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이 영상에 나온 것을 해보고 싶습니다. (물론 저 혼자서 말이죠. 다른 차와 같이 할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
처음 보면 앞으로 전진하다가 180도 회전하면서 진행 방향으로는 계속 가지만, 이젠 후진으로 가게 되는데요 이거 어떻게 하면 할 수 있을까요? 제가 전해 들은 것에다 제 추측을 더해서 생각해보면
1. 직진 시에 스티어링 휠을 좌우로 계속 털면서 인위적인 롤링을 만들어내고
2. 그러다 후륜이 흐르는 것을 감지하는 즉시, 스로틀을 최대로 올린 상태에서 스티어링을 확 꺽어 회전을 만들어내고
3. 한 150도쯤 돌 무렵 기어를 중립으로 두고
4. 차는 회전관성에 의해 회전을 계속 하면서도 기존 직진 운동량 때문에 여전히 진행방향으로 가게 될 텐데, 타이어가 그립을 찾는 듯 할 때 후진기어를 넣어 후진으로 달린다
이런게 아닐까 싶습니다. 이 생각이 얼마나 맞는 것일까요?
그리고 영상 나중에 보면 원돌이도 하는데요, 전륜 구동차로 원돌이를 하는 것이 도전할 만한 일일까요?
그리고 무엇보다 , 이런 동작들을 제 차 (205마력짜리 사브9-3 SE 수동)으로 할 수 있을까요?

높은 속도에서도 쉽게 뒷바퀴를 잠글 수 있도록 파킹 브레이크의 정비 및 튜닝이 선행되어야 할겁니다.
머릿속으로 저런 모션을 만들기를 생각하는 것보다 장애물을 설치하고 저속 스핀턴을 연습하는게 우선입니다.
그 다음부터는 속도를 올리고, 후진까지 연결하시면 됩니다.
후진 원돌이는 쉽기도 쉬울뿐더러 어드밴스트 드라이빙에 도움이 되는 스킬은 아닙니다. 스핀턴은 짐카나, 오토크로스, 혹은 좁은길 유턴 등에 쓸일이 많습니다. 후륜구동의 원돌이도 오버스티어 컨트롤을 연습하는 데에는 큰 도움이 되지만 전륜구동의 후진 원돌이는 데모런 이상의 의미는 없습니다.
차량의 출력은 충분한 듯 하지만 파킹 브레이크가 어떤지가 관건입니다. 위에 써 놓으신 1~4번 과정 모두 잘못되었는데, 짐카나나 오토크로스를 통해 기록단축을 위해 필요한 스킬들을 하나하나 연습하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파킹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아요 ㅠㅠ 케이블이 너무 늘어나서 그런 것으로 기억하고요, 새 케이블이 하나 있는데 언제 설치할 지는 아직 미지수라서요. .. 이게 파킹브레이크가 필요한 일이었군요.

일단 스핀턴 자체가 선천적으로 불가능한 차종이 좀 있습니다.. 사이드브레이크가 약한게 원인인데요.. 투스카니 같은 경우는 별도의 보강 없이는 아예 안되더라구요 ㅠ.ㅠ (학교운동장 같은 미끄러운 노면에서만 가능..;;)
근데 요즘 나오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차량들은 저게 되나요? 왠지 안될꺼 같기도 하고.. 궁금하네요

60정도의 속력에서 관성을 준 뒤 원하는 방향으로 핸들을 돌림과 동시에(한손으로 돌릴수있는 최대로 돌리세요)
사이드 꽈아아악 당겨주시고 타이밍 맞춰서 사이드 풀고 후진넣고 엑셀온.
말은 이런데 실제로는 서너번 연습 하셔야될겁니다.
저는 하두 해서 인제 별 크게 감흥이 없더라구요ㅠ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detailpage&v=1g8YME7o1JI&list=FL_d1SGKPjdQ_UiQgAFgtwvQ
유튜브 비디오가 보이지를 않네요. 직접 링크를 여기 댓글에 남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