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아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전 원래 2004-2007년 중반기까지 항상 모튤만 넣던 속칭 '모튤빠'였습니다.
하지만 오메가가 더 낫다는 몇몇 매니아들의 의견들에 잠시 혹해서..
(한때는 모튤을 좋아한다고 하면 뭘 모르는 바보 오너 취급하는 분위기도 살짝 있었죠)
오메가를 631을 써봤지만.. 어딘가 둔한 느낌이 싫었고,
다시 반년 가량 아집 레이싱 10w60을 넣기도 했지만..
이 아집레이싱은 중저RPM에서의 반응은 좋으나 고RPM에서 너무 뻑뻑하고..
다시 631을 써봤지만 역시나 처음 느낌처럼 아집보다도 둔한 느낌..
그러다가 문득 넣어본 오메가 G1 (10w50)을 넣고 그나마 만족하고 있었죠..
(그나마 제가 원하던 리스폰스와 비슷한 느낌의 오일이었으니까요)
그러다 오늘..
1년만에 다시 결국 원래 넣던 모튤을 넣었습니다.
....젝일...
역시 저에게는 모튤이었습니다 -_-
딱 제가 원하는 특성은 역시 모튤.. 딱 그 특성이더군요.
그 미친듯이 돌아가는 모튤 특유의 소위 '뽕맛'..
(단지 1000km정도까지만 한정이란게 좀 슬프지만),
5도가량 낮게 뜨는 유온(G1이 10w50이었으니 점도 향상도 크겠죠),
그리고 낮은 유온만큼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는 유압..
그리고 상대적으로 더 쉽게 떨어지는 배기온..
역시 모튤이 제게는 왓땁니다 -_-
앞으로 누가 뭐래도 전 모튤만 쓰렵니다..
모튤 만세!!!!!!!!!!!!!!!!!!!!!!!!!!!!!!!!!!!!!!!!!!!!!!!!!
P.S.
튜닝라이프를 계속 해오면서 점점 '명품파츠'에 대한 환상이 깨져왔습니다만..
얼마전 '뽀대'하나를 위해 머플러를 정체불명의 저렴한(!!)머플러로 교체한 후,
머플러만큼은 '명품'까진 아니라도 '브랜드'제품을 써야한다는걸 깨닫고 있습니다.
그동안 쓰던 HKS머플러가 얼마나 좋은거였는지를 뼈저리게 느끼게 해주더군요..
뭐랄까.. 배기음이 너무 개념없달까..
4000RPM정도면 곧 퓨얼컷을 칠것같은 인상을 운전자에게 전해줘서,
결과적으로 왠지 악셀 밟기가 겁나게(부담스럽게) 만듭니다 -_-
도저히 RPM이 느낌이 안오고, 부담만 주면서, 부밍이 울려서 머리는 띵하고..
조만간 머플러는 다시 '브랜드'제품으로 바꾸게 될듯 합니다 -_-
(그런데 언제부턴지 국산 브랜드 머플러는 가격이 외제 '명품'들과 맞먹더군요 -_-)
전 원래 2004-2007년 중반기까지 항상 모튤만 넣던 속칭 '모튤빠'였습니다.
하지만 오메가가 더 낫다는 몇몇 매니아들의 의견들에 잠시 혹해서..
(한때는 모튤을 좋아한다고 하면 뭘 모르는 바보 오너 취급하는 분위기도 살짝 있었죠)
오메가를 631을 써봤지만.. 어딘가 둔한 느낌이 싫었고,
다시 반년 가량 아집 레이싱 10w60을 넣기도 했지만..
이 아집레이싱은 중저RPM에서의 반응은 좋으나 고RPM에서 너무 뻑뻑하고..
다시 631을 써봤지만 역시나 처음 느낌처럼 아집보다도 둔한 느낌..
그러다가 문득 넣어본 오메가 G1 (10w50)을 넣고 그나마 만족하고 있었죠..
(그나마 제가 원하던 리스폰스와 비슷한 느낌의 오일이었으니까요)
그러다 오늘..
1년만에 다시 결국 원래 넣던 모튤을 넣었습니다.
....젝일...
역시 저에게는 모튤이었습니다 -_-
딱 제가 원하는 특성은 역시 모튤.. 딱 그 특성이더군요.
그 미친듯이 돌아가는 모튤 특유의 소위 '뽕맛'..
(단지 1000km정도까지만 한정이란게 좀 슬프지만),
5도가량 낮게 뜨는 유온(G1이 10w50이었으니 점도 향상도 크겠죠),
그리고 낮은 유온만큼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는 유압..
그리고 상대적으로 더 쉽게 떨어지는 배기온..
역시 모튤이 제게는 왓땁니다 -_-
앞으로 누가 뭐래도 전 모튤만 쓰렵니다..
모튤 만세!!!!!!!!!!!!!!!!!!!!!!!!!!!!!!!!!!!!!!!!!!!!!!!!!
P.S.
튜닝라이프를 계속 해오면서 점점 '명품파츠'에 대한 환상이 깨져왔습니다만..
얼마전 '뽀대'하나를 위해 머플러를 정체불명의 저렴한(!!)머플러로 교체한 후,
머플러만큼은 '명품'까진 아니라도 '브랜드'제품을 써야한다는걸 깨닫고 있습니다.
그동안 쓰던 HKS머플러가 얼마나 좋은거였는지를 뼈저리게 느끼게 해주더군요..
뭐랄까.. 배기음이 너무 개념없달까..
4000RPM정도면 곧 퓨얼컷을 칠것같은 인상을 운전자에게 전해줘서,
결과적으로 왠지 악셀 밟기가 겁나게(부담스럽게) 만듭니다 -_-
도저히 RPM이 느낌이 안오고, 부담만 주면서, 부밍이 울려서 머리는 띵하고..
조만간 머플러는 다시 '브랜드'제품으로 바꾸게 될듯 합니다 -_-
(그런데 언제부턴지 국산 브랜드 머플러는 가격이 외제 '명품'들과 맞먹더군요 -_-)
2008.08.21 02:33:06 (*.229.241.128)

