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만 그런건지 모르겠는데, 서비스 관련한 정보가 홈페이지 등을 보면 참 불친절하게 되어 있습니다. -_-

문제는 매뉴얼 등 출고 시 제공되는 책자를 봐도 뭔가 명확하게 규정이 안돼 있다는 거죠.

 

제가 이해력이 떨어지는 건지... ;;

가령, 국산이나 일본차는 무상 보증 기간 및 품목이 나름(?) 명확하게 홈페이지나 출고 책자에 명시가 되어 있는데요.

 

IS250 같은 경우엔

- 무상 보증은 4년 10만Km 까지

- 그외 소모품은 1천, 1만, 2만, 3만, 4만 이런 식으로 주요 소모품(오일/오일필터/에어컨필터/앞,뒤 패드)무상 쿠폰이 있죠.

 

근데, 미니는... 홈페이지 어디를 봐도 저런 설명은 일절 없고 책자를 보면

- 무상 보증은 3년 6만Km 까지 (일반 전장품은 2년)

- 그외 소모품은 5년 혹은 5만km 까지 MSI 를 통해 제공된다는데, 이게 차에서 알려주는 정비 시기에 근거하는 걸로 압니다.

 

무상 보증 기간이 짧은 걸 제외하면 기본적인 소모품 제공 범위는 비슷한 거 같아 보이는데

차이점은 기간이 명확하게 명시돼 있지 않다는 거(차에서 알려주는대로 따라야 하는 ?)

그리고, 그 교환시기 도래 전에는 무상 서비스는 받을 수 없다는 거(가량 길들이기 끝나고 오일 갈려면 사비로 ?)

 

차량마다 운행 조건, 컨디션 등이 다르므로 차에서 알려주는게 참 좋겠다~ 라는 생각을 했었지만

막상 그 입장이 되고 보니 조금 융통성이 없다는 생각도 드네요.

 

솔직히, 롱라이프 오일이라고 해도 2만 이상 오일을 갈지 않고 운행해도 괜찮은지에 대한 의구심도 들구요.

긴가민가 하지만 제 기억에 시동 시 표기되는 서비스 주기가 28000 으로 나오거든요.

 

이제 곧 1000 가까이 되는데 서비스 주기에서 5000 전후로 예약, 점검 받으면 된다지만

결국 그렇다고 해도 20000 정도까진 걍 타야 한다는 얘긴데... 진짜 괜찮을까요 ? -_-

 

독일차가 처음이라 ;;

걍 기계를 믿어야 하는건지~ 아님 그냥 길들이기 끝나는 시점에 오일 한번 갈아주는 게 좋은건지~

 

어쨌거나, 홈페이지 정보가 생각보다 별로 디테일하지 않고 친절하지도 않다는 생각엔 변함이 없습니다.

각 사양에 대한 정확한 안내(고지)도 안돼 있고.

 

그러고보니, 누굴 탓할 일도 아닌게 저도 차 사면서 저런 거 별로 안물어봤던 거 같네요. -_-

핑계는 아니지만, 저는 걍 렉서스 생각하고 알아서 딜러가 다 챙겨줄 줄 알았거든요.

 

근데, 센터 가보니 미니는 모든 게 다 셀프더군요. ㅋㅋㅋ

쩝.

 

P.S) 미니(MINI)는 브랜드 네임이고 차량명은 Cooper 가 맞는 걸로 아는데... MINI = Cooper 로 통용하기도 하나요 ? 공식 홈페이지에서조차 Cooper 를 MINI 로 표기한 부분도 있고. 걍 쿠퍼는 미니로 불러도 되는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