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아래에 '고객을 열받게 만드는 벤츠 코리아'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렸습니다.
그에 따라 수입차 업계의 AS에 관한 문제들과 그 원인등을 여러 회원님들이 말씀해주셨습니다.
일부에선 "그냥 자비로 고치지 그러느냐"라는 말도 있었지만, 저는 금전적인 문제를 떠나서 공식 서비스 센터인 효성에서 고치고 싶었습니다.
왜냐하면 일단 신뢰가 가고, 추후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책임 추궁을 할 수 있기 때문이었죠. 따라서 보증이 안된다고 할지라도 공식 서비스에서 수리하려고 했구요.
효성에서 고치는 이유는 집과 아버지 사무실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했기 때문입니다.
차를 맡긴지가 한참 지났지만, 일의 진행 과정에 대해서 MBK의 개념 상실들과는 더이상 전화도 하기 싫고, 효성에도 자꾸 전화하면 서로 불편할 것 같아 기사한테 전화를 해보라고 했습니다.
(참고로 MBK의 직원들한테는 아버지가 전화하셔서 조~금 세게 말을 하니 죄송하다고 꼬리를 내리더랍니다...)
기사가 전화해보자 효성 센터에서 "이미 고객님의 차의 수리에 필요한 부품은 입고하신 날 발주를 했습니다" 라고 말했다더군요... 그래서 "2주안에 부품이 도착하고, 부품이 도착하면 작업하는데 하루정도 걸립니다"라구요...
.............................................
순간 띠용~ 하더군요.
이 시점에서 사건의 발단을 다시 설명해보자면
1. 시동이 안걸려 효성에 넣었다.
2. ECU문제란다.
3. 월드-워런티 보증이 될 수 있냐고 묻자, 보증은 되지만 MBK로 통보를 하고, MBK에서 독일 본사로 결제를 올리고, 결제가 떨어지면 그때 발주를 한다.
----------------------------------------------------------
위가 효성측 말이었습니다.
4. 월드 워런티 담당자: 누가 그런 개념없는 소리를 하느냐... 내가 담당자인데, 효성에서 그런 헛소리나 하는 사람이 누구냐? 보증 대상차량이면 바로 수리를 해준다.
5. 2일 후의 월드 워런티 담당자 : 주행중 시동꺼짐이나 시동 안걸리는 문제는 기술팀과의 상의 후 $#^&^%&*!#@$ ... 고객님 말씀이 다 맞습니다. 고객님께서 화가 나시겠지요. 하지만 제가 해드릴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전 고객님께 더이상 드릴 말이 없으니 할 말이 있으시다면 고객만족센터에 하세요.
6. 7월 28일 월요일날 통화시 : 전 고객님과 더 이상 할 말이 없다니깐요. 할 말이 있으면 고객만족센터에 하시라구요. → 이날 폭발함.
-------------------------------------------------------------------------------
위는 Mercedes-Benz Korea의 World-Wide Warranty 담당자인 한과장 말이었습니다.
기술팀의 누군가와는 아버지가 통화하셨기때문에 잘 모르겠습니다만, 결국엔 그 사람도 한통속인 것이 되버렸습니다.
그리고 폭발한 고객한테 고객만족센터의 이대리는 "소보원에 연락하세요"라는 결정타를 날려줘서 결국 글까지 작성하게 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사가 전화했을때 효성측에서 한 말을 보면, 효성측에서 처음부터 딴소리를 한 것이며, 효성과 MBK가 짜고치는 고스톱을 하며 고객을 가지고 놀았다는 생각밖엔 들지 않습니다.
효성이 처음부터 "입고한날 부품을 발주한다"고 얘기를 해주었거나, MBK의 한과장이 "해결되었다. 2주만 기다려라"라고 말을 했다면 이런 일은 발생하지도 않았을 것입니다.
병행수입차량이라 그냥 수리해주려니 배아프고, 그렇다고 안해줄수도 없는 상황이니 골탕한번 먹이려 한 것일까요?
