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시승을 워낙 많이 하다보니 특히 고속주행을 해야하는 여건에서는 꼭 자주 달리는 도로를 선호합니다.
맨홀이 어디에 있는지 어디에 범프가 있고 어떤 노면이 좋은지 나쁜지에 대한 자세한 도로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면 아무래도 심리적으로 안정이 됩니다.
자주 달려본 경험이 없는 도로에서도 길이 워낙 좋고 차가 없는 상황에서는 스포티한 주행을 즐기기는 하지만 어느선을 넘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돌발변수 때문입니다.
도로의 파인곳이나 블라인드 코너등 익숙치 않은 곳에서는 아무래도 위축될 수 밖에 없지요.
그런데 그중에서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도로의 상황은 노면이 빨래판처럼 타이어가 튀는 도로조건입니다.
고속으로 코너를 돌다가 이런 길을 만나면 차의 그립력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심하면 차선 한개를 순간적으로 이동하기도 하지요.
물론 차의 성능이나 타이어의 특성에 따라 혹은 차가 가진 바디강성에 따라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이기는 하지만 무조건 차만 믿고 달리는 것 자체는 어리석은 운전입니다.
요즘은 설악산까지 200km정도 밖에 안되다보니 차가 없는 새벽에는 2시간도 안되서 도착이 가능하더군요.
고속국도의 노면포장도 좋고 적당한 코너들이라 달리는 맛도 매우 좋았습니다.
근데 중간중간에 살떨리게 무서운 빨래판 노면이 나타나서 두번 정도 살짝 놀란 경험이 있는데, 속도가 너무 오버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이렇게 튈 때 차선의 여유가 있으면 감았던 스티어링을 푸는 동작을 해야 쉽게 모면이 됩니다.
따라서 옆차를 추월하는 상황처럼 좌우 피할 공간이 없는 상황에서는 무리하게 코너를 도는 것 자체가 매우 위험합니다.
익숙한 도로라고 하더라도 비가 많이 온 이후에는 노면의 상황이 달라져있는 경우도 많다보니 사실 매일 달리는 도로가 아니라면 늘 도로의 조건이 변한다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어떻게 보면 차의 핸들링이나 코너링을 평가할 때 서킷과 같은 매끈한 조건이 아닌 다양한 공도조건에서 해야 차의 종합적인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고 봅니다.
-testkwon-
몇주전 도로에 뿌려놓은 폐오일 때문에 고속으로 통과하다 차가 돌아 폐차를 했습니다
도로위의 변수라는건 정말이지 예측이 불가능 하더군요
요즘은 빨래판도 빨래판이지만 새로운게 등장했습니다.
세로줄무늬라고...
정식명칭이 뭔진 모르겠는데 차가 양 옆으로 열심히 움직입니다. ㅎㅎㅎ
윗의 재홍님이 이야기 하신것 처럼..
빨래판보다 더 위험한것 같습니다. 그 세로줄이..
차량이 그냥 홈을 타고 줄넘기를 하는 통에...아예 전 서행으로 처리합니다.

차가 없는 늦은 저녁, 한적한 시간대에 완만히 굽은 도로를 지날 시점이었는데, 우측으로 꺽이는 구간에서 핸들은 꽉 잡고 고속으로 코너 구간을 도는 순간 검은 아스팔트가 아닌 황토색 구간을 발견하고 놀라서 핸들을 틀었습니다.
미쳐 깔끔히 회피하지 못하고 차체에 큰 충격을 받은채 중앙선을 절반 걸쳐 않은 적이 있었습니다.
그 야심한 시간대에 마주오는 차량이 있었다면 상상조차 하기 싫은 기억으로 남았을 겁니다. 다행이 큰 사고는 면했습니다만 마스터님께서 언급하신 부분이 상당히 공감이 됩니다.
하나더 새로운게 나타났습니다 중부내륙 고속도로에 설치된건데 터널이나 길에 타이어 넓이 정도의 우들두들한 철판 같은걸 깔았습니다 충격 소음 장난 아닙니다
애기가 자고 있을경우 100깰듯 합니다

강원도는 날씨가 좀 추워지면 아침에 눈에 보이지 않게 노면이 얼어붙는 것도 주의해야할 것 같습니다.
용평 스키장 초입 다리 건너서 ㄱ자 코너에서 그대로 미끄러져서 뒷휀다로 중국인 관광 버스 옆구리를 때린 악몽이 있습니다. 좁은 길을 70정도, 제 기준으로 빨리 달리긴 했지만 따끈따근한 땅이었으면 차선 안에서 아슬하게 통과했을텐데 뒤가 그냥 쭉 미끄러지더군요. 코너가 육안으로는 멀쩡했는데 내려서 보니 얼어서 반짝반짝했어요
진짜 모를 일입니다.

늘상 다니던 길, 대략 120도 정도로 느슨하게 좌로 굽은 커브길인데, 중앙분리대가 높아서 블라인드 커브가 되어버린 곳이 있습니다. 수지에서 수원 들어오는 길, 동수원IC못미쳐서 영동고속도로 아래 부근.
2차로 주행중에, 전방에 제 페이스보다 좀 느린 차들이 2, 3차로에 있어서 1차로로 변경하고 가속하는데...
전방에 경찰차가 차량 한대를 길 한가운데 세우고 있더군요.
순간... 풀브레이킹.......
경기장 직선코너 끝나고 풀브레이킹할때보다도 더 세게 밟은듯...
설마 길 한복판에서 차를 세우고 있을 줄이야...
같은 맥락으로서 로드킬이라는 변수도 있지요..갑자기 튀어나오는 야생동물에겐 답도 없지요..방어운전도 안먹힐때가 있더라구요.범퍼 날려먹은 1인...ㅜㅜ

저는 아직 홈그라운드(자주 다니는 길들)에선 그렇게 위험했던 적은 없었던 듯 합니다. 큰 동물들도 아직은 다 피했지만... 개구리들은... ㅠ.ㅜ 작아서 다 피하질 못하겠네요. 출퇴근 길을 시내길이 아닌, 촌길로 돌아서 다니는데... 여름철 비올 때 개구리들은 도저히 다 피해갈 수가 없네요... 그저 미안할 뿐 ㅠ.ㅜ 그리고 날아드는 벌레들에게도 미안하고;;;
나름 안전 운전 한다곤 하지만;;; 차들이 없는 한적한 곳에 가서 과속하다가 혼자서 차를 날려 먹은게 벌써 두 번이네요;;크흑;;
도로위에서 가장 위험한 돌발요소는.... 저 자신이 아닌가 싶습니다 ^^;;;;
설악산 이시라면 원통으로 해서 미시령을 넘어가시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