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요즘은 많은 차들이 풀오토 에어컨을 달고 나옵니다.
그냥 온도를 맞춰놓으면 알아서 외기유입부터 온도조절까지 알아서 하죠.
하지만 이런 자동차 에어컨의 온도조절 방식이 좀 비능률적이란 생각이 들더군요.
일반 가정용 에어컨의 경우 설정온도까지 온도가 낮아지면 외부기의 동작이 멈추고 송풍모드로 돌아가지만 자동차의 것은 컴프레서는 계속 돌고 만약 온도를 좀 올려놓으면 히터바람이랑 섞어서 온도를 올리니까요 (제가 알고있는 내용이 틀리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그래서 전 전자동기능을 쓰지 않고 손으로 A/C버튼을 조작합니다. 온도는 무조건 17도로 고정하고 컴퍼레서를 켰다껐다 하는거으로 온도조절을 하는 것이지요.
물론 이렇게 하는거 불편하지만 22-23도로 맞추고 컴프레서 계속 돌리면서 히터바람 섞는건 도저히 용납이 안되네요. ㅋㅋ
여러분들은 어떻게 게어컨을 사용하시나요?
그냥 온도를 맞춰놓으면 알아서 외기유입부터 온도조절까지 알아서 하죠.
하지만 이런 자동차 에어컨의 온도조절 방식이 좀 비능률적이란 생각이 들더군요.
일반 가정용 에어컨의 경우 설정온도까지 온도가 낮아지면 외부기의 동작이 멈추고 송풍모드로 돌아가지만 자동차의 것은 컴프레서는 계속 돌고 만약 온도를 좀 올려놓으면 히터바람이랑 섞어서 온도를 올리니까요 (제가 알고있는 내용이 틀리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그래서 전 전자동기능을 쓰지 않고 손으로 A/C버튼을 조작합니다. 온도는 무조건 17도로 고정하고 컴퍼레서를 켰다껐다 하는거으로 온도조절을 하는 것이지요.
물론 이렇게 하는거 불편하지만 22-23도로 맞추고 컴프레서 계속 돌리면서 히터바람 섞는건 도저히 용납이 안되네요. ㅋㅋ
여러분들은 어떻게 게어컨을 사용하시나요?
2008.08.04 10:12:09 (*.133.223.166)

저도 풀오토건 매뉴얼이건 항상 손으로 에어컨을 수시로 껐다 켰다 합니다. 15년동안 십여대의 차로 이렇게 운전해 왔는데 차계부를 통해 연비체크를 해 보면 겨울이나 여름이나 별 차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풀오토로 에어콘을 켜고 다니는 경우 가속이나 감속 여부와 상관없이 컴프레서가 돌게 되므로 엔진부하도 더 걸리고 연비도 안좋겠죠.
2008.08.04 11:00:30 (*.177.66.147)
에어컨은 실내 온도 센서의 위치와 성능에 따라서 영향을 많이 받는 것 같습니다. 25도로 1년 내내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도, 수시로 만져줘야 하는 차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경험했던 수입차들은 대부분 25도로 1년 내내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는데, 국산차는 그렇지 않은 차들도 있었습니다.
2008.08.04 11:42:55 (*.94.1.37)
세미오토 에어컨이지만.... 장거리 갈때만 오토 모드로 놓고 평상시엔 제가 껐다켰다를 합니다... 특히 언덕이나 출발시엔... 끄고 출발을 한답니다.
2008.08.04 12:05:16 (*.49.199.216)

자동이지만 블로워모터는 돌아가는 상태에서 A/C 만 껐다 켰다를 반복합니다 ^^
비만 안오면 외기유입을 막아버리면 풍량을 낮추어도 바람이 세져서 그렇게 하고 있구여 ~!
추월이나 가속시엔 Off (-_-;)
비만 안오면 외기유입을 막아버리면 풍량을 낮추어도 바람이 세져서 그렇게 하고 있구여 ~!
추월이나 가속시엔 Off (-_-;)
2008.08.04 12:26:50 (*.150.0.242)

자동 에어컨의 경우 앞에 트럭이 있는데 그냥 외부 흡기가 되어버리거나 해서 불편하더군요. 전 지금의 수동이 너무 좋습니다. 팬은 1-2단에 맞춰놓고 에어컨만 on/off 합니다.
2008.08.04 12:49:09 (*.101.140.172)

많은분들이 이렇게 쓰시는군요. 전 저만 별난놈처럼 쓰는게 아닌가 했었는데 다행히 별난분들이 많이 계셔서 쭉 이러고 써도 괜찮을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ㅋㅋ. 온도조절을 위해 컴프레서 on/off까지 해주는 차는 없나요? 예전에 티고 잠깐 몰때에는 ECO라고 써있는 버튼을 누르면 컴프레서가 붙었다 떨여졌다 했었는데 다른차에선 그런 기능을 못봤습니다. 티코.. ㅋㅋ 컴프레서 동작하면 평지에서 5단 80km/h로 정속주행하다가 자동으로 60km/h로 내려가고, 컴프레서 떨어지면 다시 80으로 올라가고 했는는데요 ^^
2008.08.04 13:11:30 (*.38.156.208)

