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http://careview.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9/11/2008091100129.html아래는 인터넷조선에 난 기사입니다.
시장규모와 제반 법규 등에서 미국과 우리나라의 자동차 시장에는 많은 차이가 있겠지만, 제발 안전과 관련된 부분에 있어서는 미국 소비자들보다 못한 차별 대우를 받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차라리 오보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현대·기아·GM대우 자동차가 미국 수출용 차량에는 최신형 에어백(air bag)을, 국내 판매용 차량에는 구형 에어백을 장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완성차 회사들은 미국에 수출하는 차량에는 충돌 사고시 탑승자 보호능력이 뛰어난 최신형 '어드밴스드(Advanced) 에어백'을 장착하는 반면, 내수용 차량에는 이러한 기능이 전혀 없는 구형 디파워드(Depowered) 에어백이나 스마트(Smart) 에어백을 장착하고 있는 것이다.
10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기아·GM대우가 미국에서 파는 차는 모두 어드밴스드 에어백을 장착하고 있다. 어드밴스드 에어백은 충돌사고 때 운전자의 크기·위치·무게 등을 미리 파악, 에어백이 터지는 강도를 조절, 운전자가 에어백으로 2차 상해를 입는 것을 줄여주는 첨단 에어백이다.
그러나 내수차량에는 운전자 조건과 상관없이 일정 압력으로 터지는 일반 에어백이 사용되고 있다. 현대차 제네시스와 르노삼성 SM7· SM5 3개 차종에만 일반 에어백보다 안전도가 다소 높은 '스마트 에어백'이 장착되고 있다. 이 에어백은 운전자의 착석 위치를 미리 파악해 폭발력을 제어한다.
최신형인 어드밴스드 에어백에는 탑승자의 무게·크기·자세 등을 감지하는 센서 혹은 카메라가 내장돼 있지만, 스마트 에어백에는 이런 기능이 빠져 있다. 르노삼성의 에어백 개발담당은 "여성 운전자가 시트를 앞쪽으로 바짝 당겨 운전하다가 충돌사고가 날 경우, 일반 에어백은 운전자의 턱을 쳐서 목이 꺾일 가능성이 있다"며 "이 경우 일반 에어백보다 스마트 에어백이, 스마트 에어백보다 어드밴스드 에어백이 상해 정도를 크게 줄여줄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에서 팔리는 모든 한국차에 어드밴스드 에어백이 장착된 이유는 미국 정부가 탑승자 안전을 위해 어드밴스드 에어백 장착을 의무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은 관련 기준이 없다. 현대차는 "어드밴스드 에어백은 원가만 30만~40만원, 소비자가 기준 100만원 가량 인상요인이 발생한다"며 "내수차량에는 장착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2008.09.11 10:29:19 (*.94.1.37)
저도 방금 봤는데.. 옮겨오셨네요... 제네시스의 경우 역수입차가 내수용차보다 훨씬 안전하다는 이야기도 된것 같은데요... 수출형은 어드밴스 에어백이 장착되었으니 말이죠...
2008.09.11 10:54:38 (*.223.118.53)

자동차 메이커들만 탓할 문제는 아닌 것 같군요. 수출형 차라고 하면 북미 수출형 차로 대표되는 경향이 있는데 북미 외 다른 국가의 안전 관련 법규는 어떨지 궁금합니다. 내수, 수출형 차들 사이의 안전 관련 옵션 차이 문제가 제기 될때면 관련 법규 얘기가 빠지지 않고 나오는데, 메이커를 갈구는 것보다는 정부를 갈궈서 안전 관련 법규를 북미 수준으로 향상 시키자고 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북미의 안전 관련 법률 수준이 일률적으로 낮아진다면 럭셔리 메이커들을 제외하고는 모든 메이커에서 내놓는 차량들의 안전 관련 장치들의 수준이 낮아질 것이라고 생각되네요.
2008.09.11 11:07:37 (*.114.184.252)

