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회원님들 중 골프 GTI, 아우디 2.0 Tsi 엔진이 장착된 차량을 운행하시는 분 들 중에 다들 고급 휘발유로 주유하고 계신지?
또는 일반 휘발유를 사용하고 계시는데 일상적인 주행에서 큰 문제가 없으신지? 궁금하여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가족의 구매 희망 차종이 폭스바겐 CC 인데 1년 주행거리가 1만키로정도 됩니다.
그래서 CC 중 가장 저렴한 CC 2.0 TSI를 1순위로 고려하고 있는데 지방에 거주하고 있는 관계로 고급휘발유를 매번 주유 하기는 어려운 환경이고, 여기 회원님들 처럼 차를 많이 아끼는 매니아는 아닌지라.... 구입한 후 일반 휘발유를 주유 할 것 같은데
TSI 엔진 권장 사양이 고급 휘발유라는 점이 가장 걱정되는 부분입니다.
골프 GTI 등 같은 엔진을 장착한 차량을 소유하고 계신 회원님들의 의견을 듣고자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만약, 꼭 고급 휘발유를 넣어야 된다면 차선책으로 폭스바겐 CC 2.0 TDI 엔진으로 구매 할 것 같습니다.
엔진 특성 이외에도 CC를 소유하고 계시거나 또는 운행해 보신 경험이 있는 회원님들의 CC의 장. 단점에 대해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대부분의 수입 차량이 고급유 권장(recommend)이나 사용 가능한 최저 옥탄가(minimum)이 국내 일반휘발유 기준인 RON 92 정도라면 옥탄가가 낮거나 이물질이 함유된 (유사?) 휘발유가 들어가지 않은 다음에야 특별한 문제는 없다고 봅니다. BMW는 터보차량으로 많이 바뀌면서 최저 옥탄가도 고급을 써야하지만, 예전 자연흡기 엔진의 경우에는 RON 91이 최저치이고 이 경우 고온의 여름에는 시동 초기에 노킹 소리가 있을 수 있으나 엔진 수명에는 지장이 없다고 표기되어 있었습니다. 물론 이 또한 연식이나 옵션 차이에 따른 EMS 캘리브레이션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역시 매뉴얼을 확인해봐야겠지요. 딜러를 통하여 신차 매뉴얼 상 연료 란에 뭐라고 되어있는지 확인하면 될 듯 합니다.

운행상태 및 관리상태에 따라서 문제가 생길수도, 없을수도 있습니다.
양산차량이라서 물론 어느정도 마진은 두고 설계되겠지만, 각각의 오너마다 주행성향이 다르다보니 정답은 없습니다.
ron95 이상의 연료 권장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물론 일반유 넣었다고 시동 걸자마자 차 퍼지고
그런거 아닙니다. 저 역시 m3에 일반유 3만원
딱 1번 넣어봤구요(고속도로에서 기름 떨어져서)
일밤유 넣고도 문제없다 잘만탄다 하는 분들도
계시구요 아니다 노킹 심해서 못타겠더라 하는 분도
계시구요. 개인차는 조금 있습니다.
본인이 직접 실험 해보시는 수 밖에 ^^;
그래도 권장은 고급유 입니다.
리터당 150원 차이 한통 다 넣어야 만원 차이도
않나구요. 한달에 오만원 차이? 술한번 안먹으면 ^^
글 쓰신 분처럼 아예 고급유를 구하기 어려운 여건
이면 어쩔수 없겠지만서도요.

미국에서 3년동안 리스로 CC 2.0TSI 를 탔었는데 일반유 주입하고 잘 타고 다녔습니다.
스포츠 모드 안하고 그냥 일반주행만 하면 차에 무리도 없고 그다지 큰차이 못느꼈습니다.
실제로 제 주위의 아우디 오너도 같은 의견입니다. 그냥 출퇴근용으로 살살 타고 다니면
그렇게 큰 무리 없습니다. 다만 한번씩 고급유 넣으면 확실히 느낌이 좀 다르긴 합니다.
좀더 부드럽고 가속시에 스무스한 느낌 같은.
일반유 넣고 퍼포먼스 주행을 하시는 분이라면 엔진에 무리가 갈수도 있을것 같네요.
사실 정확하게 정답은 없는 셈이고 경험적으로 그렇다고 만 말씀드립니다.
제가 권장드리고 싶은 방법은 일반유 주입 2번정도 후에 고급유 한번 주유 하는 패턴도 괜찮았습니다.
참고만 해두세요.
회원님들의 많은 답변 감사합니다. 여기 회원님들은 자동차를 좋아하시는 분들이라 고급 휘발유를 넣는 것이 더 좋다는 의견이 많네요.^^ 주행거리, 차량 소음 등을 생각하면 2.0 TSI가 적합하지만 아무래도 2.0 TDI 가 더욱 관리하기는 편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시 한 번 이렇게 눈팅회원의 질문에 친철한 답변을 주신 회원님들께 감사하다는 인사 올립니다.
그런 걱정이 싫으시다면 디젤로 가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수리비야 가솔린과 디젤모두 터보와 직분사가 들어가있다보니 비슷비슷할거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