S클래스의 승차감과 성능에 감탄해서 다음번 차도 형편이 된다면 벤츠로 사려고 했는데, 이런 일을 겪고나니 그런 생각이 뚝 떨어집니다...
그에 따라 수입차 업계의 AS에 관한 문제들과 그 원인등을 여러 회원님들이 말씀해주셨습니다.
일부에선 "그냥 자비로 고치지 그러느냐"라는 말도 있었지만, 저는 금전적인 문제를 떠나서 공식 서비스 센터인 효성에서 고치고 싶었습니다.
왜냐하면 일단 신뢰가 가고, 추후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책임 추궁을 할 수 있기 때문이었죠. 따라서 보증이 안된다고 할지라도 공식 서비스에서 수리하려고 했구요.
효성에서 고치는 이유는 집과 아버지 사무실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했기 때문입니다.
차를 맡긴지가 한참 지났지만, 일의 진행 과정에 대해서 MBK의 개념 상실들과는 더이상 전화도 하기 싫고, 효성에도 자꾸 전화하면 서로 불편할 것 같아 기사한테 전화를 해보라고 했습니다.
(참고로 MBK의 직원들한테는 아버지가 전화하셔서 조~금 세게 말을 하니 죄송하다고 꼬리를 내리더랍니다...)
기사가 전화해보자 효성 센터에서 "이미 고객님의 차의 수리에 필요한 부품은 입고하신 날 발주를 했습니다" 라고 말했다더군요... 그래서 "2주안에 부품이 도착하고, 부품이 도착하면 작업하는데 하루정도 걸립니다"라구요...
.............................................
순간 띠용~ 하더군요.
이 시점에서 사건의 발단을 다시 설명해보자면
1. 시동이 안걸려 효성에 넣었다.
2. ECU문제란다.
3. 월드-워런티 보증이 될 수 있냐고 묻자, 보증은 되지만 MBK로 통보를 하고, MBK에서 독일 본사로 결제를 올리고, 결제가 떨어지면 그때 발주를 한다.
----------------------------------------------------------
위가 효성측 말이었습니다.
4. 월드 워런티 담당자: 누가 그런 개념없는 소리를 하느냐... 내가 담당자인데, 효성에서 그런 헛소리나 하는 사람이 누구냐? 보증 대상차량이면 바로 수리를 해준다.
5. 2일 후의 월드 워런티 담당자 : 주행중 시동꺼짐이나 시동 안걸리는 문제는 기술팀과의 상의 후 $#^&^%&*!#@$ ... 고객님 말씀이 다 맞습니다. 고객님께서 화가 나시겠지요. 하지만 제가 해드릴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전 고객님께 더이상 드릴 말이 없으니 할 말이 있으시다면 고객만족센터에 하세요.
6. 7월 28일 월요일날 통화시 : 전 고객님과 더 이상 할 말이 없다니깐요. 할 말이 있으면 고객만족센터에 하시라구요. → 이날 폭발함.
-------------------------------------------------------------------------------
위는 Mercedes-Benz Korea의 World-Wide Warranty 담당자인 한과장 말이었습니다.
기술팀의 누군가와는 아버지가 통화하셨기때문에 잘 모르겠습니다만, 결국엔 그 사람도 한통속인 것이 되버렸습니다.
그리고 폭발한 고객한테 고객만족센터의 이대리는 "소보원에 연락하세요"라는 결정타를 날려줘서 결국 글까지 작성하게 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사가 전화했을때 효성측에서 한 말을 보면, 효성측에서 처음부터 딴소리를 한 것이며, 효성과 MBK가 짜고치는 고스톱을 하며 고객을 가지고 놀았다는 생각밖엔 들지 않습니다.
효성이 처음부터 "입고한날 부품을 발주한다"고 얘기를 해주었거나, MBK의 한과장이 "해결되었다. 2주만 기다려라"라고 말을 했다면 이런 일은 발생하지도 않았을 것입니다.
병행수입차량이라 그냥 수리해주려니 배아프고, 그렇다고 안해줄수도 없는 상황이니 골탕한번 먹이려 한 것일까요?
