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늦은 시간에 케이블티비서 녹화중계 해주는 종합격투기.. K1 이나 프라이드, UFC 경기를 가끔 봅니다. 수년 전엔 좀 잔인하거 같아 기피했는데.. 세계 최고수준의 파이터들이 경기에 임하는 모습을 잘 관찰하면, 예술에 가까운 현란한 파이팅 기술과 순발력.. 정신력에 감동받게 되고, 약간의 중독성을 느끼게도 되더군요.
효도르 같은 경우는 냉정한 포커페이스에 인격적인 면까지.. 저보다 나이가 적지만, 존경심이 우러납니다. 그의 얘기를 들어보면, 평소 운동량이, 경기를 뛰는것보다 훨씬 강도가 높아.. 체력안배에 별 어려움이 없다는 것인데요.. 모든 운동선수들이나, 한두가지 운동쯤은 깊이 들어가봤을 여러분이나 저도 그런면의 필요성을 어렵지않게 느낄 수 있을 듯 합니다.
보통 여행중이나 투어드라이빙때, 와인딩을 공략하다 보면.. 고도의 집중력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러한 환경을, 서킷에서의 20~30 분 주행과 견주어 보면.. 굉장히 쉬운 수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짧은 시간 집중하는건, 의식하고 시도하거나 기본적인 체력이 있으면 가능한 일이지만.. 반복되는 스트레스에 견디려면, 일정부분 이상의 트레이닝이 필요한거 같습니다.
매니아가 공도를 달리다 보면, 기분이나 컨디션..상황에 따라 한계주행까지 다가가게도 되고, 불특정 상대를 만나 배틀을 벌이게도 됩니다. 그러지 않는게 좋지만.. 마음처럼 쉽게 자제되지 않지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조건 참는것이지만.. 누구든 '절대 참아지지 않는 상황'을 언젠간 접하게 되는거 같습니다. ㅎㅎ
가끔 초스피드를 즐기는 분들 얘기나, 주변에서 사고를 당한 에피소드등을 들어보면.. 담력으로 운전한다는 분을 적지않게 접하게 됩니다. 저는..이런 마인드를 정말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서두에 언급한 최고레벨의 파이터들은, 투쟁심이나 적대감으로 싸우는게 아니라.. 집중력과 훈련을 통한 익숙함.. 기술의 퀄리티와 경험에 의한 응용력등, 자신과의 싸움에 가까운 마인드를 갖고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레이스에서도, 상대의 부주의한 매너에 가끔 뚜껑이 열리기도 하지만.. 라이벌에 대한 적대심으로 배틀하는건, 초보 인 경우에 한해지는 듯 합니다. 누구든 이러한 경계를 넘나들며 하드코어한 드라이빙을 하게도 되지만, 담력으로 운전하는 비율은.. 무조건 제로에 가깝게 줄여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미지의 영역을 넘나드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사고의 확률은 높아지기 마련이니까요..
서킷에서의 빈도높은 주행경험은 공도에서의 운전을 훨씬 릴렉스하게 만들어 주는거 같습니다. 위급상황에서의 대처능력도 한결 여유를 갖고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고, 놀라거나 당황해 실수할 확률을 최대한 줄여주는 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체험주행이라도 해본 분은 잠시후 공도로 나갔을때, 일반 차들 사이의 공간이나 거리감.. 전반적인 속도감들이 훨씬 여유있게 인지되는걸 느껴보셨을거 같네요.^^
서킷 드라이빙을 많이 경험하다보면, 아무리 장거리 주행을 해도 노말모드 운전에선 하품만 나올뿐 피로가 별로 느껴지지 않는 걸 경험하게 되는거 같습니다.
깜장독수리..
2008.09.19 14:55:58 (*.154.145.47)

