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요즘 이것땜에 너무 고민이 많아서 여기저기 질문을 많이 올려서 읽으신분들도 계시겠지만
테드에 마지막으로 고민상담올려봅니다^^;;
r172 slk 55 amg 팔라듐실버 차량입니다.. 쥐색입니다... 차량은 주말에만 타구요.. 지하주차장에 주차합니다..
현재 생활보호패키지(도어엣지, 도어컵 트렁크리드, 사이드미러)와 헤드라이트, 전면범퍼에
ppf 시공을 한 상태입니다.. 3m 벤처쉴드제품..
문콕테러를 당해보면 철판이 움푹들어가는것보다는 도장면에 손상이 가는경우가 더 많던데..
데일리카로 타는 nf 쏘나타의 경우 7년간 칠벗겨짐 문콕은 없었지만 도장면이 손상되고 콕들어가는 문콕이 많았습니다..
제가 문콕에 굉장히 예민해서 마트나 백화점, 일반주차장에는 차를 아예 안가져가고있습니다... 꽤나 스트레스네요...
옆쪽 부분(앞 뒤 휀더, 문짝)도 ppf 시공을 할까 하는데요..
1. 도장면손상없이 철판만 들어간경우 덴트를 해야하는데 ppf 필름 시공상태에서 덴트가 가능한지..
2. ppf 수명이 어느정도인지.. 수명이 다해서 제거할때 도장면에 손상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옆쪽만 대략 150만원돈 견적이 나온다고 하는데 돈값을 하는지도 의문이 들구요..ㅠㅠ
전면쪽+생활보호패키지해서 벌써 60만원돈이 들어갔는데..ㅠㅠ
ppf를 하고 싶은 이유는......
도장이 까일때마다 부분도색을 할수도 없는노릇....
미약한 문콕을 막을수 있음
맘놓고 탈수 있음
ppf가 꺼려지는 이유는..
광도 잘안나고 나중에 떼어낼때 도장면 손상 가능성
사고후 재도장하면 ppf시공시 추후 칠벗겨짐 가능성 증가.. 부분도색이라도 하는 경우 ppf 사용이 매우 꺼려짐..ㅠ
워터스팟 및 필름 광저하가 2년차부터 심해진다고 함..
가장 중요한게 혹시나 사고 발생시 필름은 다 제거해야하니 이것또한 문제구요.. (ppf 한판 30만원정도...ㅠㅠ)
차라리 도장면 까이거나 문콕당했을때 돈들여서 재도색및 덴트를 하는게 더 맘이 편할지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저는 일단 차량을 최대한 오래 소장할 계획입니다..
정답을 딱 내려주시면 좋겠는데 ppf평가가 회원님들마다 호불호가 갈리는터라....
저도 다른분들처럼 쿨하게 차 타고 싶습니다...ㅠㅠ경험하신 회원님들의 고견부탁드립니다... 꾸벅^^
광은 ppf전용 왁스가 있더라구요 그거 사용하시면 되구요
실버차량이면 황변현상도 티가 잘 나지 않을거같구요...
큰사고발생해서 부품교체할땐 ppf바른것이 눈물나도록 아까우실지 몰라도 그런상황은 드문 상황이고 세차시 스월이나 접촉사고같이 작은 사고나 소소한 테러에서는 완벽히 벗어날수있으니 돈이 좀 들더라도 ppf를 시공하는것이 좋은거 같습니다...역시 비용이 문제...


지난 6년간 PPF시공 6대 경험 있습니다....제차 와이프차 동생차 등등....
사소한 접촉사고들이나 테러는 완벽보호됩니다.....문콕도 심한 것 아니고서는 보호됩니다....
저는 헤드라이트 등 난이도가 쉬운자리는 직접 DIY 합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
공기방울은 비눗물을 사용하면 어느정도 제거하기에 쉽지만 곡선이 복합적인 부분은 좀 어렵더군요.
어찌되었건 PPF 의 효과는 좋은듯 합니다. 우선 마음이 너무 편하다는 장점이 큽니다. ^^
제가 아는범위에서...
우선 미니에 전면부 전부 ppf 했었는데 휀더 부분(미니는 본넷)에 SUV 뒷문짝한테 문콕 당했는데
필름 손상 없었고 그대로 복구 되더군요.
그리고 필름 작업 후 1년 쯤 후에 일부분 필름 보수했는데, 재도색이 아니라서 필름 제거에 아무 문제 없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