S클래스의 승차감과 성능에 감탄해서 다음번 차도 형편이 된다면 벤츠로 사려고 했는데, 이런 일을 겪고나니 그런 생각이 뚝 떨어집니다...
2008.07.30 16:50:32 (*.161.157.62)
저의 경우 MBK 정식 벤츠도 있고 미국서 이삿짐으로 가지고 온 벤츠도 있는데 이삿짐 차량의 경우 국내에 가져 오자 마자 수입 면장 등의 서류를 가지고서 각 딜러사(한성, 유진)에 이삿짐 차량 등록을 해서 월드 워런티에 관한 절차를 마쳤었죠. 그 후에 리콜 혹은 수리, 정비를 받을 때 월드 워런티로 정비 받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참고로, 저는 항상 한성 용답동에서만 수리 및 정비를 받습니다.
2008.07.30 17:09:08 (*.231.200.57)

워런티 적용 안해준다 하면 변호사 선임하시고 계약위반으로 걸어버리세요 한마디로 웃기는 짓거리들 하는 겁니다.혹자는 유독 한국 고객들이 까탈스럽고 진상떤다고 까지들 하시는데 미국이었으면 벌써 변호사들 끼리 얘기하고 있을거고 별 되도않을 항목을 더해서 보상금으로 S한대 더 살 수 있을 만큼 부풀릴 수도 있었을 것이며 그런 일이 왕왕 있어왔죠. 월드워런티에 대한 딜러들의 입장이 이러하니 병행수입업자를 통해 좀더 싸게 구입한 유저들은 그만큼의 손해(?)를 감수할 수도 있어야 한다는 논리 자체가 궤변 아닐까 합니다만..그 궤변이 테드를 비롯 현실에서 통용되고 있으니 참으로 웃깁니다.계약위반으로 걸어버리고 MB본사에 MBK 직원 거론하며 클레임 하세요 짤려야 정신들 차릴겁니다
2008.07.30 18:53:52 (*.221.14.156)
참고로 충격적인 사실.....
96년식 아버지 S클래스의 보증서를 보니.....(한성출고..)
무상보증기간이 출고 후 1년 씩(?)이나 되더군요....
세상 많이 좋아졌습니다....
완전 똥배짱이 아닐 수 없네요.....물론 타 브랜드들도 그 당시엔
마찬가지였겠지만요ㅋㅋ
96년식 아버지 S클래스의 보증서를 보니.....(한성출고..)
무상보증기간이 출고 후 1년 씩(?)이나 되더군요....
세상 많이 좋아졌습니다....
완전 똥배짱이 아닐 수 없네요.....물론 타 브랜드들도 그 당시엔
마찬가지였겠지만요ㅋㅋ
2008.07.30 21:52:05 (*.229.112.141)

글쎄요.. MB S600 과 BMW 760 을 공식딜러를 통해 출고해드린 제 고객의 경우도, 김태훈님의 경우와 다르지 않았습니다. 760의 경우, 부품이 공수되는데 보름정도 걸리고, 그 기간동안 7시리즈를 대차해 주었고.. 비슷한 시간이 걸려 수리되었습니다. 주행중 시동꺼짐에 의한 증상도 비슷했고요..
제 생각엔 월드워렌티 담당이 H사에 연락해보니, 그쪽의 사정과 부품조달 현황이 만만치 않음을 전달 받았을테고.. 큰소리 한것에 비해 이렇다할 답변을 못해드려 찝집하게 대처한걸로 보입니다. 그레이를 통하거나 직수입한 차들도 제가알기론 그리 부당치않은 AS 를 받고있는걸로 아는데.. 공식차들에 비해 부당한 사후처리를 받지않을까..하는 피해의식을 갖게도 되는듯 합니다. 중간에 일하는 분들의 작은 표현차이가 그런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제 생각엔 월드워렌티 담당이 H사에 연락해보니, 그쪽의 사정과 부품조달 현황이 만만치 않음을 전달 받았을테고.. 큰소리 한것에 비해 이렇다할 답변을 못해드려 찝집하게 대처한걸로 보입니다. 그레이를 통하거나 직수입한 차들도 제가알기론 그리 부당치않은 AS 를 받고있는걸로 아는데.. 공식차들에 비해 부당한 사후처리를 받지않을까..하는 피해의식을 갖게도 되는듯 합니다. 중간에 일하는 분들의 작은 표현차이가 그런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2008.07.30 22:48:44 (*.135.228.60)

현중님, 작년에 기사가 효성에 수입면장들고 가서 월드워런티 등록을 했습니다. 저도 뭐 결과적으로는 보증을 받은거지만, 그 과정이 참 씁쓸하다는 것이죠...