방향성이 조금 다른 이야깁니다만,
저는 고속도로에서 배틀을 하게 되는 경우,
가장 우선으로 생각하는건 상대방을 믿을수 있는가? 입니다.
상대의 기량을 믿지 못하면 초고속배틀은 무리라는 생각입니다.
어찌보면 공도의 승부주행이란건 상대가 어이없는 실수를 하지 않는,
상식적인 선 내의 신뢰할만한 스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이쪽도 자신의 기량을 내보일 수 있는 만큼,
달리기 전에 상대의 기량을 확인하지 않고서는 못달리겠더군요.
상대를 믿지 못할 경우는 같이 달리는게 너무도 두렵습니다.
그러다보니 언젠가부터 도로에서 굉장히 고독해진 자신을 느낍니다만..
그래도 믿지 못하는 상대에게 저와 상대의 목숨을 맡기고싶진 않습니다.
저는 고속도로에서 배틀을 하게 되는 경우,
가장 우선으로 생각하는건 상대방을 믿을수 있는가? 입니다.
상대의 기량을 믿지 못하면 초고속배틀은 무리라는 생각입니다.
어찌보면 공도의 승부주행이란건 상대가 어이없는 실수를 하지 않는,
상식적인 선 내의 신뢰할만한 스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이쪽도 자신의 기량을 내보일 수 있는 만큼,
달리기 전에 상대의 기량을 확인하지 않고서는 못달리겠더군요.
상대를 믿지 못할 경우는 같이 달리는게 너무도 두렵습니다.
그러다보니 언젠가부터 도로에서 굉장히 고독해진 자신을 느낍니다만..
그래도 믿지 못하는 상대에게 저와 상대의 목숨을 맡기고싶진 않습니다.
2008.09.19 15:05:08 (*.229.119.240)

바붕 미털님~ 수정한 뒤에 리플 올리심. 멜룽~^^
광삼님 얘기..솔직한 말씀입니다.
라이벌이 출현(?)하면 한동안 따라가보거나 달고 달려보면, 어느정도 공력을 알 수 있는거 같아요. 제 경우도 가끔 배틀하게 되면, 라이벌의 차를 먼저 주욱~살펴보면서 오너의 수준을 짐작해보고, 한동안 가깝게 달리면서 어느정도 트레이닝 된 드라이버인지 시각정보를 통해 짐작하고난 뒤.. 처신을 달리하게 되는거 같습니다. 특히, 와인딩에서는 라인타는거만 잠시 보면 알수있는데.. 일정한 패턴이 없이 깡으로 달린다는 느낌이 들면.. , 자존심 상해.. 아예 경쟁하지 않게 되더군요.^^
광삼님 얘기..솔직한 말씀입니다.
라이벌이 출현(?)하면 한동안 따라가보거나 달고 달려보면, 어느정도 공력을 알 수 있는거 같아요. 제 경우도 가끔 배틀하게 되면, 라이벌의 차를 먼저 주욱~살펴보면서 오너의 수준을 짐작해보고, 한동안 가깝게 달리면서 어느정도 트레이닝 된 드라이버인지 시각정보를 통해 짐작하고난 뒤.. 처신을 달리하게 되는거 같습니다. 특히, 와인딩에서는 라인타는거만 잠시 보면 알수있는데.. 일정한 패턴이 없이 깡으로 달린다는 느낌이 들면.. , 자존심 상해.. 아예 경쟁하지 않게 되더군요.^^
2008.09.19 15:41:07 (*.155.138.208)

언제부터인가 배틀이 시작되어 제가 후미에 있다면 선행차와의 간격을 일정 거리 두게 되고 앞차가 칼질로 차와 차 사이를 뚫었다고 해도 조금이라도 그 문(?)이 닫힐 것같은 불안감이 들거나 내키지 않으면 브레이크를 밟아버립니다.
반대로 제가 선행을 하는 경우, 무리한 칼질로 상대방을 떨구는 방법보다는 적당한 가감속으로 비교적 안전한 구간에 다달았을 쯔음, 서로의 실력을 마음껏 뽐내도록 합니다.
선행이던 후행이던 상대방을 떨쳐내거나 쩜 만들려는 전투심리가 아닌 배려하는 분위기의 배틀은 일반적인 크루징보다 더 안전하다고 봅니다. 실질적으론 그렇지 않겠지만요.
반대로 제가 선행을 하는 경우, 무리한 칼질로 상대방을 떨구는 방법보다는 적당한 가감속으로 비교적 안전한 구간에 다달았을 쯔음, 서로의 실력을 마음껏 뽐내도록 합니다.
선행이던 후행이던 상대방을 떨쳐내거나 쩜 만들려는 전투심리가 아닌 배려하는 분위기의 배틀은 일반적인 크루징보다 더 안전하다고 봅니다. 실질적으론 그렇지 않겠지만요.
2008.09.19 17:26:12 (*.109.154.247)

