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일반적으로 코너링 때 타이어가 슬립하기 시작하면 브레이크를 밟지 말아야 하는 것으로 여기고 있고, 따라서 차가 미끄러지는 반대방향으로 핸들을 꺽고 액셀레이터를 밟아 빠져나오려는 시도를 하곤 한다. 이는 "코너링 시 브레이크를 밟으면 위험하다"는 잘못된 상식에 기인한 결과이다. 코너를 원하는 각도만큼 못 도는 언더스티어링 현상이라고 하는데, 이 때 액셀러레이터를 밟으면 앞바퀴가 가벼워져 언더스티어링은 커지고, 반대로 브레이크를 밟으면 앞바퀴에 무게가 쏠리면서 미끄러지는 타이어를 눌러주게 된다. ABS가 없는 브레이크를 과도하게 밟는다면 타이어가 잠겨, 차는 조종성을 잃기도 하나 적절한 브레이킹은 슬립되는 타이어를 멈추게 할 수 있다.
좀 이상해요..
'차가 미끄러지는 반대 방향으로 핸들을 꺽고 액셀레이터를 밟아...' => 카운터 스티어 아닌가요?
2012.10.16 22:39:37 (*.123.147.194)
전륜구동이라는 전제가 빠진 설명인듯 하네요. 전륜구동이 언더가 나면 브레이크를 밟는게 더 효과적일테니까요. 턱인 역시 하중을 앞으로 옮겨 전륜의 접지를 늘리는 방법이구요. 후륜구동은 코너에서 언더가 나기 힘들테니 전혀 틀린 설명은 아닌듯 합니다만..
2012.10.16 22:43:31 (*.123.147.194)
하나 추가하면 언더스티어의 경우에 코너에서 차가 미끄러지는 반대방향은 결국 원래 가고자 하는 방향이니 카운터스티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2012.10.16 22:53:19 (*.34.101.136)
첫줄부터 이상하군요.
'코너링시에 타이어가 슬립한다'라는게 앞바퀴가 밀려서 언더스티어가 나는건지, 아님 뒷바퀴가 흘러서 오버스티어가 나는건지부터 표현이 안되어있습니다.
뒤의 내용으로 보면 언더스티어를 표현하는것 같은데, 속도가 빨라서 언더가 나는데 그걸 탈출하려고 엑셀을 더 밟는 운전자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보통 코너에서 언더든 오버든 자신이 의도하지않은 방향으로 차가 움직이면 브레이크에 발을 올리는게 보통 대부분의 운전자의 '습성'인데 말이죠.
2012.10.16 23:31:12 (*.52.44.249)
홈페이지 만들 때 관리자가 담당자한테 여기서 여기까지는 운전 상식 콘텐츠로 넣어 라고 지시하고, 담당자는 그냥 아무데서나 복사해서 넣었을겁니다..
안봐도 비디오입니다.. 너무 심각하게 읽지 마세요..
2012.10.17 08:43:24 (*.179.227.93)
어디서 따온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저는
(어설프게 스포츠 드라이빙을 배운)사람들은 코너에서 언더가 나면 카운터를 시도하지만
브레이크를 밟는 편이 낫다.
이렇게 이해했거든요..
이게 맞는 말인지 궁금해서 여쭤 본 것이고...^^;
이것 말고 다른 이야기들은 대부분 맞는 이야기 같던데요
2012.10.17 15:23:10 (*.234.218.54)
언더스티어의 모양이라도 상황에 따라 상대적으로 앞쪽에 하중이 더 실려서 발생할수도 있고 하중이 덜 실려서 발생할수도 있는데 좀 단편적으로 적어 놓은듯 하네요.
턱인에 대한 설명은 없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