재범님, 선임할 필요가 없이 아버지가 사무실 대표 변이시라^^; 사무실이 명칭은 법인인데 개인 변들끼리 몇명이 모여서 하는 것이라 대표라는 의미가 없지만, 그래도 어디가서 법인의 대표 변이라고 하면 굉장한 사람인줄 알더라구요^^ㅋ
세원님, 1년 2만km때를 말씀하시는군요~ㅋㅋ 요즘에 그렇게 했다가는... 오너들은 물론, 키보드 오너들한테까지 당해내지 못할걸요?^^;
익렬님, 공식출고한 BMW도 한대 있기때문에, 한달에 한번은 BMW센터를 다녔기때문에 객관적인 비교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벤츠와는 상이할 수 있기에 완벽한 비교는 불가능하지만, 말바꾸기는 공식/직수를 떠나서 문제가 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부품을 가져오는 시간은 대부분 독일에서 가져오기에 AUDI/VW, BMW, Benz가 거의 다 비슷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처음부터 2주라고 얘기했다면 저도 수긍했겠지요. 제가 열받고, 글을 올리게 된 직접적인 이유는 효성/MBK쪽의 말바꾸기 때문입니다. 물론 직수차라는 것에 대한 피해의식도 없는 것은 아니지요. 공식에서 샀다면 센터 입구에 차를 가로로 세워놓고 키를 던져버리고 나오면 되는데, 직수차를 가져와서 진상을 떨 수도 없는 노릇이었으니 말이죠...
저는 최소한의 매너는 지키면서 일을 추진하려고 했지만, 매너라는 개념도 없는 사람들한테 괜히 그렇게 했나 싶기도 합니다 ㅎㅎㅎ
재범님, 선임할 필요가 없이 아버지가 사무실 대표 변이시라^^; 사무실이 명칭은 법인인데 개인 변들끼리 몇명이 모여서 하는 것이라 대표라는 의미가 없지만, 그래도 어디가서 법인의 대표 변이라고 하면 굉장한 사람인줄 알더라구요^^ㅋ
세원님, 1년 2만km때를 말씀하시는군요~ㅋㅋ 요즘에 그렇게 했다가는... 오너들은 물론, 키보드 오너들한테까지 당해내지 못할걸요?^^;
익렬님, 공식출고한 BMW도 한대 있기때문에, 한달에 한번은 BMW센터를 다녔기때문에 객관적인 비교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벤츠와는 상이할 수 있기에 완벽한 비교는 불가능하지만, 말바꾸기는 공식/직수를 떠나서 문제가 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부품을 가져오는 시간은 대부분 독일에서 가져오기에 AUDI/VW, BMW, Benz가 거의 다 비슷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처음부터 2주라고 얘기했다면 저도 수긍했겠지요. 제가 열받고, 글을 올리게 된 직접적인 이유는 효성/MBK쪽의 말바꾸기 때문입니다. 물론 직수차라는 것에 대한 피해의식도 없는 것은 아니지요. 공식에서 샀다면 센터 입구에 차를 가로로 세워놓고 키를 던져버리고 나오면 되는데, 직수차를 가져와서 진상을 떨 수도 없는 노릇이었으니 말이죠...
저는 최소한의 매너는 지키면서 일을 추진하려고 했지만, 매너라는 개념도 없는 사람들한테 괜히 그렇게 했나 싶기도 합니다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