고속도로에서는 VGT 디젤부터 저보다 안 나가는 차가 없어서 얌전히 다닙니다. 뭔가 다가온다 싶으면 2차선 화물차 뒤로 후다닥... -_-;;;
국도/군도/지방도에서 고부랑 길에서는 재밌게 달려 보지만.. 역시나 뒤에 누가 온다 싶으면 도로변에 차 빼고 비켜 줍니다. 아무리 비리비리한 된장남이 운전하는 차도 직선이 조금만 나오면 득달같이 달려와서 궁딩이를 찔러대서요.
-_-;;;
그렇지만 주차장에서는 슈퍼카 만나도 양보 없습니다. 먼저 찔러 넣고 키 빼서, 담배 불 붙이며 떠나는 쾌감은 베틀의 지존이 아닐까 싶은.... -_-;;;
국도/군도/지방도에서 고부랑 길에서는 재밌게 달려 보지만.. 역시나 뒤에 누가 온다 싶으면 도로변에 차 빼고 비켜 줍니다. 아무리 비리비리한 된장남이 운전하는 차도 직선이 조금만 나오면 득달같이 달려와서 궁딩이를 찔러대서요.
-_-;;;
그렇지만 주차장에서는 슈퍼카 만나도 양보 없습니다. 먼저 찔러 넣고 키 빼서, 담배 불 붙이며 떠나는 쾌감은 베틀의 지존이 아닐까 싶은.... -_-;;;
2008.09.19 17:42:59 (*.188.76.134)
기본이겠지만 상대가 나와 함께 달릴만큼의 그릇이 되느냐하는 걱정이 먼저 들던데요. 양카처럼 치장하고 요란한 차들은 좀 꺼리게 되고 단정한 상태로 자세만 낮은 차들이나 위화감 없이 앞으로 치고 가는 차들과는 함께 달려보고 싶고.. 나보다 더 잘 달리겠다는 인상을 풍기는 차량이 있으면 질 것을 알면서도 그 순간이 내내 즐거운 거구요.
2008.09.19 17:44:52 (*.148.159.138)

음...
좋은 글이네요...
저의 경우는 초고속 배틀을 할만한 차가 아니라서 중고속 배틀(뭐 배틀이라기 보다는 준중형 차량들과 함께 달리기 정도 수준입니다만... ㅡ.ㅡ;;)에서 가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주로 새벽 고속도로에서요...(정식으로 따지면 뭐 1년에 몇번정도...)
저는 선두에 서건 후미에 서건 간에 되도록 제가 가고자 하는 패턴으로 주행하려고 노력하는 편입니다...
예전 어릴적에는 주로 상대를 따라가거나 따라오는걸 주시하면서 주행하는 쪽에 더 치우쳤었는데, 몇번 위험을 경험한 적이 있었거든요...
전후의 차량을 지속적으로 Checking하면서 되도록 제가 생각하는 패턴으로 주행하다보니 아무래도 위험한 상황(그저 따라가다가 발생할 수 있는)에서 대처하기가 훨씬 쉬워지더군요...
이곳의 수많은 고수분들께서는 이미 익숙한 방법이실지도 모르지만, 상대를 파악하기 쉽지않은 저같은 하수급에서는 아무래도 자신의 패턴을 좀 더 중시하면서 배틀에 임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 아닐까 하네요...
어느정도 함께 주행하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상대의 주행 패턴을 따라가고 있는 걸 느낄 때가 있었습니다...
이게 위험하다고 생각든 이유는 상대의 패턴을 그대로 따라가다보면 따라는 간다고 쳐도 즉각적인 반응을 보여줘야하는 상황에서 상대와 동시에 반응한다는게 불가능하다고 생각이 들어서였습니다...
텔레파시가 통하지 않는 이상에는요...
자주 경험하면서 스킬을 늘릴 수 있는 서킷 교육 등이 저에게도 꼭 필요한 것 같은데, 기회를 갖기가 쉽지 않네요... ㅠ.ㅠ
그래도 꼭 배워보려고 합니다...
두서없는 댓글이 되어버린 듯... ㅡ.ㅡ;;
좋은 글이네요...
저의 경우는 초고속 배틀을 할만한 차가 아니라서 중고속 배틀(뭐 배틀이라기 보다는 준중형 차량들과 함께 달리기 정도 수준입니다만... ㅡ.ㅡ;;)에서 가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주로 새벽 고속도로에서요...(정식으로 따지면 뭐 1년에 몇번정도...)
저는 선두에 서건 후미에 서건 간에 되도록 제가 가고자 하는 패턴으로 주행하려고 노력하는 편입니다...
예전 어릴적에는 주로 상대를 따라가거나 따라오는걸 주시하면서 주행하는 쪽에 더 치우쳤었는데, 몇번 위험을 경험한 적이 있었거든요...
전후의 차량을 지속적으로 Checking하면서 되도록 제가 생각하는 패턴으로 주행하다보니 아무래도 위험한 상황(그저 따라가다가 발생할 수 있는)에서 대처하기가 훨씬 쉬워지더군요...
이곳의 수많은 고수분들께서는 이미 익숙한 방법이실지도 모르지만, 상대를 파악하기 쉽지않은 저같은 하수급에서는 아무래도 자신의 패턴을 좀 더 중시하면서 배틀에 임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 아닐까 하네요...
어느정도 함께 주행하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상대의 주행 패턴을 따라가고 있는 걸 느낄 때가 있었습니다...
이게 위험하다고 생각든 이유는 상대의 패턴을 그대로 따라가다보면 따라는 간다고 쳐도 즉각적인 반응을 보여줘야하는 상황에서 상대와 동시에 반응한다는게 불가능하다고 생각이 들어서였습니다...
텔레파시가 통하지 않는 이상에는요...
자주 경험하면서 스킬을 늘릴 수 있는 서킷 교육 등이 저에게도 꼭 필요한 것 같은데, 기회를 갖기가 쉽지 않네요... ㅠ.ㅠ
그래도 꼭 배워보려고 합니다...
두서없는 댓글이 되어버린 듯... ㅡ.ㅡ;;
2008.09.19 17:56:13 (*.229.119.240)

