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자연흡기가 뭔지...터보가 뭔지...하이캠이 뭔지...튜닝관련해선 하나도 몰랐었습니다...
그런데 어느순간부터 튜닝관련해서 조금씩 알게되었고 저의 주관(?)도 뚜렸해 졌습니다...
그 주관(?)은...
난! 자연흡기가 조아조아~~
아빠도 그렇고 저도그렇고 터보를 싫어한다기 보다는 관리가 어려워서 자연스럽게 자연흡기차량을 보게 되었고 좋아하게 되었네요...
아빠는 터보차 관리가 힘들다는 핑계로 베라크루즈를 디젤이 아닌 가솔린으로 구입하셨습니다...(물론 이것보다 더 큰 다른 이유가 있긴 하죠^^)
작은아빠가 터보디젤차를 타셔서 가끔 보는데 예열과 후열을 칼같이 하시고 관리도 계속 하십니다...덕분에 10년이 넘은 디젤차가 파워트레인관련해서는 수리를 한적이 없는거로 알고있습니다...
그렇게 저는 자연흡기를 사랑하는데...
요즘 현대기아차에서 2.0리터,1.6리터급 직분사터보엔진을 만들어 냈습니다...
준중형엔진으로 200마력을, 중형엔진으로 270마력을 내는거 자체는 세계에서도 놀랄만한 일이지만... 개인적으로 터보를 그리 좋아하는 입장이 아닌 인간으로써 잘한건가...? 이런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자연흡기엔진...또 GDI가 아닌 MPI엔진을 좋아하는 이유는 고알피엠에서도 부드럽게 엔진이 돌아간다는것...물론 가솔린터보차는 타본적이 없어서 고알피엠에서 어떤느낌인가 알지는 못하지만 제가 하는 게임인 LFS에선 적어도 자연흡기차량과 터보차량의 엔진음과 느낌이 자연흡기차량이 훨씬 좋다는겁니다...
자연흡기차량을 좋아하면서 제가 그닥 좋아하지 않았던 메이커인 람보르기니...이것을 좋아하게 되었습니다...아벤타도르의 출시이후...이것의 부드럽고 아름다운 배기음...그리고 고음이 훌륭한 여가수가 저음에서 서서히 고음을 내지르는듯한 그런 엔진음...암튼 람보르기니의 이전차량(무르시엘라고)이 터보였다는건 아니지만 아벤타도르의 그 부드러운 엔진음에 반해서 람보르기니까지 좋아하게 되었다는...
모바일로 쓰는 글이라 앞뒤도 안맞고 문단마다 다른내용인것 같지만...이 글의 결론은 '김지현'은 자연흡기차를 좋아한다!!!
테스트 드라이브 회원분들은 어떤것을 선호하시나요?? 자연흡기?? 터보??

둘다 좋기때문에 딱히 뭐가 좋다고하긴 그렇지만
자연흡기엔진같은 터보엔진과 터보엔진같은 자연흡기엔진을
좋아라합니다. 추가로 요즘 순정터보차들 관리라고할건 따로 없고
기름만 넣어주고 소모품주기되면 교환해주면서 그냥 편하게 타면됩니다.

바이크를 타다보니 전 쥐어짜는 맛이 좋아서 적당한배기량의 가솔린NA차가 좋네요ㅎㅎ
환경적인 규제는 더욱 심해지는것은 뻔한데 그러면 다운시이징을 목적으로 터보가 들어갈수밖에 없을듯하네요
그리고 이것역시 명확한 데이터는 없는 오로지 제 주위에서 그리고 제차를 운전하며 얻은 경험에 의한 생각이지만 순정을 기준으로 터보차가 관리가 힘들다는것 역시 거의 헛소문에 가깝다고 느낍니다
과거에 터보챠저를 사용하다가 이제는 NA로만 가는 페라리는 시대를 역행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위에 뭘 좀 아는 놈일까요?

