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개인적으로 자동차 업체나 언론에서 보도하는 JD 파워 관련 내용에 큰 신뢰성을 부여하지 않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게 꼭 그렇게 무시할 만한 내용은 아니겠구나 싶은 생각이 드네요. 제가 소유하고 있는 차량은 08년 12월에 출고한 IS250 과 12년 07월에 출고한 미니 쿠퍼 디젤... 이렇게 두 대입니다.
JD 파워 IQS 인가 ? 신차 품질 지수를 보면
렉서스는 최근 몇 년간 거의 1위 혹은 최상위권에
미니는 최근 몇 년간 거의 골찌 혹은 최하위권에 있던 걸로 기억하고 그러려니 했습니다.
그런데.
렉서스는 08년 12월에 출고, 현재까지 86,000km 를 탔습니다만 고장이 전혀 없었습니다. 뭐 고질적인(?) 실내 잡소리가 좀 있긴 했으나 운행상에 문제가 될 만한 그 어떠한 것도 없었습니다. 아, 최근 점화 코일 2 번 상태가 안좋다고 예비 경고등이 떴었다는데, 지금 컨디션은 뭐 일반인들이 봤을 땐 아주 정상입니다. (진동/소음 뭐 그런 것도 전혀 없고... 출력 부분은 사실 일상 영역에서 느낄 수 있는 건 아니고 연비도 8~9km/L 대로 시내 주행 위주를 고려하면 준수한 편입니다)
반면, 미니는... 출고 당시부터 각종 부위의 마감 상태는 물론 조립 단차 등이 눈에 띄었습니다만, 운행에 문제가 될 부분은 아니라 그냥 신경 쓰지 않기로 했었습니다. 다만, 출고 직후부터 지속적인 엔진룸 잡소리 - 특히, D 모드와 같이 부하 상태에서 다다다다다하고 엔진룸에서 플라스틱이 닿아서 떨리는 것과 같은 ? - 가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참 여러가지로 고민을 했었죠. 결국 지난 주말 해결을 했고 원인은 아주 단순한 부분이였습니다.
좌측 헤드 램프 바로 옆에 흡기 인테이크가 있는데, 헤드 램프 고정 나사와 흡기 인테이크가 맞닿아 있었고 흡기 인테이크가 완전 체결이 되지 않아(= 그냥 끼워 넣는 형태) 진동에 의해 흡기 인테이크가 떨리면서 나는 소리였습니다. 헤드 램프 고정 나사와 닿을 때는 소리가 더 커지는 거였구요. 더불어, 흡기 필터와 인테이크 주름관 역시 체결이 완전하지 않았습니다. 뭔가 단차가 있어 역시 그냥 끼워 넣는 형태인데 이게 진동에 의해 떨리면서 소리가 배가되는 형국. 결국, 조립할 때 작업자가 신경 쓰지 않은 거 + 설계 당시 또는 제품 자체의 단차로 인해 불필요한 잡음이 생긴 셈입니다.
제 미니는 MADE IN ENGLAND 입니다. (미니는 다 그런 걸로 압니다) 엔진룸 내부나 트렁크 내부의 접착 및 씰링 상태의 마감 수준은 뭐 그렇다고 쳐도 윈도우 트림에 단차가 있는 등... 여기저기 좀 일명 '아귀' 가 딱맞지 않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페인팅 상태도 좀 약한 거 같구요. 외도장도 그런 듯 싶지만, 클리어 코트 되지 않은 엔진룸 내부 도장들도 페인팅이 굉장히 약한 거 같더군요. 2 도어의 특징(?)탓에 도어가 길어 여닫을 때 좀 불편한 부분이 있는데 더불어서 도장이 약하니 여간 신경 쓰이는 게 아닙니다. 벌써 조수석 도어 하단 끝은 열 때 어디 찍혔는지 ? 도장이 살짝 떨어져 나갔네요. -_-
반면, IS250 은 MADE IN JAPAN 입니다. (RX 등 일부 차종을 제외하고 렉서스는 전량 일본에서 제작) 도어는 물론, 각 부위의 실리콘 씰링은 물론, 접착제 도포 상태 등이 기계로 한 것처럼(기계로 하는지도 모르겠네요) 아주 일정하게 잘 발라져 있습니다. 사실 저건 그냥 눈에 보이는 부분인 거고. 아우디도 단차가 적은 걸로 유명합니다만 렉서스는 각 패널간 단차는 물론 실내 각 부품의 마감 상태 등은 재질을 떠나 저렇게 눈에 안 보이는 부분까지 해야 할 필요가 있나 싶을 정도입니다. (일례로 도어 내측 힌지를 덮는 플라스틱 커버까지 있습니다. 국산차에도 적용된 도어 스트라이크 커버라고 하나요 ? 걸쇠 쪽에 있는 건 당연히 있고요. -_-)
달리는 즐거움도 좋지만, 이런 부분들도 개선이 되면 참 좋을텐데...
