로 비교를 해 볼 수 있었습니다.
똑같은 작업 여건, 똑같은 주행거리에서,
우리 파워텍은 하루 150~160L 씩 소모 하였구요, 옆집 오토모델은 160~170L씩 먹는다고 투덜거리던;;
커민스 올라간 타타 노브스는 조금 더 먹었고 ( 얘는 거의 160L 씩;; )
오히려, 스카니아 수동, 볼보 수동 모델들이, 하루 130L씩 들어가더군요. 진짜 많이 들어간차가, 140L 안들어가던,,
이베코, 만(MAN) 얘들도 140L 정도씩 들어가더군요.
또, 대형트럭 계열에선, 스카니아와 볼보는 이미 비품도 많이 나오고, 중고 부속도 많아서,
국산차량 못지 않게 부품수급도 원활하다고, 굳이 국산차 안타신다는분들도 더러 계셨습니다.
하루 20L 가 한달이 되면, 차이가 크거든요...;;
지금 프리마나 트라고가 얼마나 좋아졌을지 몰라도,
껍데기는 흉내 낼 수 있지만, 아직은 갈길이 멀다고 봅니다...

군입대전 2.0수동 터보 군전역후 2.0 오토 익서스순정
두번이나 거쳐간차였죠 순정 배기...
군전역후 1년반정도 운행하면서 세번갈았네요
세번째에선 스트레스받아서 사제 엔드로...ㅎㅎㅎ
그래두 갠적으로 크레도스만한
기본기좋은 국산중형차는 없었던거 같아요...
2.0 모델의 심장인 마쯔다FEDi 엔진...
당시 흡기도 가변흡기에 146마력...
거기에 걸맞는 하체...순정으로만 보면
정말 좋았던차로 큐엠과함께 미련이 남는차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아마 요즈음의 국산차는 다르다고 할듯 합니다. 짧은 제 눈에도 요즈음 나오는 국산차는 좀 나아진듯 합니다.
저는 국산차의 구입의사가 현재로는 사실상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