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신형 차량들이 도로를 가득 매우는 요즘에 참 신선한 차량을 보았습니다.
정확히 기억은 잘 안나는데 '88 seoul olympic official car'?인가 네모 반듯하게 레터링이 붙여져있더군요.
외관상 특별히 긁히거나 덧칠한 흔적이 없었고, 반듯한 선들이 요즘 차에서는 보기 힘들어서 인지 한참을 쳐다 보았네요.
낭창낭창한 차량의 거동이 꽤나 이뻐 보이더군요.
특히나 크롬이 어찌나 반짝반짝 거리는지 차주분의 차에 대한 애정이라고나 할까요. 느껴지더군요.
때마침 신호에 걸려서 찍었습니다.
..........ㅜㅜ
어릴적 아버님 차(콩코드 오메가) 뒷 자석 선반에는 항상 향기나던 각티슈가 있었는데 마침 스텔라도 있더군요.
갑자기 잊고 살았던 아버지 차에 대한 기억이 새록새록 나더군요.....ㅜㅜ
--------------------------------------------------------------------------------------------------------------------------------------------------
2010년 6월.. 아버님께서 갑자기 편찮으신(뇌경색) 뒤로 관리가 안되어 폐차를 했는데..
아들인 전 바쁘다는 핑게로 마지막 사진조차 찍어 두지 못했습니다. 하긴 그 상황에서 사진은 생각도 못했지요.
폐차도 친구녀석에게 부탁해서 처리를 했고, 사진은 한참 뒤에 생각이 날 정도였으니까요.
신차로 구입하셔서 애지중지 하셨는데... 아버지께서는 그 당시 중환자실에 기약없이 누워 계셔서 어쩔수 없이 폐차를 했답니다..
어머님께서도 두말없이 폐차를 하라 하셨고...
사진 하나 못 남겨 놓은 그 부분이 아버님께 아직까지 죄송하답니다.....
폐차 하고 난 뒤 얼마나 후회를 했는지 모릅니다... 사진이라도 찍어 놓을 것을.....
그리고, 정말 기적처럼 아버님께서 일어나셨지요. 담당 선생님께서도 기적이 일어났고, 이런 경우 처음이라고...
요즘은 많이 좋아지셔서 가끔 제게 넌지시 말씀을 꺼내시는데 그때마다 정말 왈칵 눈물이 쏟아집니다.
'언제쯤 내가 운전 할 수 있겠노...?'
글로 안 써도 느껴지실지 모르겠는데 아버님께서는 아직 오른쪽 손/발을 제대로 다 쓰지 못하신답니다.....
--------------------------------------------------------------------------------------------------------------------------------------------------
엄청 밀리는 금요일 퇴근 길이었는데, 잠깐이지만 많은 생각이 머리속을 채우더군요.
추억은 특별히 기억이 나지 않거나 별 의미 없을 때 잊혀진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닌가 봅니다..
아버지는 운전을 참 잘하셨고 좋아하셨습니다.
야간자율학습 마치고 오면 늦게까지 하던 아버지 단골 커피숍인 곳에 항상 드라이브 가자고 해서 피곤해도 끌려가던 기억이 나네요...^^
' 스타트는 다른 차들 못 따라와.. 게다가 고속도로에서는 왠만하면 1차선이지...'라고 말씀하셨던 것도 기억이 나네요.
행여 차후에 여건이 되고 상황이 된다면..
아버지 몰래 똑같은 차를 구해서 보여드리고 싶네요. 꼭 노력해 볼 생각입니다.
차를 사랑하고 가족처럼 아끼는 분들, 그리고 힘겹게 오래된 차량을 복원/유지하시는 회원님들도 꽤 많은 것 같습니다.
지금은 그냥 평범한 하루하루지만 시간이 지나고 결코 되돌릴 수 없는 상황이 오면 그 때의 소중함을 알게 되는 것 같습니다...
회원님들 역시 많은 추억 만드시길 바래봅니다.
오늘 퇴근 길에도 저 스텔라를 보고 싶네요....^^

10년 전 사고 이후 운전을 거의 안하시지만 아버지의 첫 차였던 31년 전 포니가 덕분에 생각났습니다. 감사합니다.

콩코드... 제 기억 속에도 아련히 남아 있는 차량입니다. 국민학교 들어가고 처음 제대로 된 자가용이란 걸 산 게 파란색 콩코드였거든요. (아마 제 첫 기억 속에 있는 차는 소하리 공장에서 직접 인수했던 봉고였던 거 같고... 사업하시느라 계속 봉고를 타고 다니시다 나중에 자가용으로 뽑은 게 콩코드였습니다)
아직도 기억나네요. 출고하고 얼마 안돼 동네 세차장에 아버지랑 같이 갔더니 세차장 사장님께서 하셨던 "색깔이 참 이쁘네요" 라는... 옛날 동네라 따로 주차장이 없어 집앞에 세우다 아버지께서 큰 결단을 내리고 걸어서 십여분 이상 걸리는 사설주차장에 차를 맡겨놓고(이유는 테러방지죠 ^^) 주말에 놀러갈때만 탔던~
그랬던 아버지가... 역시 뇌경색으로 쓰러지셔서 아직까지도 발음이 좋지 못하시니. 요즘들어 부쩍 전화를 자주하셔선 손자를 찾으시네요...

