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눈팅회원인 입장에서 자꾸 질문만 드려 죄송합니다.
지난번 조언주신대로 행사전일까지 오일, 브레이크 패드, 타이어 등을 점검할 생각입니다.
보충용오일도 갖고 잇는거 현장에 가져갈 생각이구요. 표준공기압이 있다고 할때 그보다 조금 더 넣나요?
한수 지도가 필요한 대목입니다.
주최측에서 헬멧(현장 무료 대여 가능), 장갑, 드라이빙 슈즈(운동화 가능)를 개인준비물로 해오라 합니다.
비기너과정이기에 우선 해보고 계속하게될것 같은 확신이 들게되면 그때 차차 사자 이런 생각이 합리적이긴한데
취미생활이라게 돈쓰는 재미다보니 우선 장갑이라도 사볼까하는 생각도 제법 있습니다.
헬멧은 빌려준다니 되었고 슈즈는 운동화도 가능하다니 해결되는데 장갑은 그냥 엠티비탈때 끼던 장갑을 가져가볼까하고 있습니다. 전용장갑만 하나 살까하는 생각도 조금 드네요.
이 장갑으로 무방할까요?
이런저런 서킷사진에서 흥진 헬멧, 퓨마나 아디다스 슈즈를 보긴했습니다.
통상 입문자들이 많이 쓰시는 제품(헬멧, 장갑, 슈즈)은 어느제품인지 코멘트 부탁드리겠습니다.
<질문요약>
1. 다음주 정도의 절기라면 서킷 주행시 타이어공기압은 어느 수준으로 조정하는지?
2. 저 장갑으로 드라이빙 장갑 대용으로 쓸수 있는지?
3. 입문자들이 많이 사시는 헬멧, 장갑, 슈즈는 어떤 제품들인지? 구입경로도 좀...
입문초보에게 많은 지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순정으로 들어가는 4계절 컴포트타이어라면 50psi, 그래도 v12evo나 n9000급의 준스포츠타이어라면 45psi부근, XS나 RS3, 네오바같은 여름용 하이그립들은 30psi부근정도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는 브릿지스톤 re002를 사용중인데, 캠버 -1.8도에 공기압 42psi로 맞추고 탑니다. 전륜차를 탈땐 뒤쪽 공기압을 앞쪽보다 무조건 5psi정도 더 넣구요.


약간 다른 얘기이긴 하나.. 써킷 준비물이라니까 말씀드립니다.
생수 꼭 가져가시길. 저는 어떨 때는 500ml 짜리 한다스도 모자르더라구요. 국내 행사에서는 준비를 해주는지도 모르겠지만..
초보자인 저도 어떤 행사인지 알 듯 합니다. ^^; 7월에 동일 과정을 다녀왔습니다. 교육과정에서 교육생끼리 이래저래 함께 할 수 있어서 금방 친해지시니 걱정 안하셔도 될 듯 합니다. 준비글은 다른 분들이 많이 알려주셨네요.
저는 마트에서 야구 배팅글러브를 저렴하게 사갔는데 교육 잘 받았습니다. 헬멧은 교육장에서 플페이스를 대여해서 써보시고 결정하셔도 좋을 듯 합니다. 신발은 푸마 스피드캣을 쇼핑몰에서 할인 받아 구매했는데, 수동 운전시 운전의 즐거움이 더 커졌습니다. ^^. 한번 쯤 사서 신어보셔도 좋을 듯 합니다.
즐거운 교육 받으세요~
신발은 드라이빙슈즈인 푸마제품이 많이 쓰입니다만, 제 경우엔 그냥 아디다스 테니스화를 신고갑니다. 그냥 밑창 얇은편인 운동화 신으시면 됩니다.
헬멧은 동네 오토바이샵 가면 아주 싼 가격에 많이 있습니다. 굳이 자동차용을 사용하시려면 30만원은 주셔야하구요. 국내 아마추어 레이스에서는 KS마크가 있는 헬멧정도면 패스할수 있습니다.
전 그래도 많이 줘서 7만원짜리 홍진 cl14라는 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풀페이스보단 얼굴이 드러나는 하프 페이스가 좀 더 시야가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