저에게는 모튤이 쥐약이더군요.....점도를 잘못 맞춰서 그랬는지는 몰라도 5W40 넣었다가 3일만에 빼버린적이 있었다는....ㅡ,.ㅡ;
2008.08.21 03:10:08 (*.176.70.15)

역시 오일은 주관적인 견해가 강하다는것(스타일,감성)과...
차량 특성에 따라 너무도 다른 평가가 내려지는것 같습니다.
어떤 분들은 오메가 631을 비싸기만한 "쓰레기"라고 하는분들도 있는데..
모빌1->캐스트롤->모튤300V->오메가631로 ....굴러온 저에겐..
오메가가 가장 점도유지와, 내구성이 좋네요..
그나저나..광삼할배님..
010-5225-2530...제 번호...한시적이긴 합니다.
조만간...
010-5820-2530으로 바꿀거에요....아님 010-2530-5820으로..
제가 차량번호 5820에...2530터보라서.ㅋ
차량 특성에 따라 너무도 다른 평가가 내려지는것 같습니다.
어떤 분들은 오메가 631을 비싸기만한 "쓰레기"라고 하는분들도 있는데..
모빌1->캐스트롤->모튤300V->오메가631로 ....굴러온 저에겐..
오메가가 가장 점도유지와, 내구성이 좋네요..
그나저나..광삼할배님..
010-5225-2530...제 번호...한시적이긴 합니다.
조만간...
010-5820-2530으로 바꿀거에요....아님 010-2530-5820으로..
제가 차량번호 5820에...2530터보라서.ㅋ
2008.08.21 07:45:21 (*.101.240.244)

저도 터보차시절 처음에는 모튤 300V 15W50 만 넣었습니다.
'뽕맛' 이라고 표현하신..ㅋ 그런 느낌이 들어서였죠.
하지만 내구성이 떨어지는듯하여 오메가 G1으로 교체한뒤 쭈욱 오메가만 넣었습니다.
'뽕맛'은 떨어져도 내구성은 짱인듯해서요.. ^-^;
중간에 파워클러스터 레이싱 오일을 넣고 또한번 진보된 효과를 경험했습니다.
오메가에서는 못느끼던 또다른 느낌...?!?
암튼 세상에 있는 좋은 오일은 다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막들었습니다.ㅋ
'뽕맛' 이라고 표현하신..ㅋ 그런 느낌이 들어서였죠.
하지만 내구성이 떨어지는듯하여 오메가 G1으로 교체한뒤 쭈욱 오메가만 넣었습니다.
'뽕맛'은 떨어져도 내구성은 짱인듯해서요.. ^-^;
중간에 파워클러스터 레이싱 오일을 넣고 또한번 진보된 효과를 경험했습니다.
오메가에서는 못느끼던 또다른 느낌...?!?
암튼 세상에 있는 좋은 오일은 다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막들었습니다.ㅋ
2008.08.21 07:51:52 (*.155.138.208)