페라리가 NA를 고집하는 이유는 사운드와 컨트롤성이라고 봅니다.
터보 엔진은 배기가스가 터빈에 부딪히면서 사운드를 상당부분 잃고 부드러워져 페라리의 장기인 사운드를 살리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NA엔진은 저배기량에서 고부스트를 사용하는 터보엔진보다 정교한 액셀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서킷에서의 컨트롤성이 좋습니다.
F40때 사용했던 2.9리터 트윈터보 476마력 엔진은 코너에서 극히 다루기가 힘들었던 엔진으로 정평이 나있습니다.
그 이후에는 터보 엔진을 사용하지 않았지요.
F40때는 포르쉐와 출력경쟁을 할 때였기 때문에 지금과는 시대적인 분위기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때때로 미국애들이 너 엔진튠좀했냐고 물어보면 저는 s2000은 이미 뽑아낼만큼 뽑아낸 엔진이라 굳이 더 건드린다면 독립스로틀정도는 되야 체감이 확 올거다라고 대답합니다 그러면 꼭 늘 자기친구는 s2000에 터보차져 올려서 600마력인데 죽이더라 너도 터보 올려라고 하더군요 전 그럴때마다 그건 s2000 엔진개발자들에 대한 모독이라고 대답하곤합니다 지극히 주관적일수 있습니다만 저는 na든 과급이든 그 차와 어울리는 엔진을 좋아하고 그 중에서 고회전 자연흡기를 사랑합니다^^
여담으로 터보차는 관리하기 까다롭다, 유지비에 치어죽는다 등의 이유로 NA를 선택하긴 했지만 관리 유지 측면에서 튜닝된NA도 터보 뺨때리게 골때린다고 느낍니다.

요즘 순정 터보엔진들은 터보라고 따로 관리가 필요하지는 않은거 같네요. 디젤터보는 말할거도 없구요.
주행성향이 극한으로 몰고 가는거면 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데 조금더 뜨겁다는거지 비슷한거 같네요. AMG 63엔진도 상당히 뜨겁다고 알고 있습니다.

전 무조건 터보입니다. 저알피엠부터 터져나오는 강력한 토크에, 나중에 폭탄이 터지듯 흉포한 반응을 보이는 그 nonlinear한 터보의 맛은 도저히 포기하고 싶지 않네요.

특성을 모두 느껴보신 것이 아니라 단순히 관리가 힘들다는 이유로 터보엔진을 배제하신다면 조금 아쉽습니다^^
가솔린 터보엔진은 정말 독특한 매력이 있거든요.....
터보가 관리가 어렵다고 하셨는데, 같은 배기량에 같은 출력이라면 자연흡기쪽이 관리가 미친듯이 어렵습니다. 엔진 모든 부품이 소모품화되기 때문이죠.
터보가 연비, 정숙함, 출력, 관리의 편의성 모든 면에서 낫습니다. '같은 출력'에서 말이죠.
터보차량이 관리가 까다로운건 세상의 진리입니다. 1. 말씀하신대로 메이커 순정상태의 파워트레인 보증기간 이내라는 가정하에ㅡ터보처량과 na의 정비관리에대해서는 차이가 없습니다 요즘터보차 관리 편합니다. 2. 보증 기간 이후의 문제입니다. 터보 특성상 na대비 추가되는 부품도 많을 뿐만아니라 na 동일 출력대비 고 토크는 저알피엠부터 터져나오므로 운전습관이 extream하든 말든 내구도를 낮춥니다. 파워트레인 이외의 부분에도 내구도를 낮추는 요인이 됩니다.. 토크가 크다 라는 의미가 왜 내구도 저하와 비례하는지는 설명할 필요가 없겠지요.
3. 말도 안되는 동일 배기량에 동일출력! 에 딴지를 걸어봅니다. 이러한 경우 찾아볼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매우 어이가 없는 케이스겟지요
이른바 터보처량에서는 가정용 마실용 새단이 na에서는 고성능 스포츠 세단이 되어버립니다.
그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ㅡ공감하리라 여겨 생략합니다. 예를 들면 gt3rs와 bmw Gt 혹은 벤틀리 GT 와의 비교랄까요,
한마디로 말이 안되는 비교 입니다. 너무나도 억지로 끼워 맞춘것 같아 실소를 금하기가 힘드네요.
동일 배기량에서 동일 출력을 행사하려면 na에선 보다 높은 rpm을 써야 합니다.
애초에 비교가 불가능한 급의 차량의 관리난이도를 말씀하신것입니다.
머 반박하실스도 잇죠. 이런차가 잇고 이런기 있다. 라고 하지만 일반적이지않은 특수한 경우가 될 것입니다. 설사 그런케이스가 있다 하더라도 일반인들에게는 다가서지 못할 차량들이겠죠.
말장난에 지나지 않는다고 봅니다.
요즘 고회전 자연흡기 스포츠카들이 직분사를 쓰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데요 ㅎㅎ
gdi 고회전 차량이라고 해도 mpi 만큼의 고회전 감성은 따라올 수 없습니다.
글쓴분 역시 감성 측면에서 말씀 하시는것같습니다
구조상 mpi에서는 비효율이 극대화되는 엇박자 캠타이밍 까지 알피엠이 상승하는 이른바 쥐어짜는 느낌이라면
고회전 gdi는 태생부터 달라야 할 뿐만아니라 효율을 극대화하는 측면에서 더 올라갈수있는 한계를 버린다는데에 대한 감성적인 측면이랄까요? 이를테면 콘서트장에서 락커가 관중과하나가 되어 파형이 고르지 못한 불량 창법을 쓰더라도 관증은감성이 배가되어 더욱더 환호하게 되는 상황에 비유하면 그럴 듯 하겠네요 글쓴 분의 의도부터정학히 파악하셔야겠습니다
터보가 관리가 어렵다는 것은 예전에 볼트온 터보들 장착할 때 나온 애로사항이 아직도 구전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실제로 요즘 나오는 순정 차량들의 터보들은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 관리적인 측면에서 NA 차량과 전혀 다른점이 없습니다.
예열, 후열 이야기 많이 하시는데, 예열이야 집 앞에 바로 고속도로 인터체인지가 연결되지 않은 이상, 천천히 주행해서 아파트 단지 빠져나가면 충분할 것이고, 후열은 아무리 밟아댔더라도 시내 들어와서 아파트 단지, 주택가 서행하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순정 차량에서 후열이 필요할 정도로 터빈 과열시키며 주행하는 경우가 얼마나 될까요? (환자 제외한 일반적인 기준입니다.. 환자들은 오히려 이런 점들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지요.. ^^)
즉, 요즘 순정 차량에 터보가 관리가 어렵다는 이야기는 그냥 예전에 들은 불확실한 정보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참 그리고 많은 분들께서 이미 말씀하셨지만 순정 터보차량이라면 관리에 스트레스 받을일도 없습니다.
독일 가솔린터보차량들 종류별로(?) 독일에서 렌트해보았는데 아우토반 달리다가 휴게소만 들어가도 아이들링 스탑 기능이 바로 작동해서 그냥 시동을 꺼버리더라구요;;;;;;
오일온이든 배기온이든 데이터는 계속 받고 있을텐데 후열 없이 시동이 바로 꺼진다는건 내구성에 그만큼 자신이 있나봅니다..