개인적으로 어떤 스위치를 켜면..
악셀 on 하면 에어컨 off, 악셀 off 하면 에어컨 on 이 되는 장치가 있음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좀 더 자세히 가자면 악셀 몇 % 이상일때 에어컨 off 혹은 악셀 on 상태에서 rpm 몇 이상일때 에어컨 off...
저도 주행상황에 따라 에어컨을 자주 켰다 껐다 하는 편이라, 손으로 눌러 에어컨 켰다 껐다 하기 번거롭고, 옆에 누가 탔을때엔 옆사람 보기에도 산만하구요 ;;
악셀 on 하면 에어컨 off, 악셀 off 하면 에어컨 on 이 되는 장치가 있음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좀 더 자세히 가자면 악셀 몇 % 이상일때 에어컨 off 혹은 악셀 on 상태에서 rpm 몇 이상일때 에어컨 off...
저도 주행상황에 따라 에어컨을 자주 켰다 껐다 하는 편이라, 손으로 눌러 에어컨 켰다 껐다 하기 번거롭고, 옆에 누가 탔을때엔 옆사람 보기에도 산만하구요 ;;
2008.08.04 13:38:17 (*.137.131.158)

단거리 운행시 수동. 장거리 운행시 자동으로 합니다만 수동으로 중간중간 조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지 들어있는 옵션이니 쓰는거지 선택 가능하면 선택할지는 미지수 입니다.
2008.08.04 14:51:44 (*.111.41.46)

장거리는 23~25도로 풀 오토 vs 단거리는 20도로 3분간격으로 모드 바꿉니다. 개인적으로 다이얼식을 선호합니다 ^^;
2008.08.04 15:02:49 (*.140.217.246)
저도 풀 오토지만 늘 수동모드로 외부온도 -5~7도 정도에 가장 약하게 틀어두고 다닙니다.
시내에선 내기, 고속이나 교외에서는 외기로 하구요.
시내에선 내기, 고속이나 교외에서는 외기로 하구요.
2008.08.04 16:04:14 (*.221.14.238)
저도 풀오토인데, 17도로 맞추고 풀로 돌리고 다니다가,
최근에야 외기온도-5도=설정온도 로 맞추고 다닙니다.
요즘같이 무더울때는 28도로 맞추어도 시원한 바람이 나오네요^^
최근에야 외기온도-5도=설정온도 로 맞추고 다닙니다.
요즘같이 무더울때는 28도로 맞추어도 시원한 바람이 나오네요^^
2008.08.04 16:58:11 (*.115.56.82)
온도 콘크롤할때 온도가 너무 낮아지면 에어콘 컴프레서는 계속돌고 히터로 온도를 낮추지는 않을겁니다
콘트롤에는 upper limit 과 lower limit 개념이 있어서...
목표 설정치에서 벗어나면 꺼졌다 켜졌다를 빠르게 반복하는것을 방지합니다
예를들어 에어콘의 경우...
목표 온도를 설정하면 설정온도까지 온도가 낮아질때까지(lower limit) 컴프레서를 작동시킨후 컴프레서를 끄고 온도가 upper limit 까지 올라가면 다시 컴프레서를 작동시켜서 실내 온도를 내릴것이라 생각합니다 (컴프레서가 꺼지면 외부로부터 실내로 들어오는 열만 존재하기 때문에 실내온도가 자동으로 올라가므로 온도를 높이기 위해 히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콘트롤에는 upper limit 과 lower limit 개념이 있어서...
목표 설정치에서 벗어나면 꺼졌다 켜졌다를 빠르게 반복하는것을 방지합니다
예를들어 에어콘의 경우...
목표 온도를 설정하면 설정온도까지 온도가 낮아질때까지(lower limit) 컴프레서를 작동시킨후 컴프레서를 끄고 온도가 upper limit 까지 올라가면 다시 컴프레서를 작동시켜서 실내 온도를 내릴것이라 생각합니다 (컴프레서가 꺼지면 외부로부터 실내로 들어오는 열만 존재하기 때문에 실내온도가 자동으로 올라가므로 온도를 높이기 위해 히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2008.08.04 17:01:27 (*.115.56.82)
자동 에어콘의 경우 외기온도 실내온도 일사량 등을 조합해서 에어콘 또는 히터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더워서 에어콘을 켜는 여름에 히터를 사용해서 목표 온도를 유지한다는것은 아무래도 에어콘 콘트롤 로직에 문제가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듭니다
더워서 에어콘을 켜는 여름에 히터를 사용해서 목표 온도를 유지한다는것은 아무래도 에어콘 콘트롤 로직에 문제가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듭니다
2008.08.04 17:36:47 (*.46.122.32)

