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전에도 비슷한 글을 올린 기억이 납니다.
생각을 정리해 보려 다시한번.. ㅋ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오디오 기기를 좋아하고, 좀 더 원음에 가까운 소리의 퀄리티를 추구하다 보면,
음악을 듣는게 아니라, '소리'에 귀 기울이게 된다는 말을 합니다.
음악의 가락이나 가사, 스토리 보다.. 특정 음이나 악기의 소리, 노래하는 이의 섬세한 사운드에 집착하게
된다는 얘기죠.
미술을 사랑하는 사람은 어떨까요.
처음엔 작품의 제작동기와 전체적인 이미지를 보다가, 나중엔 디테일한 터치나 색감의 변화에
주목하게 되기도 할겁니다. 영화 매니아는 스토리와 기승전결, 분위기에 주목하다가 나중엔 촬영기술이나
테크닉에 집중하게도 될 거 같습니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은.. 역시, 작가의 사상과 감정을 읽으려 하다,
나아가서는.. 단어의 묘미와 작은 표현에 주목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예전의 티비는 픽셀도 거칠고 별로 좋은 화질이 아니여서,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내용을 담는데 충실했는데,
PDP- LCD- LED- 3D 로 넘어가면서, 효과와 화면의 섬세한 차이에 휘둘리면서.. 내용에는 소홀하게도 됩니다.
이런게.. 한번 눈이 높아지면, 예전의 퀄리티 낮은 화면은 보기 싫어지는 것이죠.
HD 고화질 영상만 보다보면, 일반 영상엔 하품을 하게되는걸 느껴보셨을 겁니다.
자동차에서도 이러한 감성의 발전은, 이런저런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기계적인 발전도 있고, 전자제어 감성도 그렇고.. 편의성과 친절성에 포커싱 하다보면, 오너가 디테일한 감성에
주목하게 되어 자칫.. 본질을 망각하게도 되는거 같습니다. 이또한 매니아의 수순이긴 하지만, 더 중요한 부분을
놓치고 맹목적인 가치기준을 추구하게 될 수도 있어 보입니다.
예전의 일본차들이, 무조건 정숙하고 실키한 차를 만들면서 놓친 부분.. '달리는 차임에도 불구하고' 부드럽고
조용한 차를 추구하다 보니, 의외로 오너들이 원하는 방향이 아니란걸 깨닫고, 차의 감성에 대해 리마인드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던거 같습니다.
70년대 일본의 공학기술에 대한 유머중 이런 얘기가 있었습니다.
SEIKO 와 CITIZEN 등 시계로 스위스에 도전장을 던지려던 일본이, 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철사를 만들어
스위스에 보냈더니.. 코웃음을 치면서, 그걸 대롱으로 만들어 되돌려 보냈다는 얘기였지요. ㅋ
그 후로 40 년이 지났지만, 일본은 아직도 내노라는 명품시계를 만들지 못하고 있고, 스위스 시계의 위상은
더욱 높아져 있습니다. 아니.. 스위스 시계를 빼놓고는 명품시계를 논할 수 조차 없는 현실이지요.
CASIO 에서 디지털 시계를 만들어 세상에 잔뜩 내놓던 70년대 후반엔, 세상이 바뀌어 버릴거 같았지만,
스위스의 기계식 시계의 가치는 지금..오히려 더욱 높아져 있습니다.
시간이 조금 틀려도.. 매일 태엽을 감아줘야해서 조금 불편해도, 명품시계의 가치는 더욱 높아져 있지요.
갑자기 음식의 예도 생각나네요.
모든 음식을, 조미료 듬뿍 넣어서 감칠맛 나게 조리하는 김밥천국은 왜 '음식명가'로 등극하지 못하는걸까요.
미련하게 한두가지 음식만 전통 조리법으로 만들어 제공하는 음식점들을 우리는, 명가로 기억하고 찾게 됩니다.
전 가수들 중에 이런저런 가수의 모창을 잘 하는 가수를 굉장히 싫어합니다. (신승훈 등 ㅋ)
예능 프로에 나와 얘기하는걸 가만~ 히 보면, 성격적으로도 '견딜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 보이더라고요.
일본의 자동차나 시계들이 보여줬던 일련의 역사들이 아마도 그런 면이 아니였을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독일차들이 오랜시간이 흘러도 끊임없이 명차로 자리잡는 이유는, 자동차의 본질을 망각하지 않는 이유
때문인 듯 싶습니다. 충실한 달리기 성능, 달린다는 감성, 오너에게 비전을 주고 꿈을 심어준다는 점 등등..
적절한 아나로그와 디지털 감성을 '조율' 하는데 집중한다는 느낌. 수공의 중요함을 아는 장인 정신.
물론, '명품' 만이 모든 가치의 최고봉은 아닙니다.
대중적이고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니즈를 잘~ 파악해, '많이 팔리는 차'를 만드는것도 중요한 존재의미가
있어 보입니다. 아마도 국산차(현대기아)는 그런 부분에 집중하고 있어 보입니다.
서두로 돌아와,
좀 더 현명한 음악 매니아는.. 소리를 분석적으로 파악하고 듣는데만 집중하지 않고, 음악의 전체적인 느낌을
중요시하며.. '감동'할 줄 아는 매니아일 듯 싶습니다.
미술과 영화, 문학도 마찬가지로.. 분석적으로만 파고 드는게 아니라 그림과 영화, 책 앞에서 눈물을 흘릴 줄 아는
매니아 일 것입니다. 감동이 없으면 아무것도 없는 것과 마찬가지가 아닐까 하는..
그렇다면, 자동차를 바라보는 현명한 매니아의 시각도.. 마찬가지가 아닐까요..?
사람을 바라보는 사람의 시각도 마찬가지 이 듯..
깜장독수리..

