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첨부사진의 카게이트는 본문과 상관 없습니다)
2년정도 전에 분당내곡간 고속화도로에서 아주 비싼 차들끼리 대파 사고가 난적이 있었죠.
그 때의 스키드 마크는 참으로 오래오래 남아 있더군요. 심지어 몇달 전까지도... 희미하게 남아 있는 것을 봤었습니다 ^^;;;
그 길도 이제는 갈 수 없는 길이 되었습니다. 얼마전 분당 내곡간을 타다보니, 판교 공사가 진척되면서 길고긴 터널로 이어지는 신도로로 개편되고, 구도로는 갈 수 없더군요.
그렇게 되기 직전에 제가 마지막으로 그 길을 내려가다가 아주 비슷한 위치에서 사고를 낼뻔 했었습니다. 그날은 비가 오고 있었고, 조수석에는 애인이 타고 있고, 뒷자리에는 이삿짐 성격의 여러가지가 실려 있었습니다.
제 차는 자동미션입니다만... 최근에 몇가지 동기와 필요성이 생겨서 수동으로 옮겨가려고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제차의 오토미션도 수동 다루듯이 일일히 단수를 올리고 내려가며 운전을 하는 중입니다.
분당 내곡간 마지막 고개를 넘을 때 쯤에 기어는 3단에 넣고 가고 있었는데, 핸드폰이 울리더군요. 받을까 말까 고민을 하다가, 받아서 운전중이라고 말하고 끊을 생각을 하면서, 그러는 동안엔 그냥 오토로 가려고 기어를 D로 옮겼습니다.
전화를 받았고, 별거아닌 전화길래 운전중이니 나중에 하자고 하고 끊는데...
차의 반응이 뭔가 이상하더군요. 내리막에서 길이 살짝 휘고 있었는데, 뭔가 미끌거리며 차가 비틀비틀하더니, 네 바퀴가 다 따로 놀기 시작하는 느낌이 난 순간... 이미 차는 우왕좌왕 비틀거리기 시작!!! 비도 오고 차선 앞 뒤 옆옆에 차들도 많고 한데.. 대단한 민폐와 위협을 끼치게 되었습니다.
제가 오토 기어를 3단에서 D로 올린다는 것이 D를 지나 N까지 가서 중립상태가 된겄이었습니다. 전화를 받으며 시프트 하다보니.. 뻘삽질을 한거죠.
급히 저단으로 바꾸면서 액셀을 밟아 겨우 방향을 잡고 위험한 상황을 모면할 수 있었습니다.
아무런 사고도 다친 사람도 없었기에 정말 다행이었고...
평소에 테드 글을 많이 읽고 그랬던 것에서 구원을 받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글을남겨봅니다. 테드 여러분들 안전 운전하세요~!
2008.09.05 19:09:59 (*.187.237.223)

아, 본문과 관련없는 얘기인데, 란에보에 사용하던 엔카이 휠과 세미슬릭 타이어들의 새 주인분을 찾고 있습니다. 관심있으신 분께서는 http://www.enzoy.kr/bbs/zboard.php?id=barter&no=12 이거 보시고 저에게 쪽지 주세요. (마스터님, 요 장터성 리플은 제가 곧 삭제하겠습니다 ^^);;
2008.09.06 12:40:43 (*.229.112.141)

클랄뻔했군욤. 비올땐 꼭 구동운전이 좋습니다. 구동력이 끊어지면 관성의 영향이 극대화 됨으로.. 컨트롤이 어려워질수 있지욤. 차가 산만하게 미끌어지면, 액셀을 완전히 오프했다 서서히 살리는게 좋답니다. 물론 산만한 슬립 정도에 따라 괜찮다싶음 그냥 액셀을 끌고 나가도 되겠지만요.
2008.09.06 13:59:23 (*.155.43.234)

깜짝 질문!!
머드가드 유/무가 슬립과의 관계에 직/간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상식적으로는 전혀 무관할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예전에 눈이 한참 올 때 타이어와 머드가드 사이로 덩어리가 되어 엉겨 붙어
휠하우스를 꽉 채운 기념으로 고속도로에서 720도 회전을 한 기억이 있습니다.
제 차량에는 출고 때부터 없어서 자주 세차를 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부착을 하려고 하는데 눈, 비가 많은 곳을 자주 이동하는 상황이라..
머드가드 유/무가 슬립과의 관계에 직/간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상식적으로는 전혀 무관할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예전에 눈이 한참 올 때 타이어와 머드가드 사이로 덩어리가 되어 엉겨 붙어
휠하우스를 꽉 채운 기념으로 고속도로에서 720도 회전을 한 기억이 있습니다.
제 차량에는 출고 때부터 없어서 자주 세차를 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부착을 하려고 하는데 눈, 비가 많은 곳을 자주 이동하는 상황이라..
2008.09.06 15:03:39 (*.229.112.141)

당근영향 있지요.
눈덩이의 힘은 꽤 영향력 있습니다. 하체 암 부위에 꽉 끼면, 핸들이 안꺾이는 경우도 있고, 휠스포크사이에 끼면 발란스가 틀려져 직진시 털털거리기도 합니다. 동욱님의 720 도 회전 경우는 휠하우스내에 꽉찬 눈덩이땜에 타이어 그루브와 싸이프들 사이에 낑겨진 눈들이, 원심력에 의해 배출될 공간이 없으니 눈길이나 젖은길에서, 트랙션이 줄어들수밖에 없는것이죠.
드라이, 온로드 노면에선 타이어의 컴파운드에 의한 트랙션이 형성되지만, 눈길이나 오프로드..웨트온로드에선, 타이어의 크랭킹,싸이프의 엣징에 의해 그립이 형성됨으로 그립개념을 좀 다르게 해석해야한다고 봐집니다.^^
눈덩이의 힘은 꽤 영향력 있습니다. 하체 암 부위에 꽉 끼면, 핸들이 안꺾이는 경우도 있고, 휠스포크사이에 끼면 발란스가 틀려져 직진시 털털거리기도 합니다. 동욱님의 720 도 회전 경우는 휠하우스내에 꽉찬 눈덩이땜에 타이어 그루브와 싸이프들 사이에 낑겨진 눈들이, 원심력에 의해 배출될 공간이 없으니 눈길이나 젖은길에서, 트랙션이 줄어들수밖에 없는것이죠.
드라이, 온로드 노면에선 타이어의 컴파운드에 의한 트랙션이 형성되지만, 눈길이나 오프로드..웨트온로드에선, 타이어의 크랭킹,싸이프의 엣징에 의해 그립이 형성됨으로 그립개념을 좀 다르게 해석해야한다고 봐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