직접 운전해보고 느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도 얼마전에 터보의 매력에 빠졌습니다.
그리고 후열 없어도 알아서 팬 돌고 식혀주니까 큰 걱정 없습니다.

그래서 슈퍼챠져가 있죠...
배기음도 NA같고, 대체적으로 linear한 반응...
하지만 출력을 대용량 터보만큼 올리지 못하기에 어찌보면 어정쩡한 선택이지만, NA보다는 안정적으로 출력을 올릴 수 있고, 배기음도 살리고...

일반적으로 터보가 NA에 비해 관리가 어렵고 수리비도 많이 듭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나이가 들수록 이 차이는 현저해집니다.
이유는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부품의 수가 많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터보엔진들은 출력이 저하되었을 때 살펴야할 것들이 NA에 비해 월등히 많습니다.
예를들어 부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이 일단 진공, 웨이스트 게이트 콘트롤, 터보 자체, 배기온 센서와 산소센서 등 NA와 비교가 안됩니다.
NA는 산소센서의 성능이 떨어져도 출력에 미치는 영향이 작습니다. 때문에 교환을 미뤄도 탈만한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터보는 그 차이가 워낙 크기 때문에 바로 엔진파워에 영향을 미칩니다.
차 전체적으로 그렇지만 부품의 수가 많으면 그만큼 관리가 어렵습니다.
엔진에 들어가는 부품의 수가 터보쪽이 많기 때문에 당연히 관리와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것은 일반적인 것입니다.
신품엔진일 때 즉 워랜티 기간동안에는 느끼지 못하는 것들이 그 이후에는 피부에 와닿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달아주신꼬리글에 동감합니다.
연료펌프라던지 공기량계측관련도 과급엔진 쪽이 수명이짧은것같습니다.
하지만 제생각에는
자연흡기엔진으로 고출력을내려면
흡입공기의양 ,고회전, 고압축 ,이곳저곳에서의티끌모아태산? ...
사실고회전지향의 흡입공기량을 늘리다보면 엔진각부위 캠샤프트조차 소모품처럼 로브가 닳아버린다던지..
부터 각부분의 저널 메탈베어링.. 워터펌프베어링까지...거의 모든부품이 고품질이지안으면...안됩니다..
바꿔이야기하면..고품질 좋은 내구성 ...으로 품질을 높일수있다면...맞는이야기입니다.
이것은 터보엔진같은 과급엔진에도 적용되는이야기지만..코팅기술이나 소재의연구의결과물들이속속 적용되기도하고
양산엔진(흔히알고있는자동차브랜드의) 들도 품질이 조금씩 좋아지고있는것 같습니다
가공품질은....오히려뒤로 가는것 같다는 개인적인생각입니다.
하지만 같은 배기량으로과급엔진과 비교할수있는 출력의양산엔진은 손에꼽아야하고..그것들도 대부분 ...흔하지않은
엔진들인것 같습니다.

