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냉간 시 타이어 공기압이 32psi 세팅을 하면 고속주행 중 정차 후 공기압을 측정해보면 36psi가 나오더라구요
고속주행 시 36psi 설정이면 공기압이 높지 않을까 싶은데 열간 시 공기압을 33psi 정도로 조정해서 타는게 승차감이나 접지력면에서 더 나은 세팅이 아닌가 생각이 드는데요
저는 연비 때문에 공기압 높이고 싶지는 않고 타이어를 골고루 마모 시키고 안전성 위주로 세팅하고 싶거든요
열간 시 공기압을 33psi로 다시 낮추는것에 대해서 테드 회원님들 의견이 궁금합니다
고속주행 시 36psi 설정이면 공기압이 높지 않을까 싶은데 열간 시 공기압을 33psi 정도로 조정해서 타는게 승차감이나 접지력면에서 더 나은 세팅이 아닌가 생각이 드는데요
저는 연비 때문에 공기압 높이고 싶지는 않고 타이어를 골고루 마모 시키고 안전성 위주로 세팅하고 싶거든요
열간 시 공기압을 33psi로 다시 낮추는것에 대해서 테드 회원님들 의견이 궁금합니다
2012.11.18 15:15:06 (*.223.17.112)
글쎄요. 제 m3에는 탑승인원에 따른 타이어압
설명은 있어도 속도에 따른 설명은 없어서요.
2명 탑승에 맞춰서 다닙니다.
설명은 있어도 속도에 따른 설명은 없어서요.
2명 탑승에 맞춰서 다닙니다.
2012.11.18 15:40:09 (*.217.138.219)
제 차 공기압 스티커에는 최대적재시, 160이상주행시, warm tire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요. 일반적인 공기압 제원은 cold tire pressure를 기준으로하는것 같습니다. 더운 타이어의 경우 7정도 추가하는 것을 고려하라하네요. 160이상주행하려면 7을 추가하라는. 그래서 제원은 27인데 고속주행하려면 34를 넣어줘야하고 그걸 더운 타이어 상태로 측정하면 41까지도 측정이될 수있을 것 같습니다.
고속주행시 36으로올라가는게 당연합니다.
고속주행시 36으로올라가는게 당연합니다.
2012.11.18 15:48:32 (*.246.70.227)
정답이 없는 문제일것 같은데... 메이커에서 제시하는 값은 냉간시를 기준으로 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물론 고속주행에 의해 공기압이 올라가는것도 고려한 수치이겠죠
제 차는 제조사 권장이 일반주행은 냉간시 33/32, 고속주행은 39/35입니다.
주행하면 36/34(35), 45/40정도로 올라가는데 그거 다 고려해서 정한거라고 봅니다만..
운전석 문 아래에 붙어있는거대로 냉간에 맞추시면 되겠습니다.
고속주행은 180+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