그러게요 스위스 기계식 시계가 망하지 않은 이유는 몰까요?
70년대 후반 세이코의 쿼츠혁명 후에 스위스의 여러 전통있는 기계식 시계 가문들은 매출이 급하락 하면서 줄도산을 하게 되고 많은 사람들이 기계식은 끝났다.. 이젠 쿼츠의 시대이다 라고 생각했고 해시계를 대체했던 기계식 시계처럼 기계식 시계또한 쿼츠 시계에게 자리를 내주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듯 보였지요. 하지만 쿼츠보다 오차도 심하고 무겁고 충격에도 약하고 가격까지 비싼 기계식 시계는 그 명맥을 계속 유지해 오고 있네요.. 심지어 최근에 가격은 수직상승 중인데 매년 두자릿수 매출성장을 하는걸 보면.. 참 이성적인 논리로는 설명이 안됩니다.. 자동차 또한 언젠가는 이런날이 오지 올까요? 공랭식 911의 부활, 닷선 240z의 부활 모 이런거요 ㅋ

전 카오디오 환자였고, 동호회 활동도 했으며, 음악을 전공하고 연주활동을 하는 사람입니다.
카오디오가 어느 수준에 올라가면 사람들은 음악감상엔 뒷전, 존재하지 않는 소리를 향해 허우적거리죠.
극한의 해상도를 추구하며 활에서 송진 떨어지는 소리를 찾으며, 실제 연주자도 들을 수 없는 소리를
찾아 고민하죠. 매일 같은 소스를 들으며 음악감상이 목적이 아닌 존재하지 소리를 찾는 부질없는 고민..
그러면서 어느 순간엔 자기의 행동에 부질없음을 느끼고 순정이 최고라며 놓아버리는 사람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오래 즐기면서 나이드신 분들 시스템을 보면 조촐하기 이를데없죠. 풀레인지 스피커에 빈티지앰프..
모든것이 본질을 넘어서면 부질없어지는듯 합니다. 오디오건 자동차건...
일체형 서스에 강화부싱등 달구지를 만들어버린 차를 보고 무엇을 위해 여기까지 왔는지 후회하시는분들도 계시겠지요?^^;;;

ㅋㅋ완전 잼있는 예지요..?
제가보기엔 사운드에 집착하는게 일종의 관음증 같은 면도 있어보여요.
연주자의 실수나 인간적인 면을 보고싶어 하는 마음일지도.. 기타연주에서도 줄을 옮길때 찍~ 하는 스트링사운드 자체도 연주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기도 하는걸 보면, 마치 남의 사생활을 들여다 볼 수 이는 망원경처럼.. 미세소리를 들춰낼 수 있는 시스템에 집착하는듯도 합니다.
요즘 디지털이나 쿼츠 시계중엔 GPS를 통해 세계표준시간으로 끊임없이 수정해주는 것도 있더군요. 고도의 필요성에 의한거겠지만.. 여전히 명품시계는 본질에 충실한 태엽시계라는 점을 잘..생각해보면,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게 무언지를 알 수 있을것도 같아요.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본질이 무엇인지, 실용적인 기기와 명품의 목표가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해주는 글이네요.
실용적인 부분을 추구하는 사람에게는 가격대비 성능을 우선시하게 되겠지요. 물론 구매자의 예산 한계에 따라 차이가 생기겠지만요.
명품이란 걸보면 그쪽에 관심과 취미가 있는 사람이라면 비싼 돈을 내고서라도 구입할 가치가 있고, 구입하길 원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보면 사치와 돈낭비밖에 되지 않는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남자들이 여자들의 명품백을 보고 저걸 왜 저 비싼 돈을 주고 살까하며 의하해 하지만 반대로 여자들은 남자들이 차에 쓸데없이 돈 들이는걸 보면 그냥 아무차나 타고 다니면 되는데 왜 저럴까 이해를 못하듯이 말이지요.
하지만 마케팅을 잘 해서 명품이란 이미지를 심어주면 돈에 여유가 생기면 명품을 한번쯤 구입해보고 싶어지는 것이 사람 심리겠지요. 그러다가 막상 써보고 나서 별거 없다는걸 깨달으면 다시 그냥 처음으로 돌아가는 거구요.

내가 추구하는 본질은 과연 무엇인가?
잠시나마 어지럽혀진 머리속을 다시 정리해보는..시간이 되었네요^^
좋은글 잘 보았습니다.
오... 새로운 작품이..... 좋은데요...
깜독님! 저 기억나시나요? 바탕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