300v 교환 초기의 그 느낌은 정말 좋죠.저도 모툴 매니아였으니깐요 . 하지만 내구성이 워낙 떨어지다보니 저같은 헝그리 튜너는 감성을 조금 희생해서라도 내구성을 살리고자 다른 오일들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저도 능력만 되면 계속 300v로 갈고 싶습니다. 10w40 크로노... ㅠㅠ
2008.08.21 08:12:48 (*.155.138.208)

참... 광삼님 오일온은 최근들어 급격히(?) 떨어진 외기온도 때문 아닐런지요? 저도 요즘 수온계 올라가는 속도가 열흘 전보다 꽤나 더뎌진 듯 해서요.
2008.08.21 10:59:18 (*.105.139.116)

저역시 10년전 바이크 탈떄부터 제가 타는 것에는 300v 만 쭉 고수하고 있습니다 ^^;
뉴코란도에 터보튠해서 탔을땐 순정 휠마력 110 마력짜리를 엔진에 아무런 보강없이 230 마력
을 만들어서 10만킬로미터를 탔는데도 엔진을 지켜준건 300 v 였습니다. 단! 그 엔진이
오일을 10리터나 필요해서 문제였죠^^
가격의 압박에 잠깐 아집 10w50 랠리스포츠로 잠깐 외도했었는데 하필 그 이후
멀쩡하던 엔진이 블로우 나버리는 바람에 그 이후부터는 더욱 300v 맹신론자가 되어버렸
습니다 . 물론 지금의 쎄라토 하이캠도 300v 를 씁니다.
점도는 0w20 을 고수중이구요^^ 오일이 줄어들고 교환주기가 4~5000km정도로 짧지만...
앞으로 바꿀일은 없을것 같습니다^^
뉴코란도에 터보튠해서 탔을땐 순정 휠마력 110 마력짜리를 엔진에 아무런 보강없이 230 마력
을 만들어서 10만킬로미터를 탔는데도 엔진을 지켜준건 300 v 였습니다. 단! 그 엔진이
오일을 10리터나 필요해서 문제였죠^^
가격의 압박에 잠깐 아집 10w50 랠리스포츠로 잠깐 외도했었는데 하필 그 이후
멀쩡하던 엔진이 블로우 나버리는 바람에 그 이후부터는 더욱 300v 맹신론자가 되어버렸
습니다 . 물론 지금의 쎄라토 하이캠도 300v 를 씁니다.
점도는 0w20 을 고수중이구요^^ 오일이 줄어들고 교환주기가 4~5000km정도로 짧지만...
앞으로 바꿀일은 없을것 같습니다^^
2008.08.21 11:01:28 (*.140.146.177)

전 어차피 모튤은 수명이 3000km 라고 봅니다 ^^
그래서 보통 항상 3000km마다 교환해왔고.. 앞으로도 그러겠죠.
그리고.. 엔진 상태가 좋다면 모튤이라도 오일은 안먹더군요..
(예전 일반 호닝집에서 1mm 오버 호닝한 블럭을 쓰던 시절엔 먹었는데..
지금의 라이너를 박은 1mm 오버 블럭의 경우는 전혀 먹지 않습니다)
오일을 먹는다면 어딘가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생각합니다.
음.. 그리고 오일온은.. 점도 차이가 있을거라고 저는 봅니다.
일단 10w50 에서 15w50 으로 바꾼거라서..
(오메가도 G1에서 531 15w50으로 바꾸면 마찬가지 효과가 납니다 ㅎㅎ)
그래서 보통 항상 3000km마다 교환해왔고.. 앞으로도 그러겠죠.
그리고.. 엔진 상태가 좋다면 모튤이라도 오일은 안먹더군요..
(예전 일반 호닝집에서 1mm 오버 호닝한 블럭을 쓰던 시절엔 먹었는데..
지금의 라이너를 박은 1mm 오버 블럭의 경우는 전혀 먹지 않습니다)
오일을 먹는다면 어딘가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생각합니다.
음.. 그리고 오일온은.. 점도 차이가 있을거라고 저는 봅니다.
일단 10w50 에서 15w50 으로 바꾼거라서..
(오메가도 G1에서 531 15w50으로 바꾸면 마찬가지 효과가 납니다 ㅎㅎ)
2008.08.21 11:48:32 (*.135.224.99)