얼마전에 e92 m3 타보고 펀치력이 생각외로 약해서 좀 재미없다고 느꼈던적이 있네요..물론 서킷에서 타본게 아니라 제대로 된 시승은 아니었지만 말이죠..개인적으로는 과급차가 더 제 스타일엔 맞는거 같습니다.
저라면 터보를 선택하겠습니다
관리의 어려움이나 연비나 기타등등 부정적인면도 있지만
.
부스트 뜨면 모든걸 그냥 다 이해하게 됩니다
고알피엠대 영역을 좋아하는 일인으로서, NA를 사랑합니다.
특히 관리를 잘 하지 못하는 저로서는 NA 차량을 더욱더 사랑합니다.
"준중형엔진으로 200마력을, 중형엔진으로 270마력을 내는거" 가 아니라
중형엔진이 1.6, 대형엔진이 2.0으로 내려간거 아닐까요
저도 터보가 관리가 어렵다는데 동의 합니다.
특히나 차가 나이가 먹어 가면...
고장날 수 있는 부품수가 많은 터보가 더 취약한건.. 확실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디젤 터보 차량과..오래된 가솔린 NA 차량을 가지고 있지만...
개인적으론 운전할 때 터보와 NA를 구분 할 능력도 없네요.
가솔린 NA의 쭈욱 밀어주는 느낌도 저는 좋습니다.

저는 자연흡기를 선호하는 편이구요, 하지만 과급도 물론 매력이 있다는 것에 동감합니다.
자연흡기냐 과급이냐 말고, 과급차의 관리가 어렵다/아니다 논쟁이 길어지는데,
개인적으로는 "환자들이 아닌 일반 대중들이, 그리고 일반적인 교체 주기인 5년에서 7년가량 사용하는데에는
전혀 무리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작정하고 달리시는 분들이나, 수십년간 소장할거라면 얘기가 달라질수도 있겠지만요.

같은 배기량에 같은출력... ㅎㅎ
이거 은근 애매한데요 ㅎㅎ
2000cc 400마력터보 vs 2000cc 400마력 n/a
터보는 부스트 올려서 해결
n/a는...결국은 rpm올려서 해결 ㄷㄷㄷㄷ
높은 토크 vs 고알피엠
과연 어느것이 더 뎀지가 클 것인가
부품 개수의 문제를 떠나서
n/a가 결코 안전성이 높아보이지 않는 대결구도 ㄷㄷㄷㄷ
아.. 진지한 토론에 말장난같아서 죄송합니다T.T;

올순정 가솔린 수동 경차와,
경기차 디젤 수동 두가지를 몰고 있지만...
저배기량이라도, '터보'의 그 모가지를 뒤로 확 잡아재끼는 맛(격한 표현 죄송합니다.)은 정말 매력적이더라구요.
NA는 쥐어짜는 맛에 탄다... 는 것도 제 입장에서 조금은 공감이 됩니다.
특히나 경차의 0에 가까운 토크감 때문에 고rpm을 쓰다보니...

그걸 따라가게 되고있다. 가 아닐까요^^;
그걸 절실히 느껴.. 결국 직분사 가솔린 터보만 집에 두 대가 됐습니다.
저도 vtec 으로 카라이프를 시작한 고회전 na 팬입니다만...
시장의 상황으로 근 몇 년 사이에 na의 참맛을 느끼게 해주는 차들 다 없어졌습니다..
S2000, rx8, k20 씨빅 si, vr6 골프...
이런 상황에 차를 고를려다보니,, c63이나 e92 m3, 그 이상급 되는 애들이 아니면 결국 매니아들의 관심이 될 만한 차는 죄다 터보로 바뀌었더군요...(미아타, 엘리스 정도 남았나요.. 선택의 폭이 정말 좁아졌습니다..)
물론 아직 대다수의 승용차들은 na셋업이지만 그런 차들은 비슷한 가격대의 터보 모델의 연비+성능에 못미치죠.. 매니아 입장에서 봤을 때 이미 시장 상황이 그렇단 얘깁니다.
그래서 제 경우는.. 자연흡기를 여전히 좋아하지만..
시장상황과 메이커 기술력이 터보에 집중될 땐 그 쪽을 즐기는 것이 편하다는.. 순응형 되겠습니다^^*
전......... 슈퍼차져..에 한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