물론, 미니가 프리미엄 브랜드는 아니므로 렉서스와 비교가 좀 안맞을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개인적으로 참 아쉽게 느껴집니다.

영국애들의 기계조립하는 마감처리가 좀 그래요...;; 요즘은 마니 나아졌지만 예전의 랜드로버나 재규어..심지어 롤스로이스까지도 마감품질에 대한 불만이 끊이질않았었으니까요..
같은 유럽이라지만 독일애들하고는 전혀 다른 국민성인건지.. 흠..
농담이지만 2차 대전 초기에 영국공군애들이 독일한테 완전히 제압당한게 장비빨이지 그냥 그런게 아니라는 이야기도 있으니까요..
저도 1개월전 Cooper S 를 출고받아 타고있는 입장에서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화니아빠님,,,^^
아무리 미니가 프리미엄 브랜드는 아니라도 해도 그래도 니치마켓의 일부분을 확고히 차지하는 준프리미엄 성격의 차인데 곳곳의 조립마감이 좀,,, 그렇더군요,,, ㅠㅠ
반면 렉서스의 조립품질, 마감, 장기적인 내구성은 거의 레전드급입니다.
제가 과거 Lexus GS430, ES330, IS250, RX400h( 다른 RX와 달리 일본조립입니다...^^) 를 운행하던중
문제 일으킨 놈 하나도 없고 모두 엔진오일, 각종필터류, 미션오일, 타이어 정도만 교체하고 탔습니다.
특히 가장 오래탄 RX400h 는 10만 마일 운행후 구입했던 딜러쉽(Ira Lexus)에 매도하였는데 혹시나 하고 구입했던
10만마일 Platinum Warranty (약 2,000불 정도 들었던 걸로 기억합니다...ㅠㅠ)가 돈이 아깝더군요,,
왜냐하면 전혀 고장이 없었으니까요,,,ㅎㅎ
그래서 다른 누가 뭐라고 해도 저는 렉서스에 대해서는 높은 신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인들이 아는 것 보다 렉서스가 독일3사에 미친 영향은 정말 지대하지요,,,
오랜 팬으로서 렉서스의 부활을 기대해 봅니다. ,,,^^
사실 저는 드문(?) 일본차 매니아....(욕먹을라나요)거든요. 이유같지도 않은 이유로 정비소를 왔다갔다 하는 일이 많은 브랜드나 차량을 보면 시간만큼 소중한 것은 없는데 허비하는 시간에 대한 보상이라도 해줘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IS는 타면 뭐가 이렇게 좁아..했다가
뭐가 안이 이렇게 꽉찬느낌이야....
오오미....
이런다는 ㅋㅋ
개인적으로 이번에 GS 시리즈 잘나온것만큼 IS 도 완전 신형으로 대박 한번쳤으면 좋겠습니다.

렉서스는 은근 스파이샷이 적은 거 같아요. 보안이 철저한 건지~ 매체의 무관심 때문인진 모르겠지만. ^^ 신형 IS 도 아직까지 뭔가 제대로(?) 된 스파이샷이 떠도는 거 같진 않던데. 최근 동호회에 올라온 걸 봤을 땐 (워낙에 다 가려놔서 분별이 힘들지만) 현행 모델과 크게 바뀌는 건 없어 보였습니다. 사이즈를 비롯한 프로포션이라고 하나요 ? 전체적인 형상이 워낙 비슷해 보여서요. 게다가 신형 GS 를 봤을 땐 엔진/미션은 아마 거의 안바뀔 듯 싶고. 바뀐다면 역시나 하이브리드로 ???
