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미스파이어링 사운드를 고의로
펀드라이빙의 목적으로 만드는 경우가 있다고 들었는데요 "버벅/ 퍽" 하는
어떻게하면 가능한것인가요?
퍼포먼스에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사실상 트러블사운드 아닌가해서요

퍽 하고 터지는건 보통 백파이어라고 부르더라구요....
대신 배기라인이 직관이 아니면 불은 안뿜고 폭발음만 들리는거죠.

백파이어/미스파이어랑은 관계없는 엑셀오프시 나는 소리일뿐입니다 ^^
위에서 말씀하신 까레라의 경우도 백프레셔 입니다...
튜닝을잘못해 배압이 안맞는경우나 머플러 흡음제가 많이 털린경우 또는 하이퍼포먼스 머플러일경우 그런현상이 발생됩니다.

질문하신 내용이 미스파이어링을이용한 터보엔진의 앤티렉 을 말씀하시는것이라면..
용어의정의..정리가필요할것 같습니다.
미스파이어링...
의도한점화실패(실화)란것으로 즉..점화실패를하게되면..타지안은 연료가 달궈진 배기매니폴드에서타게되어서..
폭발가스압력으로 터빈을돌리게됩니다. (더...적극적으로는 배기메니폴드에 블로우오프밸브의 배출구 .
.즉 블로우오프된 압축공기를 집어넣어서 적극적인 폭발을 돕기도합니다.)
미스파이어링을원할때가 엑셀오프 상황인경우가많키 때문에 엑셀오프하게되면 열리게되는 블로오프밸브를 별도의배관, 밸브로구성된 배관으로 배기메니폴드에 공기를 공급해서 연료가...많이들어간 배기메니폴드에 산소를넣어 적극적인 연소를돕는구성입니다.
이것은 제조사마다 노우하우와 구성이 조금씩 다릅니다.
미쓰비씨의 렌서에볼루션에는 순정으로 되어있습니다.
랑에보의경우 구성은 적극적인 방식이나. 개입량은 소극적이라고 생각됩니다. 운전자가 못느낄정도의...
이런 시스탬으로인해.. 노리는것은 ..(얻는것은..)
터보랙을줄일수있다.(앤티랙이란용어를쓰더군요..)
스로틀을 오프하더라도..부스트를떨어뜨리지않코..재가속할수있다..
역시 스로틀 잠간 닫게되는상황이라던지... 코너링중이라도 차체를 안정시킬수있다.(양날"검"입니다만..)
비교적 큰 터빈을 스트래스없이 돌릴수있다.
레귤레이션 내 의 리스트럭터가 적용된 터빈이라도컴프레셔입구에서 적극적으로 흡입을 돕는이점도 생긴다.
스플업을 비약적으로 빠르게 할수있다.
미스파이어링 시스탬을이용한 앤티랙 시스탬을 인해 잃는점..(약점..?)
엔지니어링적으로 시뮬레이션하기 까다로운...엔진의 스트래스...
터빈의 스트레스..
배기메니폴드의 스트레스..
부수적으로 급속한출력의 구동으로인한 드라이브 트레인의 스트레스..등인것 같습니다.
흔히
렐리카에 적용되어엑셀오프때마다 " 빠바박 퍽퍽" "타당탕탕탕..퍽퍽..뻑뻑" "퍼벅퍽퍽퍽" 등의소릴내며
배기관에서 불꽃이 나오며..폭발음(총성 같은...)을 냅니다.
렐리차량 의 작동조건은.. 운전자가 임의로 (다이얼같은 것으로)
설정 엔진회전수의 입력을통해..
끄고켜기..
설정 차량속도 에서의 끄고켜기.
개입감도...등을 직접 입력하기도합니다.
드래그레이스에서도 프로스타트 라고부르는 앤티랙스타트를 쓰기도합니다.
프로스타트의 작동 조건으로는
차량정지상태..
설정된 엔진회전수 이상을 몇초간유지한상태...
설정된 차량속도가 되면 자동오프..되는..구성이보통인데..
차량의전자제어기구 마다 다르게 적용하거나 확장장치를 추가해서 달기도합니다.
영화 페스트앤 퓨리어스 의 장면에 와같은 머플러에서 나오는 가스 푸른 버너 불꽃은..
미스파이어링 앤티랙시스탬 과는 다른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스 출력을 높인차들의 과잉공급된 연료가 배기관에서 타는것이아닌가...합니다.
일부러 머플러 끝단에 점화 장치를 달아 불을 붙이는 것 도..있더군요...
질문하신분의 펀드라이빙...의목적..이라고하신부분의 범주가 좀더빨리 달리기위함이라면...
공도에서 주행하는 차량에는 부적합하지안은가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