동규님 말씀도 일리가 있네요. 하지만 국내 자동차 관련 법규(특히 차량 관련)를 움직이는 실체중 가장 큰 요소가 현기차가 아닐까 합니다. 어뎁티브 크루즈 컨트롤이나. 코너링 라이팅 같은 옵션 채용 및 관련 법규 변경을 보면 어이없지만 사실이기도 하네요. 현기차 압박은 소비자들과 시장(경쟁자들)이 하는거니... 참 요원해 보이기도 하구요.
2008.09.11 11:23:00 (*.62.199.126)

항상 그렇지만 수출되는 국가에 맞춰서 나갑니다. 특별히 오버하지도 않겠지요, 오버하면 그게 바로 기업의 손실이 되니까요. 미국에선 2012년인가부터 차체제어장치(VSD 같은)가 의무화 됩니다. 반면 어떤 사람은 오히려 필요없다며 차 값 상승을 지적하기도 합니다. 흐음.. (하지만 반드시 장착하면 선택의 여지가 없겠지요 ㅎㅎㅎ)
우리나라에서도 외국께 더 좋다 역차별이다라고 주장하기 전에 그런 움직임을 보여야하는게 아닐까 합니다. 현대기아차에 바라는 것 보단 정부를 직접 압박할 요소가 필요하지 않을까 하네요. 정부의 의지가 과연 국민의 의지를 반영하는지가 문제겠지만요 -_-;;;;;
우리나라에서도 외국께 더 좋다 역차별이다라고 주장하기 전에 그런 움직임을 보여야하는게 아닐까 합니다. 현대기아차에 바라는 것 보단 정부를 직접 압박할 요소가 필요하지 않을까 하네요. 정부의 의지가 과연 국민의 의지를 반영하는지가 문제겠지만요 -_-;;;;;
2008.09.11 11:32:55 (*.114.184.252)

제 생각에 안전옵션에 과유불급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자동차라는게 달리기위해 존재하며 안전한 달리기를 위해서 규정을 준수한 안전운전이 당연하지만 도로는 돌발상황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최선의 방어책은 안전운전 기반에 차량의 안전옵션이라고 생각하고 이에 미국의 안전옵션 의무강화는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내차값상승은 원가상승보다는 몇없는 국내업체의 불량한 생산성과 시장에서 독점적지위에 더욱 기인한다고 생각합니다. 실제 일본같은 경우는 모델이 바뀌고 성능이 향상되어도 차값을 올리기가 어렵죠.
2008.09.11 11:42:51 (*.114.184.252)

국내 현실에서 관련 규정을 업그레이드 하기위해서는 여론을 환기시키는 동시에 소비자의 자동차 의식 수준을 높여야 하는데 그 일환으로 위 같은 기사는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메이커 위주의 자동차 문화와 VDC나 브래이크.. 보다 버튼식 시동, 오토 에어컨등에 더 민감한 국내 자동차 소비 수준에서 위 같은 여론 환기나 정부 의지를 바라는 것은 쉽지 않을듯 하네요.
2008.09.11 11:59:57 (*.148.159.138)

