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자동차를 몰게된지 어느덧 5년이 되가지만 자동차라는건 역시 알아가면 더 복잡하고,
그걸 알게 되면 정말 재미있는거 같습니다!
우선.. 일반적인 도로(dry, 아스팔트)도로에서 브레이크를 잡게 되면 전륜뿐만 아니라 후륜 브레이크도 잡히는걸까요?
후륜로터를 보니 전륜만큼은 아니여도 닳아져 있긴 합니다..
만약에 고속 코너에서 브레이크를 잡게 된다면 4륜 모두 잡힌다면 (ABS없는 가정하에) 언더스티어가 나는건 아닌지..
그리고, 차체강성에 대해 궁금합니다! 차체강성이 약한 차들은 뒤틀림현상이 있다는데..
정확히 뒤틀림현상이 있다면 증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고 싶습니다..^^
또, 예전에 저희집에 있는 차량(K5)로 안산트렉을 돌았었는데 몇랩 돌았다고 뒤틀림이 생기거나 안좋은 영향이 가는지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속 코너에서 제동을 걸면 뒷쪽 하중이 빠지고 앞쪽 하중이 높아지므로 리어그립이 떨어져 오버스티어가 납니다. 차량마다 정도는 다르고요.
비틀림강성이 약하면 롤링을 줄이기 위해 서스펜션 세팅을 단단하게 하던가 할 시 코너 등에서 차대가 비틀리면서 잡소리유발같은 것 뿐 아니라 서스펜션 지오메트리 변화까지 가져와서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개 되는 것으로 압니다.
써킷을 타면 차대에 스트레스가 걸리겠지만 몇랩 돈다고 엿가락처럼 휘거나 할 정도로 섀시가 약하진 않습니다.

가속시에는 하중이 리어쪽으로 이동하므로 후륜구동이 전륜구동보다 직빨이 좋고
제동시에는 하중이 프론트로 이동하므로 전륜 제동력이 후륜 제동력보다 뛰어나야 됩니다.
브레이크 밟으면 똑같은 압력이 4바퀴에 똑같이 전달되는게 아니고 전륜 후륜 다르게 압력이 작용합니다
왜냐면 똑같은 압력에서 후륜의 바퀴가 먼저 잠기게 되면 제동시 차량이 180도 회전해버립니다.
전륜의 바퀴가 먼저 잠길시엔 조향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180도 회전하는 상황보다 낫기 때문이죠.
보통 차량설계할때 이를 방지하기위해서 제동 비례제어를 고려해서 설계 합니다.

질문상의 용어들을 다시 짚어봐야 할 것 같아 보입니다.
1. 브레이크가 '잡힌다' 라는 말이 단순히 '제동력이 전달된다' 인지, 'Lock' 되는 상태를 말하는건지...
2. '뒤틀림' 이 단순한 탄성을 뜻하는건지, 항복강도를 넘어서 차체가 영구 변형이 되는걸 뜻하는건지...
4륜 모두 최대로 브레이킹하면 언더가아니라 그냥 직선으로 쭉 날아갑니다 ㅋㅋ 그렇게 세게 안잡는게 포인트죠
차체강성 약한건 바퀴 한쪽만 어디 올려놓으면 차 여기저기서 뚝, 뚝, 소리가 납니다 (ㅋㅋ) 모든 차는 뒤틀림이 있는데 1도 뒤틀릴때 힘이 얼마나 들어가냐에 따라 다릅니다. 코닉세그 CCXR은 1도 비틀려면 6500토크라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