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회사분은 수동차량 단1분도 안봐주고...바로 시동을 꺼버리십니다.
제생각에는 그렇게 자주 껐다켰다 하는 것보다는 그래도 어느정도 공회전은 봐줄만 할텐데...
적어도 3분?? 제가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 그분한테 말하기도 그렇고...
혹시 아시는 분 있으시면 지식좀 부탁드리겠습니다.

터보가 아닌이상 고속주행직후(수온 많이 상승되었을때)가 아닌이상
꼭 그렇게까지 후열을 할 필요는 없다 생각하는 1人입니다....
단, 엔진은 애초 설계 자체가 열팽창시 모든 부품들이 진원값에 가까워지도록 설계되었기에
예열은 모든 엔진에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냥 시동걸고 바로 출발하고 바로 시동꺼도 전혀 상관없습니다.
보통의 국산차나 외제차라면 그렇게 빡세게 관리해야 할정도로 까다로운 엔진도 아니거니와
그정도도 못견딜 정도로 엉터리 내구성을 보이는 엔진도 아닙니다.
그렇게 믿는 가장 결정적인 요인은...
주차 전의 주행상황을 생각해보면 고속도로에서 150이상으로 막 밟다가 갑자기 급하게 휴게소를 들어가지 않는한 최소 2-3분 가량은 얌전한(?)운전을 하게 되기 때문이죠
그리고 후열안하면 안좋지 않나요? 라는 말은 들어봤어도(~라 하던데)
후열 안해서 '제차'가 현저히 시끄러워졌네요 혹은 확실히 안나가네요 이런 말은(직접적인 경험담) 한번도 못들어봤습니다

질문하사분은 예열 후열 말씀하신게 아니라 운행중 가다서다 할때 자주 시동끄고켜고 한걸 말씀하신거 아닌가요?
스탑에고를 수동으로 하는거^^
질문이 좀 더 구체적일 필요가 있겠네요 ^^
1. 시동 걸고 냉간시인지?
2. 일상 주행 중 신호 대기시인지?
3. 주행 완료 후 후열에 대한 말씀인지.
다른 분들의 답변을 보니 이렇게 3가지 답변으로 구분되는거 같습니다.

고은기님 말씀처럼 시동직후 공회전은 좋치못하다생각합니다.
-우선밸브시트...밸브도 회전하지못하기때문에 밸브시트오염방지,손상방지...도 적극적이지못하고...
-오일압력 ..순환 냉각수순환..
-실린더블록의 온도등등의 이유로 연소의...활기차게돌아가는상태에비교해서..불안한요소도..
있습니다.
저의경우는 밸트까지모두먜고..룸미러조정등등도 모두마친후
차가 잠에서 깬후(시동직후)공회전없이 아주천천히윰직이면서 워밍업을합니다.
워밍업은 엔진뿐만아니고 .. 변속기(디프포함..) .관절등등 차의고무부품까지....
시동직후 공회전할정도의 애정이있으시다면....
제생각에는 그외 부위의워밍업이 더중요타고 생각합니다.
과급엔진같은 경우 30초에서1분정도 터보타임을 같습니다.
자연흡기는 엔진회전을스내칭한번하고 "딱" 꺼버립니다.(스내칭하는이유는 점화플러그청정을위한 단순습관입니다.)

인현님 말씀처럼 풀악셀로 고속도로 달리다가 휴게소 들어가는 경우나, 중미산 힐클라임 빡세게하고나서 바로 시동끄고 막국수집 들어가는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후열이 필요하지않습니다..
그리고 보통 동네에 들어서고 집앞이나 지하주차장에 주차하면서 어느정도 쿨다운을 거치자나요.. (설마 골목길이나 지하주차장에서도 풀악셀을 하지는 않지요?;;;)
친구가 전에 타던 차가 제타 2.0 수동이었는데, 말씀하신 회사분처럼 차를 10만 타더니 2.0이 1.6처럼 나갑니다 ㅋㅋ
저는 일단 아침에 시동걸면 수온 완전히 올라갈때까지는 기름이떨어지지않는한 시동 안 끄구요, 일단 올라간 다음에는 그냥 껐다 켰다 신경 안 씁니다.
기름 절약하냐고 그러시는거같은데, 공회전시 흡기매니폴드 기압이 -16~-18inHg에 공연비 18정도로 뿌리는거라고 계산해서 보여드리면 "아, 몇방울 안들어가는구나" 하고 깨닫지 않으실까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