저도 요새는 일본차, 특히 도요타, 렉서스를 다시 보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자동차 잡지, 인터넷 글 등의 간접 체험을 통하여 그저 재미없고 조용한 차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 선입견이 기계가 가져야 할 신뢰성, 내구성 측면에서의 높은 평가를 반영하지 못한 것이라는 깨달음을 얻었다고 할까요...자동차가 물론 운전재미도 있고 사운드도 좋고 하면 좋겠지만, 그보다 먼저 고장나지 않고 튼튼하고 이동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는 게 먼저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물론 오로지 개인의 펀카라면 달라질 수 있겠지만, 저같은 평범한 가장이 패밀리카를 겸하여 탄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위와 같이 생각을 바꿔 먹게 된 데에는 최근의 시계 경험이 컸습니다. 막 시계에 재미를 붙이고 있는 중인데, 자동차에서의 독일차에 비견될 스위스 시계는 (거칠게 일반화하면) 멋지고 선도적인 기술이 담겨 있긴 한데 약합니다. 하지만 제가 얼마 전 구입한 세이코 오토매틱 다이버시계는 정말 튼튼합니다. 생각보다 오차도 없구요... 뭔가 기계로서의 정밀도, 내구성, 조립도 등에서는 일본의 실력이 대단하다는 생각(특히 가격 대비)을 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제 개인적인 경험에 바탕한 주저리주저리였습니다..^^;;

재미라는 게 사실 지극히 주관적이긴 하지만, 솔직히 말해서 IS250 을 4년째 타면서 뭔가 스티어링을 잡았을 때 재밌다, 긴장된다... 뭐 이런 느낌을 받았던 건 없었던 듯 싶습니다. (특히, 아쉬웠던 건 Y 영역에 올라설 수록 양팔에 들어가는 힘) 그게 이 차를 개발할 당시의 컨셉이라는 걸 이해했을 땐 당연히 수긍할 수 있는 부분이긴 하지만. 그래도, 아쉬운 건 아쉬운 거였으니까요. 그래서, 그런 부분을 이해하고 즐긴다면 정말 괜찮은 차라고 생각합니다. 언젠가 MB 딜러쉽에 방문했을 때 상담하던 딜러분이 이런 얘기를 하더군요. BMW...는 재밌다. 그래서, 항상 운전이 긴장된다. 하지만, 매번 운전할 때마다 재미를 추구하는 건 아니잖느냐. 특히, 격무에 시달린 후 집으로 돌아가는 귀가길에서조차도 편안하지 않다면 그것 또한 스트레스라 할 수 있을거다. (결국, 벤츠는 편안하다는 얘기인데. 초기 렉서스가 벤츠를 벤치마킹 했던 걸 기억해 보면, 그리 틀린 얘긴 아닌 거 같습니다. 물론, 장거리 고속 주행 시의 안정감 부분에선 아쉬움이 남습니다만)


와이프차로 IS250 F-sports를 2년정도 운행했었고, 지금은 LS460L모델을 운행하는 입장에서 렉서스를 보는 영석님의 입장에 동감합니다. IS250에 스포츠 서스펜션을 달아놓은 F-sports모델은 정말 괜찮았었습니다. 전혀 출렁거리지 않고 오히려 딱딱한 느낌.. 어느분이 벤츠c클래스에 빌스타인에 아이박 박은 그 느낌이라고 하시더군요. 노면도 탑니다..ㅎㅎ
잔고장은 전혀없었구요. 차 팔고 와이프 원망도 많이 들었습니다..ㅜㅜ
LS460모델은 고질적인 하체문제(10만킬로미터 전후해서 하체 부품 갈아줘야 한다는것..에어서스 하나만 해도 가격이 후덜덜합니다..)가 있긴 해도 문제가 도래하는 시기까지도 차들마다 거의 비슷한것 같습니다.(내구성도 일정?ㅎㅎ) 그래서 4년 10만킬로로 워런티 끝나기전에 하체부분 워런티로 싹 교체하고 나오면 또 10만정도는 별문제없이 탈수 있다고 합니다.(이런 럭키한 경우는 많지는 않지만요..)
뒷쪽 에어서스 교체후 확연히 좋아진 하체느낌에 오래 탈려고 마음 먹었었는데..
이번에 새로 런칭된 730d모델 시승해보고 집에 돌아오는 길에 차가 너무 출렁거려요..헐렁거리는거 같고..
몸 버렸습니다..ㅎㅎ 그냥 편안하게 타는걸로 만족하고 자기 최면 좀 걸어야겠네요..
프리미엄 브랜드와 일반 보급형 브랜드의 차이 아닐까요? ㅎ
(글로벌 관점에서 봤을때 미니도 '프리미엄' 그룹에 끼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