흠...
가장 불만적인 사항은 저렇게 차별해서 판매하면서도 항상 하는 말은 똑같죠...
"국내 출시 차량의 옵션이 훨씬 더 고급 사양이다... 그래서 가격도 더 높다..."
솔직히 뭐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생산자, 소비자, 관계부처 모두 다람쥐 챗바퀴 돌리기 놀이만 계속할 뿐, 나아질 것 같지 않네요...
물론 분명히 나아진 부분도 있겠지만, 문제점은 항상 앞서나가지 못하고 그저 뒤따라가기에만 급급하다는 거겠죠...
거기까지 바라면 너무 큰 욕심일까요? ^^;;
연중행사 파업이나 좀 어떻게 개선시키지... 훔...
(중공업보다 연봉작다고 난리부리는 사람들도 있더군요... ㅎㅎ)
가장 불만적인 사항은 저렇게 차별해서 판매하면서도 항상 하는 말은 똑같죠...
"국내 출시 차량의 옵션이 훨씬 더 고급 사양이다... 그래서 가격도 더 높다..."
솔직히 뭐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생산자, 소비자, 관계부처 모두 다람쥐 챗바퀴 돌리기 놀이만 계속할 뿐, 나아질 것 같지 않네요...
물론 분명히 나아진 부분도 있겠지만, 문제점은 항상 앞서나가지 못하고 그저 뒤따라가기에만 급급하다는 거겠죠...
거기까지 바라면 너무 큰 욕심일까요? ^^;;
연중행사 파업이나 좀 어떻게 개선시키지... 훔...
(중공업보다 연봉작다고 난리부리는 사람들도 있더군요... ㅎㅎ)
2008.09.11 12:09:59 (*.46.120.6)
자국민 무시하는 이런 면에서 현기차가 싫고 일본의 기업들이 부럽더군요.
자기네 민족이 최고라는 생각에 내수가 품질이 좀 더 좋은...
법률의 유무를 떠나 우리나라 기업이 만든 더 안전한 차를 우리나라 국민은 타면 안되나요..? 기술이 떨어져서 그런다면 이해가 가지만....우리나라 국민은 언제쯤이나 기업들에게 대접을 받을 수 있을까요...
자기네 민족이 최고라는 생각에 내수가 품질이 좀 더 좋은...
법률의 유무를 떠나 우리나라 기업이 만든 더 안전한 차를 우리나라 국민은 타면 안되나요..? 기술이 떨어져서 그런다면 이해가 가지만....우리나라 국민은 언제쯤이나 기업들에게 대접을 받을 수 있을까요...
2008.09.11 13:00:58 (*.120.109.81)
해당 국가의 법규에 맞춰 수출하는건 부단히 자동차뿐만이 아니라 모든 재화에 속합니다. 하지만 국내의 공산품에관련된 법규 자체가 자동차뿐만 아니라 업체들이 소속된 관련 단체의 로비 등으로 인하여 조정도 된다는 점이 괘씸할 따름입니다.
2008.09.11 13:54:26 (*.254.218.61)

아시겠지만, 휴대폰 최종 출고시 RF 파워량도..국가별로 다르죠. 안전에 있어서..과함이 없다는 건 소비자 입장이고, 대부분의 회사는 현대와 비슷한 행보를 하는 것 같습니다. 소비자의 이런 의식수준이 정부 행정에 반영되도록 했으면 좋겠습니다만, 참 오래 걸리네요... (전 우리나라가 대기업하기에 아주좋은 나라라고 믿는 1인 입니다.^^ .. 문제가 있어도..늘 국가경제가 어떻고..하면서..요리조리 면죄부가 널린 나라니. )
2008.09.11 18:02:39 (*.120.78.220)
현대라는 '기업'을 평가할때는 다른 모든 기업의 이른바 기업논리로 접근하시면서 우리 '정부'를 평가할때는 굉장히 편엽한 시각으로 바라보는 분들이 있는 것 같아 아쉽네요. 어차피 최신형 에어백 의무화 시키면 차값 또 올려받을텐데 그땐 누굴 욕하시겠습니까... (설마 지금과 같은 값에 더 좋은 부품 혹은 기능이 들어가길 바라시는건 아니실테고.. 현기차가 어떤 회산데..ㅋ)
2008.09.11 20:40:26 (*.94.1.37)
제가 처음에 썼던 리플의 의도가 오현석님이 말씀하시는것 입니다.. 국내 제네시스를 광고할때 미국에 판매되는 차량들보다 옵션이 좋다.. 따라서 비쌀수 밖에 없다라고 했지만 정작 에어백같은 옵션도 국내꺼는 아랫등급의 제품이고.. 눈에 보이는 몇가지 옵션만 번지르를하게 해놓았을뿐이죠.. 아반떼 XD인가요? 부터 내수용도 아연도금 강판을 사용한다는 글을 보았는데.. 전 믿겨지진 않더라구요... 예전에 방송에서 나왔었는데 요즘은 왜 안나오는지 한번더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2008.09.11 23:57:57 (*.152.207.117)