당시 콩코드 그중에서 오메가는 달리기로 정말 유명한 모델이었잖아요!? 당시 국내에서 간혹 개최되던 랠리??에서도 1등을 많이 했던 기억도 ..
저도 아빠한테 콩코드를 사시라고 졸랐는데. 하지만 아버지는 FR을 선택하시더군요.. PRINCE
소나타1 골드 dohc수동 당시 abs cd체인져
디지털게이지로 199를 넘기시던~~
당시 가득넣으면 3만원이안넘어갔었는데요~~
소나타1 골드 dohc수동 당시 abs cd체인져
디지털게이지로 199를 넘기시던~~
당시 가득넣으면 3만원이안넘어갔었는데요~~

저는 재활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물리치료사 입니다...
주로 뇌졸중이라고 불리우는 중추신경계 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재활치료를 하고 있죠...
김동욱님, 김영석님 아버님께서 앓고 계시는 뇌경색 환자분들이 제가 맡고 있는 환자분들입니다...
각설하고 내일부터 더더더 열심히 치료해야겠다고 다짐합니다...
누군가의 가장이고 또 꿈이 있으신 분들에게 꼭 도움을 드려야죠...
화이팅입니다^^
제명의의 첫 차가 콩코드였는데..지금이야 10년된 차도 쌩쌩히 달리지만, 그당시로서는 노령의 차체로 200km/h를 마크하던 기억이 납니다.
세월이 가면 당연히 바꿔야 하는 소모품이었던 차가 그리움의 대상이 되어가고 있는걸 보니, 저도 이제 한물 갔나..하는 생각도 듭니다.;;;;
아버님의 쾌차를 기원합니다.

콩코드는 저에게도 굵직한 기억이 있는 녀석입니다.
때는 바야흐로 제가 고3일때.
첫번째 배치고사를 보는 날이었죠.
당시에 저와 근처에 살던 초등학교 동창이 자기 아버지 차로 같이 등교하자 하여서
그 친구 아버님의 콩코드를 타고 등교하던 길이었습니다.
조수석엔 친구. 저는 뒷좌석.
수원사시는 분들은 아실만한 세류동 유천파출소 못미쳐서, 맞은편 1차로의 그레이스가 갑자기 중침을 하는데, 운전석에 아무도 안 보이는 것입니다. (아마도 조수석쪽으로 무언가 떨어져서 줍고 있었던듯)
친구 아버님께서는 본능적으로 아들을 보호하려는 회피기동으로 스티어링을 오른쪽으로 트셨고, 운전석 휀더 즈음이 그레이스 정면과 충격을 했지요. 마침 운전석 사이드미러가 정통으로 부딛혀서...
사이드미러 뭉치가 제 얼굴을 향해서 날아오는 것까지 기억이 났고 이 이후는... 병원...
엑스레이상 별 문제가 없다는데, 계속 토하고 어지럽고... 그래도 시험은 보아야겠기에 잠시 병원 들렸다가 학교로 갔는데, 당시 담임선생님께서 나중에 배치 사정할때 1차배치고사 못 본건 감안해서 사정하겠다고(당시 배치고사가 3차까지 있었지요. 선 지원, 후 시험이었기에) 해 주시고선, 배치사정땐 나몰라라 하셨던거까지...
추억이 모락모락이네요.
제 기억속엔 아직도 '콩코드' 하면 제 친구아버님과, 제 친구, 그리고 저를 살려준 든든한 녀석으로 남아있네요.

콩코드하면 기억나는게 콩코드 처음 나오고 저희 아버지가 대한민국에서 3호차로 나온 콩코드라고 자랑하셨던 기억, 가운데 에어벤트가 버튼을 누르면 좌우로 움직이던 기억, 고속도로에서 아버지께서 '꽉 잡아라' 하시고는 과속 단속하는 고속도로 순찰대 차량과 무려 '배틀' 을 하셨던 기억이 납니다. 옆에서 계기판보고 140km/h를 넘어가는 것 보고 놀랐던 기억이 나네요.

저희집의 첫차도 스텔라였습니다.
저건 약간 후기형이고 초기형은 앞뒤 형상이 조금 달랐던 기억이...
유리창도 수동으로 돌려서 열었었는데 하여간 다른집 차보다 커서 좋았아라했던 기억이나요.^^;
댓글들을 읽다보니
제 아버지 첫 차도 생각나네요.
프라이드 중고였는데 ㅡ
아버님 참 열심히 타셨던 것
같습니다. 저도 등교길에 매일
얻어 탔었고요.

스텔라가 83 ~ 84년경 처음 나왔을때 모던하고 날렵한 디자인에 감동했었죠.
빽투더퓨처의 드로리안과 거의 비슷한 느낌에 탄성을.. ㅋ
콩코드 오메가가 아버님 차였다니, 살짝 멘붕이.. ㅡㅡ;
넘 만족하며 탔던게 엊그제 같아서요..
스쿱터보도 220 까지 나갔지만 205 무렵부터 불안한 움직임을 보였는데,
콩코드 오메가는 210~220 까지 안정적인 느낌을 주었죠.
위시본 써스펜션이라 코너링 안정감도 좋았고..
투어링A 레이스 준비를 위해 스쿠프를 경기용으로 쓰는동안 승용으로 탔습니다.
마쓰다 숏스트록 엔진이라 고속에서 쥐어짜는 맛이 경쾌한 감성이였고,
ECS(전자댐퍼) 감성과 내구성도 좋은편이라 꽤 스포티한 느낌을 줬습니다.
20년 전 차량가격이 1600 정도 되었으니, 지금 중형가격이 그리 비싼거라 보기는 좀..
아직 굴러다니는 콩코드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전구류 잔고장 빼고는 내구성도 좋아 아무 불편없이 타던 차였네요.
스텔라... 이름이 참 예뻤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