어차피 엔진오일들의 특성이 다 다르니 차량마다 궁합이 있겠죠.
로터리의 경우 수온 관리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대체로 모튤을 선호합니다. 오일 중에서 냉각 효과가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죠. 모튤엔진오일만으로도 수온이 3도 정도 내려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은 팔려간) 제 애마도 케미컬류는 모두 모튤로 도배했었습니다. 엔진오일, 기어오일, 냉각수 등...
모튤 엔진오일의 경우 오일을 좀 먹는다는 평이 많은데 원래 로터리 자체도 오일을 좀 먹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신경써서 봐주었지만 제 차의 경우 교환시기가 도래할 때까지 거의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나이가 들어서인지 최근 부드러운 운전을 선호하게 된 영향이 있을 듯 합니다.
반면 예전이 티뷰론 탈 때는 이것저것 넣어보았지만 캐스트롤이 가장 마음에 들었었네요. 너무 과도하지도 않고 딱 적합한 느낌.
반면 쏘렌토에도 이것저것 넣어보았지만 그저 킥스가 딱...ㅎㅎ
로터리의 경우 수온 관리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대체로 모튤을 선호합니다. 오일 중에서 냉각 효과가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죠. 모튤엔진오일만으로도 수온이 3도 정도 내려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은 팔려간) 제 애마도 케미컬류는 모두 모튤로 도배했었습니다. 엔진오일, 기어오일, 냉각수 등...
모튤 엔진오일의 경우 오일을 좀 먹는다는 평이 많은데 원래 로터리 자체도 오일을 좀 먹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신경써서 봐주었지만 제 차의 경우 교환시기가 도래할 때까지 거의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나이가 들어서인지 최근 부드러운 운전을 선호하게 된 영향이 있을 듯 합니다.
반면 예전이 티뷰론 탈 때는 이것저것 넣어보았지만 캐스트롤이 가장 마음에 들었었네요. 너무 과도하지도 않고 딱 적합한 느낌.
반면 쏘렌토에도 이것저것 넣어보았지만 그저 킥스가 딱...ㅎㅎ
2008.08.21 12:09:49 (*.140.146.177)

그러고보니 전 QM5 가솔린에 제타루브를 5w30을 넣어보고..
'이거 순정과 아무런 차이가 안느껴지는데 -_-a;;;' 라고 생각했습니다.
다음번엔 킥스를 넣어볼까요..ㅎㅎ
'이거 순정과 아무런 차이가 안느껴지는데 -_-a;;;' 라고 생각했습니다.
다음번엔 킥스를 넣어볼까요..ㅎㅎ
2008.08.21 16:14:54 (*.108.58.104)
예전차(엘리사하이캠)시절에 모튤 5w30을 넣었었는데 오일을 먹어서 수시로 점검하고 보충하고 했었는데요, 현재(MK4 R32) 모튤 5w40을 넣고 있는데 3달동안 수시로 체크했지만 전혀 먹지를 않네요.
2008.08.21 18:31:18 (*.101.243.248)

본문과는 관계없는 질문인데요..
이정웅님 혹시 하얀색 캠리사 아니었나요?
제 하드에 저장되어있는 캠리사 스타트 동영상의 주인공이신듯..ㅋ
매혹적인 캠리사 사운드에 반했던 기억이 나네요..^-^;
이정웅님 혹시 하얀색 캠리사 아니었나요?
제 하드에 저장되어있는 캠리사 스타트 동영상의 주인공이신듯..ㅋ
매혹적인 캠리사 사운드에 반했던 기억이 나네요..^-^;
2008.08.21 18:32:14 (*.33.110.130)

모툴 300V가 레이싱 오일이다 보니 수명도 짧고 에스터 기유라 그런가 엔진 피스톤 링 실린더 클리어런스와 점도에 따라 소모도 좀 있는 편입니다. 고rpm에서는 정말 부드럽고 좋지요. ^^ 하지만 모툴도 국내 가격이 너무 올라서 계속사용하기는 부담이 되고, PAO+Ester 기유에 가격대 성능비가 정말 좋은 스피드마스터 제품 애용중입니다. 제차는 아직 오일 교환주기가 안되서 모툴 300V가 그대로 들어가 있습니다만, 다음달쯤에 스피드마스터 스페셜스테이지로 교환하고 비교를 해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