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오늘 있었던 일입니다.
오후 10시 20분 경 강변북로(한남->마포 방면)에서 4차로 살짝 걸쳐 갓길에 탑차 한대가 비상등을 켜고 정지상태로 있었는데요..
커브길 코너에 있는 바람에 갑자기 거대한 장애물이 나타난 꼴이 되어버렸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시속 70~80Km/h정도의 속도를 유지하고 다니던 차가 조금만 왼쪽으로 비켜서 주행하면 해결이 될 문제를 그냥 차량을 세워버리는-_-;; 바람에 큰 사고가 날 뻔했습니다.
비상등도 없이 좌측 차선에 공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갑작스런 급브레이킹으로 인해 약 10여대의 차량이 급박하게 차량을 세우는 상황이 발생했고 제가 중간쯤에 끼어있어서 전방상황을 대략적으로나마 목격했습니다만..
아무리 생각을 해봐도 차를 세워야 할만큼 트럭이 전방을 완전히 막은것도 아니고(차선만 살짝 넘긴 상태) 피할 공간이 없는 것도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런 행동을 함으로써 위험을 초래하는게 과연 정당한 것인가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가끔씩 드는 생각이지만 한국의 자동차 문화는 시장크기와 기술발전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라고 쓰는 저도 좀 민망한 감은 있지만요. 부끄럽기도 합니다.;;)
오후 10시 20분 경 강변북로(한남->마포 방면)에서 4차로 살짝 걸쳐 갓길에 탑차 한대가 비상등을 켜고 정지상태로 있었는데요..
커브길 코너에 있는 바람에 갑자기 거대한 장애물이 나타난 꼴이 되어버렸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시속 70~80Km/h정도의 속도를 유지하고 다니던 차가 조금만 왼쪽으로 비켜서 주행하면 해결이 될 문제를 그냥 차량을 세워버리는-_-;; 바람에 큰 사고가 날 뻔했습니다.
비상등도 없이 좌측 차선에 공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갑작스런 급브레이킹으로 인해 약 10여대의 차량이 급박하게 차량을 세우는 상황이 발생했고 제가 중간쯤에 끼어있어서 전방상황을 대략적으로나마 목격했습니다만..
아무리 생각을 해봐도 차를 세워야 할만큼 트럭이 전방을 완전히 막은것도 아니고(차선만 살짝 넘긴 상태) 피할 공간이 없는 것도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런 행동을 함으로써 위험을 초래하는게 과연 정당한 것인가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가끔씩 드는 생각이지만 한국의 자동차 문화는 시장크기와 기술발전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라고 쓰는 저도 좀 민망한 감은 있지만요. 부끄럽기도 합니다.;;)
2008.08.26 01:49:10 (*.155.218.79)

절대 정당하지 않죠....운전이 미숙한 초보겠군요..-.-
그래도 모 법적으로 하자는 없으니 그런차들 피해다닐 밖에요...
도로에서 움직임이 어리버리한 차들보면 빨랑 피해다닙니다 ^^
직진하는거만 봐도 감이 오자나요...ㅋㅋ
그래도 모 법적으로 하자는 없으니 그런차들 피해다닐 밖에요...
도로에서 움직임이 어리버리한 차들보면 빨랑 피해다닙니다 ^^
직진하는거만 봐도 감이 오자나요...ㅋㅋ
2008.08.26 02:51:53 (*.166.109.72)
저두 막 강변북로에서 비슷한 상황을 겪었습니다-_-;; 마포->청담 방향으로 가다보면.. 성수대교 아래를 지나서 광할한 직선이 펼쳐지는 구간이 있습니다; 시작 부분 1차선쪽이 살짝 좌코너고 시야가 가려 있어서.. 풀악셀 할때마다 무서웠는데ㅠㅠ 마침 오늘 1차선에 비상등 키고 누가 서있네요-_-;
2차선으로 회피하려고 보니 3차선에서 누가 2차선으로 들어오고 있고-_-;; 완전 뺴도박도 못하는 상황이었는데.. 다행히 3->2차선 하는 차량이 천천히 오길래 냅다 1-2 차선 사이로 경적을 울리며 스쳐 지나갔습니다ㅠㅠ
급박한 상황에서 전후좌우를 전부 살피면서 장애물을 피할수 있는 운전자는 그리 많아 보이지 않습니다. 저도 아차하면 대형 사고가 일어났을거구요..
일반적인 운전자라면 비상시엔 냅다 정지하는게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리숙하게 회피기동을 하다 2차 3차 사고 까지 일으킬수도 있고, 나는 피했는데 뒤에서 난리가 날수도 있지 않을까요?
2차선으로 회피하려고 보니 3차선에서 누가 2차선으로 들어오고 있고-_-;; 완전 뺴도박도 못하는 상황이었는데.. 다행히 3->2차선 하는 차량이 천천히 오길래 냅다 1-2 차선 사이로 경적을 울리며 스쳐 지나갔습니다ㅠㅠ
급박한 상황에서 전후좌우를 전부 살피면서 장애물을 피할수 있는 운전자는 그리 많아 보이지 않습니다. 저도 아차하면 대형 사고가 일어났을거구요..
일반적인 운전자라면 비상시엔 냅다 정지하는게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리숙하게 회피기동을 하다 2차 3차 사고 까지 일으킬수도 있고, 나는 피했는데 뒤에서 난리가 날수도 있지 않을까요?
2008.08.26 07:46:42 (*.192.57.253)

거리에 초보 운전자도 있다는 사실 명심하시구요....
이럴때 안전거리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군요.... 평소 안전거리가 아무 의미 없어보이다가도..
이럴땐 필요해 보이기두 하구요...
이럴때 안전거리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군요.... 평소 안전거리가 아무 의미 없어보이다가도..
이럴땐 필요해 보이기두 하구요...
2008.08.26 12:47:26 (*.117.99.154)
이런건 드라이빙스쿨같은데서나 경험해봐야 대응능력이 생깁니다. 면허따자마자 도로 나와서 10년 운전한 운전자들도 저런 상황에선 좌우 회피보다는 그냥 정지하는게 훨씬 안전합니다.
2008.08.26 18:02:45 (*.151.235.75)
저는 와이프에게 무조건 정지하라고 설명합니다. 오른쪽 커브에서 사이드미러나 룸미러로 주변 상황파악이 어려운 상태였을거고 혹 완벽한 옆차선 클리어 상태라면 살짝 꺽을수도 있겠지만 일반적인 운전자의 경우 ( 후행차를 포함한 )주변 상태 파악 후 차선변경은 기대하기 힘들듯 하구요. 만약 유람모드였던 선행차 바로 뒤에 튠카가 있었고 튠카가 전방상태 확인후 풀악셀로 선행차(서행중)를 피해 차선변경을 시작하며 달려오고 있었다면 선행차가 약간의 조타각수정만으로도 더 큰 사고를 불러올 수도 있기때문이죠. 또한 갓길 정차차량의 운전자나 동승자가 주행선쪽으로 튀어나올 경우도 대비해야겠죠?^^
적극적 개념으로 스티어를 꺾어 요령껏 피해야 겠다는 생각보다는 일단 세우고 보는게 맞다는 생각을 가지고 계십니다.
방어운전은 길에 세워진 탑차를 피하는 것 뿐 만 아니라 세워진 탑차를 보고 냅다 브레이크를 밟는 일반 운전자를 예상하는 것도 포함되는 것 같습니다.
사고 안 나셔서 다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