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http://asieml.tistory.com/entry/harness얼마전 강성환님 글에 김성환님께서 다신 댓글을 통해
서브마린현상(벨트 밑으로 빠져 핸들 아래로 쏙 들어가는 현상)을 알게 된 다음
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
제 윌란스 하네스 메뉴얼에도 그와같은 상황을 경고하고 있더군요.
혹시 더하거나 빼는 등 지적 부탁드립니다. ㅎㅎ.
바로 위에 링크를 통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완성되면 게시판에 올릴께요 ^^
서브마린현상(벨트 밑으로 빠져 핸들 아래로 쏙 들어가는 현상)을 알게 된 다음
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
제 윌란스 하네스 메뉴얼에도 그와같은 상황을 경고하고 있더군요.
혹시 더하거나 빼는 등 지적 부탁드립니다. ㅎㅎ.
바로 위에 링크를 통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완성되면 게시판에 올릴께요 ^^
2008.10.03 23:34:14 (*.124.4.45)

일반 시판용차량의 경우엔 수평의 위치에 벨트의 당김하중(?)을 견딜만한
자리가 거의 없다시피하죠..
그래서 보통 뒷좌석 순정 벨트고정부위를 사용합니다만.. 크게 문제되진 않을거 같습니다..
FIA 안전규칙에 따르면 (253 - 6.2) 하향 45도까지는 허용한다고 나와있습니다.
물론 제일 이상적인 각도는 10도라고 명기되어있습니다.
2시트 로드스터나.. 롤케이지 또는 전용키트의 사용없이 수평을 맞춘다고
힘이 약한 철판에 고정하는것보다는,
45도 이내로 자동차 생산법규를 통과한 벨트고정위치에 볼트를 고정시키는게
훨씬 안전하다고봅니다..
자리가 거의 없다시피하죠..
그래서 보통 뒷좌석 순정 벨트고정부위를 사용합니다만.. 크게 문제되진 않을거 같습니다..
FIA 안전규칙에 따르면 (253 - 6.2) 하향 45도까지는 허용한다고 나와있습니다.
물론 제일 이상적인 각도는 10도라고 명기되어있습니다.
2시트 로드스터나.. 롤케이지 또는 전용키트의 사용없이 수평을 맞춘다고
힘이 약한 철판에 고정하는것보다는,
45도 이내로 자동차 생산법규를 통과한 벨트고정위치에 볼트를 고정시키는게
훨씬 안전하다고봅니다..
2008.10.04 00:05:52 (*.63.127.175)

하네스바를 설치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이베이에 투카용(실은 범용) 하네스바가 한국까지 쉬핑해서 200불 하네요........;;;
2008.10.04 04:20:41 (*.111.218.183)

3인치 4점식의 뒷쪽 고정부분을, 뒷시트 안전벨트 나사 부분에 고정해 놓다가,
(이 경우 대략 언더 45도 되는듯 합니다.)
리어 보강 파이프에 벨트를 걸었지요. 리어 보강 파이프는 양쪽 리어시트 고정 스토퍼(후륜 서스펜션 마운트에 용접되어 붙어있는) 를 가로지르고 있구요.
거의 수평이 되어 있고... 좋더라구요.
신기한건... 차체의 앞뒤 움직임이 바로바로 벨트를 통해서 전달되더군요.
근데... 좌우 폭은 버킷시트 구멍 때문에 넓히기가 힘들듯 한데... 이건 어찌해야할지...
(이 경우 대략 언더 45도 되는듯 합니다.)
리어 보강 파이프에 벨트를 걸었지요. 리어 보강 파이프는 양쪽 리어시트 고정 스토퍼(후륜 서스펜션 마운트에 용접되어 붙어있는) 를 가로지르고 있구요.
거의 수평이 되어 있고... 좋더라구요.
신기한건... 차체의 앞뒤 움직임이 바로바로 벨트를 통해서 전달되더군요.
근데... 좌우 폭은 버킷시트 구멍 때문에 넓히기가 힘들듯 한데... 이건 어찌해야할지...
2008.10.04 05:49:30 (*.63.127.175)

HANS를 장착해야 하는 경우는 목을 감싸며 매게 되어 있더군요. ^^ 물론 HANS랑 같이... 아래는 FIA의 HANS 장착 안전규정집입니다 ^^
http://willansmotorsport.com/index.php/Download-document/1-FIA-HANS-Device-Guide.html
http://willansmotorsport.com/index.php/Download-document/1-FIA-HANS-Device-Guide.html
그런데 저거 6점식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