오..권용진님 말씀, 일리 있습니다.
자신의 페이스나 패턴을 잘 지키는게 즐거움과 안전면에서, 정말 중요한 일 같습니다.
자신의 페이스나 패턴을 잘 지키는게 즐거움과 안전면에서, 정말 중요한 일 같습니다.
2008.09.19 22:43:22 (*.177.96.161)

얼마전에 이익렬 님을 뵌 것같기도 한데요. 차 정비 맡겨 놓고 썩음 썩음한 양카 XJ6 대차 받아 시너스 이채에서 영화 한 편 본 후에 집으로 향하던 중.... 시너스 이채 뒷길에서 주행하던 중에 추월하는 차량.... 대차 받은 차량이 틴팅이 어두워서 잘 몰라봤는데 지나칠 때 보니 빨간 앙마더군요. ^ ^
2008.09.20 00:55:45 (*.86.66.57)

익렬님... ^^
권용진님 이래 주시니까 제가 조금 쑥스럽네요... ㅋ
그냥 용진님으로 편하게해주세용... ^^ (빨강 앙마도 공도에서 처음본 회원인뎅... 언제 뵐 수 있을 까요...?)
제 의견은 단지 아직 제 스킬이 너무나도 부족하기 때문에 위험 상황에 대처하기 어려워서 나름대로 꼼수를 생각하게 된 것이었어요...
솔직히 100마력 under의 7인승 LPG 오토 차량으로는 한계점이 너무 낮더라고요...
저도 수동차를 갖고 싶은데, 현실은 제 마음과 너무나 멀리에... ㅡ.ㅡ;;
그저 아직은 너무 모자라기에 그렇게라도 살짜쿵 즐기고 싶었습니다... ^^
아... 그리고 다음 차가 혹시라도 수동이 가능해지면, 익렬님께 기본 교육 살짝 부탁 드립니다...
그러고 보니 수동 몰아본게 좀 되어가네요... 헐~~~
권용진님 이래 주시니까 제가 조금 쑥스럽네요... ㅋ
그냥 용진님으로 편하게해주세용... ^^ (빨강 앙마도 공도에서 처음본 회원인뎅... 언제 뵐 수 있을 까요...?)
제 의견은 단지 아직 제 스킬이 너무나도 부족하기 때문에 위험 상황에 대처하기 어려워서 나름대로 꼼수를 생각하게 된 것이었어요...
솔직히 100마력 under의 7인승 LPG 오토 차량으로는 한계점이 너무 낮더라고요...
저도 수동차를 갖고 싶은데, 현실은 제 마음과 너무나 멀리에... ㅡ.ㅡ;;
그저 아직은 너무 모자라기에 그렇게라도 살짜쿵 즐기고 싶었습니다... ^^
아... 그리고 다음 차가 혹시라도 수동이 가능해지면, 익렬님께 기본 교육 살짝 부탁 드립니다...
그러고 보니 수동 몰아본게 좀 되어가네요... 헐~~~
하지만!!
놀라거나 당황헤(X) 당황해(O)
(딴지거리 찾는중 하핫.)
훗....미털이의 복수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