/허준님, 정부를 바라보는 편협(?)한 시각에 대한 보충설명 좀 기대해도 될까요? ^^
다른 이야기 입니다만, 개인적으로는 약간의 차값상승이 있더라도 옵션질보다는 훨씬 나을 것 같습니다..^^ 물론 제 생각입니다.
다른 이야기 입니다만, 개인적으로는 약간의 차값상승이 있더라도 옵션질보다는 훨씬 나을 것 같습니다..^^ 물론 제 생각입니다.
2008.09.12 03:50:35 (*.142.52.4)
어짜피 못해도 몇천인데 특히나 우리나라에서는 옵션질때문에 선뜻 안전관련 부분은 선택이 어렵죠. 어느정도 차값상승이 있더라도 법적으로 어느선을 그어버리는것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이건 국민을 탓할건 아니라 생각됩니다.
몸에 좋은 쓴 한약과 방금 내린 향긋한 향이 퍼지는 커피가 있다면?
누구라도 커피를 마실거라 생각됩니다.
몸에 좋은 쓴 한약과 방금 내린 향긋한 향이 퍼지는 커피가 있다면?
누구라도 커피를 마실거라 생각됩니다.
2008.09.12 09:41:30 (*.148.159.138)

/허준님...
저는 조금 다른 의견을 갖게 되네요...
정부에서 법규로 제정하여 최신의 에어백을 장착하면서 가격을 상승시킨다면 당연히 욕먹는건 현기차 아닐까요?
미국에는 장착하고도 싸게 판매하고 있는데, 장착해서 팔던걸 다 알고 있는 마당에 가격 상승요인으로 이야기했다가는 더 욕만 먹지 않을까 싶네요...
지금이라도 자국민도 좀 생각해줬으면 좋겠는뎅...
물론 돈버는게 우선인 것이 기업이지만요... 훗...
세계 최고의 옵션질 대명사... 현대 기아 자동차...
해외 언론에 이런 기사나 안났으면 좋겠네요... ㅋㅋ
저는 조금 다른 의견을 갖게 되네요...
정부에서 법규로 제정하여 최신의 에어백을 장착하면서 가격을 상승시킨다면 당연히 욕먹는건 현기차 아닐까요?
미국에는 장착하고도 싸게 판매하고 있는데, 장착해서 팔던걸 다 알고 있는 마당에 가격 상승요인으로 이야기했다가는 더 욕만 먹지 않을까 싶네요...
지금이라도 자국민도 좀 생각해줬으면 좋겠는뎅...
물론 돈버는게 우선인 것이 기업이지만요... 훗...
세계 최고의 옵션질 대명사... 현대 기아 자동차...
해외 언론에 이런 기사나 안났으면 좋겠네요... ㅋㅋ
2008.09.12 14:34:13 (*.46.148.166)

조금 다른 얘기입니다만...
3개월된 애한테 "뇌수막염" 예방접종을 해야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한 적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의무접종에 해당되지 않기에 한번 맞히는데 10만원이고...3차까지 맞혀야 하는데...
보통 뇌수막염 맞힐때, 폐구균과 로타바이러스도 같이 접종하기 때문에 총 25만원 들더군요.
근데 집사람 왈, 미국은 의무적으로 맞혀야 하는 예방접종 항목이라고 하더군요.
이 얘기 듣자마자, 전부 다 접종했습니다.
"안전"에 있어 타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런 점에서는 Think About It 에 대해 참 많은 공감을 하게 됩니다.
그 사이트가 현대차에서 만들었다는 것만 빼면 말이죠.
3개월된 애한테 "뇌수막염" 예방접종을 해야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한 적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의무접종에 해당되지 않기에 한번 맞히는데 10만원이고...3차까지 맞혀야 하는데...
보통 뇌수막염 맞힐때, 폐구균과 로타바이러스도 같이 접종하기 때문에 총 25만원 들더군요.
근데 집사람 왈, 미국은 의무적으로 맞혀야 하는 예방접종 항목이라고 하더군요.
이 얘기 듣자마자, 전부 다 접종했습니다.
"안전"에 있어 타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런 점에서는 Think About It 에 대해 참 많은 공감을 하게 됩니다.
그 사이트가 현대차에서 만들었다는 것만 빼면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