저는 프리우스의 회생제동에서 모티브를 따서
요즘 엔진브레이크 상황에서만 주로 에어컨 A/C버튼을 켭니다..
가속시는 주로 끄는데, 조현민님 말씀처럼 누가 좀 눌러줬음 싶기도 합니다..^^;;
암튼 이렇게 하면 연비에 뭐 조금은 좋을텐데, 몇푼 아끼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기분상 아끼면 좋다는 생각으로 재미삼아 합니다..
요즘 엔진브레이크 상황에서만 주로 에어컨 A/C버튼을 켭니다..
가속시는 주로 끄는데, 조현민님 말씀처럼 누가 좀 눌러줬음 싶기도 합니다..^^;;
암튼 이렇게 하면 연비에 뭐 조금은 좋을텐데, 몇푼 아끼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기분상 아끼면 좋다는 생각으로 재미삼아 합니다..
2008.08.04 17:42:37 (*.214.108.132)

대부분 비슷하시군요....ㅎㅎ 차량 두대 모두 수동에어컨 인데...BMW는 배기량이 있으니...그냥 1단 정도로 켜놓고 다니고...세피아는 언덕 중간에서 출발할때나 스타트 하자마자 앞에 언덕이 있다거나...그럴때 잠깐 꺼줍니다....두차종 모두 배틀모드 진입시에는 물론 OFF이지요.....ㅎㅎㅎ
2008.08.04 17:53:20 (*.135.205.242)

처음에는 풀오토라도 수동으로 조작하고 다녔는데, 요즘은 (게을러져서 그런지) 그냥 22도-24도 정도에 오토로 두고 다닙니다. 날씨 추울때에도 일단 에어컨을 켜고 보는 이 놈의 특성상 때에 맞지 않을 때 끄는 것만 손조작으로 합니다.
2008.08.04 18:09:58 (*.94.1.37)
선준님 글보니까 생각나는데... 베틀모드엔 당연히 에어컨을 끄지만... 창문을 열진 않습니다.... 바람만 나오게 하구요.... 창문을 안여는 이유는??? 내찬 에어컨 켜고 달려요... 라고 보여주기 위해서... 안에선 땀나도 참습니다...ㅎㅎ
2008.08.04 18:35:17 (*.183.239.155)

전 보통 오토로 다니고 온도가 영 맘에 안들때만 수동으로 ^^
버튼이 쪼그만해서 자주 건들기 힘들어요 -_-a
근데 미니는 엔진룸 열기가 많이들어오는건지
다른 차들에 비해서 덥네요 -_ㅠ
더위엔 약해서 클릭타고 서킷에서 놀았을때도
더운날은 에어컨 켰습니다. 더운건 도저히 ㅋㅋㅋ
버튼이 쪼그만해서 자주 건들기 힘들어요 -_-a
근데 미니는 엔진룸 열기가 많이들어오는건지
다른 차들에 비해서 덥네요 -_ㅠ
더위엔 약해서 클릭타고 서킷에서 놀았을때도
더운날은 에어컨 켰습니다. 더운건 도저히 ㅋㅋㅋ
2008.08.04 21:17:55 (*.43.97.58)
원래 차량용 에어컨은 과부하가 걸리는 상태, 그러니까 풀엑셀을 밟을때 상황등에는 에어컨과 연결된 클러치가 끊어지면서 엔진에 부하를 주지않습니다.
어느정도 밟아야 끊어지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여러분이 생각하시는것보다는 훨씬 지능적으로 움직입니다.
어느정도 밟아야 끊어지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여러분이 생각하시는것보다는 훨씬 지능적으로 움직입니다.
2008.08.04 21:48:59 (*.211.21.167)
볼보 C30 2.4i/A4 2.0T 설명서에 보면 급가속시나 과부하 상황에서는 에어콘이 꺼진다고 하네요. 근데 저도 온도 설정해두고 에어콘만 껐다 켰다하네요;;
2008.08.04 23:44:16 (*.212.116.94)
심원보님과 김환수님 말씀대로... 국산 차량도 에어컨은 꺼집니다... 에어컨 켜고 추월하기 위해서 악셀을 지긋이 꾹 밟아도 킥다운이 일어나면서 에어컨은 꺼집니다... 제거 수동으로 끄고 켜는것을 하는건.. 자동으로 에어컨이 꺼지려면 RPM이 3500에서 4000이상 올라가 줘야~~
꺼지는것 같습니다... 그러느니.. 그냥 제가 끄고 켜는게 연비모드면에선... 더 좋아서요..ㅎㅎ
꺼지는것 같습니다... 그러느니.. 그냥 제가 끄고 켜는게 연비모드면에선... 더 좋아서요..ㅎㅎ
2008.08.05 09:38:30 (*.249.73.141)
오토모드에서 히터쪽 공기를 유입한다는 이야기는 금시초문이예요... 그냥 수동으로 온도조절하면 공기량을 섞어서 항상 그 온도의 바람만 제공하게 되죠.
2008.08.05 12:50:40 (*.101.138.80)

온도를 23도 정도로 맞춘상태에서 A/C를 끄면 따뜻한 바람 나오지 않나요? 자동에어컨이건 로터리식 혹은 레버식 수동에어컨이건 기본은 동일하다고 생각되는데 온도조절기를 최하온도가 아닌곳에 두게되면 따뜻한 바람을 만들기 위해 히터바람을 섞는게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