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100% 라고 단정지을 순 없겠습니다만, 일전에 Q&A 에 배터리 교체 문의하면서 말씀드렸던
출력 저하의 원인을 어느 정도 찾은 거 같습니다.
출고 4년차. 곧 9만km 도래.
하루도 쉬지 않고 거의 매일 운행했기에 10만km 를 앞두고 대대적인 정비를 해야겠다 맘먹고 있었는데...
데일리 운행 + 고알피엠 주행에 따른 데미지(?)가 생각보다 컸는지
예상보다 주기가 좀 빨리 찾아온 거 같네요.
- 차종 : 09년식 IS250
- 운행 : 86000km
지난 주말 주유구 부근 뒷 휀더에 큰 문빵을 당했고, 그동안 외장 관리를 전혀 못했기에
안 그래도 금년엔 광택을 한 번 맡겨야지 했었습니다.
때 마침(?) 문빵 테러를 당해 덴트 겸 광택을 맡겼는데 이튿날 업체에서 바로 전화가 오더군요.
체크등이 떴다고. 처음엔 앞 범퍼 도색을 위해 범퍼 탈거하면서 파킹 센서 등을 빼서 그랬나 싶었습니다.
그런데, 업체에서 센터 방문한 결과를 유선으로 알려주는데...
2번 점화 코일 상태가 안좋다고 예비 경고등이 떴다며 차주가 아니므로 A/S 접수는 안된다고...
부조 등의 심각한 상태는 아니나 곧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가능하면 빠른 시일 내에 방문해 달라고 했다네요.
그 얘기를 전화로 들으면서 최근 느꼈던 출력 저하 등이 바로 떠 올랐습니다.
사실 스타트 시에도 일발 시동이라고 하기엔 뭔가 힘이 좀 딸린 느낌도 있었구요.
>>이 부분 때문에 처음에 배터리를 의심했었는데... 배터리도 교체해야 할 거 같긴 합니다. (인디게이턴 정상이라지만)
증상이...
- 오르막 등에서 악셀레이터를 전개해도 알피엠 게이지가 쭉 뻗지 못하고 뭔가 힘이 세는 느낌 ?
- 고속 주행 시에도 속도가 예전보다 더디게 붙는 느낌 ?
- 부조는 없었지만 예전보다 미세하게 커진 듯한 공회전 진동 ?
- 그리고, 시동 시 힘 있게 단 번에 걸리는 느낌이라기 보단 단 번에 걸리긴 하는데 뭔가 좀 푸드덕거리는 느낌 ?
뭐 이런 정도였습니다.
그래서, 출고 4년 되도록 배터리를 갈지 않았기에 배터리를 먼저 의심했었고
최근, 연비 위주로 주행하며 일반유만 넣었기에 기름을 의심했었습니다. (원래 고급유 셋팅임)
위 두 가지도 아예 연관이 없다 생각은 안듭니다만 점화 코일 상태가 안좋으면 그럴 수 있겠단 생각이 더 강하게 드네요.
어쨌거나, 열어봐야 정확한 원인을 진단할 수 있겠지만 결과적으로 비용은 예상을 크게 초과할 거 같네요.
사실 지난 번 차뽕 넣고 2000km 가량 주행하면서 오일 갈고, 트리트먼트 주입할려고 했었는데...
점화 플러그는 권장 교환 주기가 10만km 라 한 두달 더 타보고 교환할 생각이였습니다.
근데, 점화 코일까지...라니. (코일이 독립식이라 개당 10만원 이상이라네요. 당연히 6 개 다 갈아야 하고)
점화 플러그, 점화 코일에 엔진 오일. 그리고, 배터리까지... 예상보다 견적이 많이 나올 거 같습니다.
문득 그런 생각이 들더군요.
얼마 전 입양한 민희씨 때문에 시샘하는 게 아닌가 싶은... -_-
IS250 도 오래 오래 잘 관리하려고 했는데 부디 더 큰 문제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배터리에 문제가 있어도 ecu에서 점화코일 에러를 띄우는 경우도 있더군요
제 경우는 배터리의 -단자가 헐거워진 상황에서
점화코일 에러 고장코드를 수두룩 띄우더라구요
(사제로 배터리 리셋블럭을 달았었는데, 이게 특정 차량 진동에서 접촉불량이 되는경우 같았습니다)
이 경우는 특히 저알피엠(2000rpm 이하)에서 엔진부조가 심한것이 특징이고
고알피엠에선 괜찮았습니다
(고알피엠에서는 알터에서 발생시키는 전기가 충분하기때문이 아닌가 추측이 됩니다)
기통 한두개가 부조가 생기니
주행시 휘발유냄새가 안으로 유입이 되더군요
다행히 리셋블럭 제거하고 증상은 말끔히 사라졌던 기억이 있습니다
잘 고쳐지시길 바랍니다~
6기통은 이런게 문제군요.... 4기통에서 한개의 기통이 실화를 일으켜서 상태가 안좋으면.. 느낌이 좀 좋은 사람들은 단번에 알아채거든요... 근데 6기통의 폭발력이 좀 약하고 다기통이 움직이다보니 그런 신호를 운전자가 느낄수 없을만큼 묻혀버리는..
점화코일의 배선이 어떤 식으로 된지 모르겠지만, 가능하시다면 다른 기통의 점화코일과 변경해보셔서 추가 테스트를 해보시는게 좋을것 같네요... 정~말 코일이 이상인지 확인하기 위해서요..
이럴땐 구형 방식차가 좋은 경우도 있군요.. 한개의 점화코일을 배전기를 통해서 모든 기통에 전달해주니 그냥 저렴하게 한개 코일만 갈아줘도되는...
헤드가스켓 손상으로 인한 2번 실린더 실화, 냉각수 누수 등의 문제가 아닌거에 축하(?) 드립니다...^^
문제가 있다고 의심되는 2번 점화 코일을 다른 정상인 점화 코일하고 맞교환해서 운행 해보는것도 좋다고 들었습니다.
정상인 점화코일을 꼈는데도 계속 2번 점화 코일에서 문제가 생긴다면 다른 문제 일테니까요.
점화코일이 독립식인데 왜 6개를 다 갈아야 하나요?
예방정비차원이 아니라면 다 교환할 필요는 없을텐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