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중미산 Hill Climb 예전자료들 비교입니다.
빨간색라인은 지난주에 동호회분과 동승해서 달린거고(이정도 달리면 동승자 놀랩니다)
파란색은 저 혼자 달렸던거
초록색은 무시무시한 빨간 캔버스탑 터보 구형 프라이드 따라간거고(후덜덜) -> 요 바로 전글에 그래프와 지도(코너링속도)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하늘색은 다른차(세단류) 입니다. 이차는 경찰있어서 좀 천천히 조심조심...
빠르게가나 천천히가나 큰 차이 없죠?
동승자타면 더 많이 밟게됩니다...조심해야겠어요. 혼자는 감정콘트롤이 되는데^^
참 이 동영상은 실제의 5배속도입니다.
한 차선만 이용해서 달리는거구요....가끔 진행방향에 차가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무리하지말고 모두들 재밌게 즐기자구요~
빨간색라인은 지난주에 동호회분과 동승해서 달린거고(이정도 달리면 동승자 놀랩니다)
파란색은 저 혼자 달렸던거
초록색은 무시무시한 빨간 캔버스탑 터보 구형 프라이드 따라간거고(후덜덜) -> 요 바로 전글에 그래프와 지도(코너링속도)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하늘색은 다른차(세단류) 입니다. 이차는 경찰있어서 좀 천천히 조심조심...
빠르게가나 천천히가나 큰 차이 없죠?
동승자타면 더 많이 밟게됩니다...조심해야겠어요. 혼자는 감정콘트롤이 되는데^^
참 이 동영상은 실제의 5배속도입니다.
한 차선만 이용해서 달리는거구요....가끔 진행방향에 차가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무리하지말고 모두들 재밌게 즐기자구요~
2008.09.01 10:51:39 (*.140.146.177)

확실히 동승자는 여러모로 위험도가 올라가더군요..
말씀하신 감정 컨트롤 상의 문제도 있고..(괜히 오버하게 되는)
차중이 익숙한 무게에 비해 60-70kg가 늘어나고 중심도 변해서..
동승자를 자주 태우지 않는 경우라면, 문제가 좀 되더군요..
(저도 조수석에 웬만해선 사람 안태워서.. 누가 타면 헷갈립니다)
말씀하신 감정 컨트롤 상의 문제도 있고..(괜히 오버하게 되는)
차중이 익숙한 무게에 비해 60-70kg가 늘어나고 중심도 변해서..
동승자를 자주 태우지 않는 경우라면, 문제가 좀 되더군요..
(저도 조수석에 웬만해선 사람 안태워서.. 누가 타면 헷갈립니다)
2008.09.01 11:13:03 (*.117.99.154)
예전에 경기뛸때는, 체험주행 태우고 달릴때 동승자들이 비명지르는게 재미있어서 일부러 더 오버하긴 했습니다만, 차가 그만큼 느려지더군요; (특히 성인남자 3명을 더 태우고 달리니;;;)
동승자 인원이 매번 달라지다보니 어느정도 차가 어떻게 움직임이 변할지 예측이 가능하니, 오히려 동승차 태워서 달려보는것도 나름 신선한 경험이 되지않을까 생각됩니다.
동승자 인원이 매번 달라지다보니 어느정도 차가 어떻게 움직임이 변할지 예측이 가능하니, 오히려 동승차 태워서 달려보는것도 나름 신선한 경험이 되지않을까 생각됩니다.
2008.09.01 13:33:44 (*.58.156.47)

한번은 트렁크에 짐이 한가득 실린걸 깜빡하고 코너에 던졌다가 뒤가 나는 바람에 첫 코너에서 당황했던 기억이 납니다 ^^ 저도 사람 타는 경우가 별로 없는데... 그래도 남자보다 아가씨 태운게 차가 왠지 더 잘 나가더군요. ;)
2008.09.01 13:46:53 (*.176.70.15)

저는 늘상....와인딩 하면서..처음 오신분들이나.궁금한 분들 태워드리다보니..
누가 타던 안타던 그 차이는 거의 없는것 같네요^^;;
평소보다 핸들량에좀더 민감해지는것 같고요.ㅋ
누가 타던 안타던 그 차이는 거의 없는것 같네요^^;;
평소보다 핸들량에좀더 민감해지는것 같고요.ㅋ
2008.09.01 16:28:10 (*.47.129.5)
혹시 삼성이나 LG 휴대폰회사 다니는분 있으면 개발해주세요. GPS내장 휴대폰은 다 가능한 기능이거든요. 물론 p-box나 d-box에 비해 gps수신속도가 늦겠지만 laptime재는거는 0.1초 오차이내로 가능할껍니다. embeded프로그램으로 만들면되는데...nokia는 자체 os로 만들었더라구요.
2008.09.01 17:41:16 (*.117.99.154)
D1에서도 드리프트박스를 사용한다고 하더군요. 다만 유리창에 붙이는 시판타입 말고, GPS안테나를 두개나 사용하는 Driftbox Pro라는, 하프랙타입의 기기를 사용하던데...
예전에 마스터님이 올리신 드리프트강습받은 내용에 저 드리프트박스를 이용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예전에 마스터님이 올리신 드리프트강습받은 내용에 저 드리프트박스를 이용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2008.09.01 18:13:39 (*.130.111.232)

퍼포먼스박스를 구입하면 차후 드리프트 박스 -> 드리프트 박스 프로 이렇게 업그레이드 가능한가요?? (가능하면... 왠지... 땡기는... ;;; 무..물론!!!!! 살 돈도 없지만서도 쿨럭)
2008.09.02 00:48:06 (*.186.148.150)
퍼포먼스 박스와 드리프트 박스 차이는 드리프트 앵글을 점수화 하는 부분만 다릅니다. 드리프트 박스가 뭔가 센서 하나가 더 있어서 뒤가 돌아가는 양을 측정할 수 있다고 하네요. G센서는 두 제품 동일한듯합니다. 즉 트랙로깅용이라면 두 제품의 성능/기능은 동일합니다. 드리프트 박스가 드리프트를 할때 조금더 재미를 주지요. 그리고 드리프트 박스 프로는 완전 다른 제품입니다. 위에 두 제품이 1초당 10번의 데이터를 로깅하는반면 드리프트박스 프로는 1초당 100번의 데이터를 로깅합니다. 좀 더 정확하지요.
하지만 아마추어레벨에서는 위에 두제품만 해도 응용분야는 무한합니다.
퍼포먼스박스,드리프트박스의 트랙에서의 오차는 1/10초 이내입니다. 트랜스폰더로 잰 기록과 소숫점 첫재짜리까지는 정확하게 맞아떨어집니다. 거리로 따지면 10m정도의 오차율을 가지고 있다고합니다.
제 경험으로는 같은날 사용한 데이터의 경우 거리오차율은 거의 없었구요. 다른날 데이터를 함께 비교해보면 약간 이동(대륙이동설에 의한 그런것은 아닐듯^^)이 있습니다만 수동으로 보정이 됩니다. 8개인가의 위성으로 부터 신호를 받아 6개신호를 가지고 위치를 잡는데 어느것이 더 센가에 따라서 위치가 조금씩 바뀌는것 같더군요. 옵션품목인 외장형 GPS를 사용하면 조금더 정확하다고 합니다.
단점은 가격인데.....
우리네 차에 모두 하나씩 가지고 있는 GPS(네비)가 1초당 한번 신호를 받아서 처리할껍니다. 이정도만 해도 데이터로깅에 크게 문제는 없지요. 랩타임재는것도 연습용이라면 가능할껍니다. 다만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는게 아쉽네요.
위 기계가 대단한게 아니라 단지 GPS로 부터 받는신호(시각,위도,경도)를 DAT파일로 쭉 저장만 해놓아도 나중에 소프트웨어(또는 엑셀)로 충분히 재미있는 데이터를 만들어 낼 수 있으니까요. 네비업체에서 간단하게만 만들어줘도 되는데 아직은........
하지만 아마추어레벨에서는 위에 두제품만 해도 응용분야는 무한합니다.
퍼포먼스박스,드리프트박스의 트랙에서의 오차는 1/10초 이내입니다. 트랜스폰더로 잰 기록과 소숫점 첫재짜리까지는 정확하게 맞아떨어집니다. 거리로 따지면 10m정도의 오차율을 가지고 있다고합니다.
제 경험으로는 같은날 사용한 데이터의 경우 거리오차율은 거의 없었구요. 다른날 데이터를 함께 비교해보면 약간 이동(대륙이동설에 의한 그런것은 아닐듯^^)이 있습니다만 수동으로 보정이 됩니다. 8개인가의 위성으로 부터 신호를 받아 6개신호를 가지고 위치를 잡는데 어느것이 더 센가에 따라서 위치가 조금씩 바뀌는것 같더군요. 옵션품목인 외장형 GPS를 사용하면 조금더 정확하다고 합니다.
단점은 가격인데.....
우리네 차에 모두 하나씩 가지고 있는 GPS(네비)가 1초당 한번 신호를 받아서 처리할껍니다. 이정도만 해도 데이터로깅에 크게 문제는 없지요. 랩타임재는것도 연습용이라면 가능할껍니다. 다만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는게 아쉽네요.
위 기계가 대단한게 아니라 단지 GPS로 부터 받는신호(시각,위도,경도)를 DAT파일로 쭉 저장만 해놓아도 나중에 소프트웨어(또는 엑셀)로 충분히 재미있는 데이터를 만들어 낼 수 있으니까요. 네비업체에서 간단하게만 만들어줘도 되는데 아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