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요즘 수입되는 수입 디젤 승용차들에는 모두 DPF(Diesel Particle Filter)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분진필터라고 하는 이 필터는 연소과정중에 완전히 연소되지 못하는 분진만을 포집하는 형태의 필터입니다.
분진이 어느 기준 이상 쌓이게 되면 배기가스의 온도를 높여 분진이 필터내에서 연소되게 하는데, 배기가스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경우는 운전자가 급가속을 하며 고회전으로 운전하는 경우, 혹은 인젝터의 포스트 인젝션의 양으로 조정합니다.
즉 DPF는 ECU와 통신을 하며 DPF의 분진 포집량에 따라 연료분사 패턴이 변합니다.
고압 직분사 터보 디젤 엔진들은 대부분 인젝션을 3,4단계로 합니다.
Pre injection, Main Injection, Post injection1,2 등으로 Pre injection은 Main분사 직전에 먼저 연료를 찔끔 뿌려 연소의 시작을 일으켜 Main분사때 있는 연소충격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Post injection은 Main분사 이후에 살짝 끝자락에 분사를 해 배기가스의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데, Post injection이 가동되는 상황에서는 공회전 rpm이 평소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감지할 수 있습니다.
시가지의 막히는 구간의 서다가다를 많이하는 경우 분진이 쌓일 확률이 크긴하지만 경험상 자체 매니지먼트가 워낙 잘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눈치 채지 못하는 사이에 DPF의 분진은 연소가 되어 사라집니다.
하지만 영하 10도 이하의 매우 추운 기온에는 배기온도가 아무래도 낮기 때문에 한여름과 비교하면 DPF의 분진 연소 효율이 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끔 시원하게 한번씩 가속을 해주는 주행이 매우 유익한 편이며, Post injection의 시간을 줄여주어 일상주행할 때 미세하지만 연비에도 도움이 됩니다.
물론 급가속을 빈번하게 하면 Post injection의 추가 분사분을 넘는 연료소모가 있겠지만 적당히 달릴 수 있는 환경에서는 의도적으로 한번씩 적당한 가속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회사차로 타는 CC의 경우에도 영하 10도의 강추위와 요즘과 같이 정체가 심한 조건에서 며칠씩 급가속을 하지 못하면 공회전 회전수가 미세하게 상승해있고, 블루모션의 기능중에 하나인 주행중 가속패달을 놓을 때 제동을 하기전까지 중립 상태로 타력주행하는 기능이 일시 정지되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물론 어느정도 있다가 다시 회복되며, 일반인들이 이 차이를 느낄 가능성은 매우 작겠지만 실제로 내부적으로는 매우 정교한 엔진 컨트롤을 해주고 있는 것이지요.
가솔린 엔진이건 디젤 엔진이건 엔진 자체에는 공회전이 많거나 평균속도가 낮은 조건은 엔진에 유익하지 않습니다.
꼭 디젤이기 때문이 아니라 엔진은 무리하지 않고 냉각용량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적당히 밟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testkwon-

제 차는 스포티지r 디젤 수동 순정에 kn 순정형 필터만 달려있습니다. ecu 맵핑은 기존에 했다가
현재는 순정으로 돌린지 1달정도 됐구요. 오토큐에서 ecu 업데이트 다 받았습니다.
엔진오일만 아랄 0w40 이구요.
얼마전 토크프로 어플을 구입해서 elm 327 과 물려서 쓰고 있는데 일단 아이들시 배기온은 130~140도.
냉간시 주행하면 배기온은 쉽게 2~300도 정도에 머뭅니다. 수온계는 움직이지 않은 상태이구요. 알피엠은 그냥
평이하게 1500~2500정도 사용하는 막히지 않은 올림픽대로 입니다.
좀 더 주행하다가 수온이 정상 온도로 진입하면 배기온은 내려갑니다 . 200도 정도...
그리고 겁나게 쏘면서 4천알피엠 막 오르락내리락 밟아대기를 5~10여분인데 400도 찍기도 힘듭니다.
가속페달을 떼거나 밟는 양을 줄이면 배기온은 급격하게 하락합니다. 물론 촉매는 달궈진 상태이겠지요.
디펩이 작동할 때는 배기온이 600도 + - 30도 정도 입니다.
3주정도 매일 동일한 구간 출퇴근 하며 하루 100킬로씩 체크했으니 정확합니다.
저는 항상 궁금한게 있었는데
1 . 과연 배기온이 몇도나 되어야 디펩에 쌓인 PM 이 연소가 될까요?
2 . 무조건 배기온만 높으면 디펩의 PM은 자연적으로 연소가 되어 배기로 빠져나가는 것인가요?
3 . ecu에서 디펩을 작동(편의상 작동이라고 하겠습니다.)시키면 배기음이 커지는 이유는 단지 연료량을
많이 분사시켜서 그런건가요?

이미 마스터님 본문 글에도 언급돼 있지만 확인해 보니 DPF 작동 원리가 대충 아래와 같은 듯 싶습니다.
1. 엔진 작동으로 PM 배출
2. DPF 내 PM 적체
3. ECU 가 DPF 내 PM 적체 감지 (압력 차이로 감지한다네요)
4. 폭발 행정 후, 후 분사(=마스터님이 얘기하신 post injection)
5. 후 분사된 연료로 DPF 내 온도 증가
6. DPF 내 PM 연소

중요한 것은 Post injection으로 배기온도를 끌어올리는 것에는 한계가 있고, 결과적으로 이 기능에 의존해서만은 DPF에 분진이 쌓이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즉 공회전이 지나치게 많고 초저속주행만을 지속적으로 할 경우 DPF경고등이 점등될 수 있고, 경고등 점등후에도 운전방법에 개선이 없을 경우 매우 드물기는 하지만 진동이 증가하고 출력이 떨어지는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제생각에 모니터하신 온도대가 공회전시 Post injection만으로 가속시의 배기온도보다 높게 모니터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이 듭니다.
상식적으로 가속패달을 밟는 부하조건보다 공회전시 연소실 온도가 더 올라갈 수는 없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디젤 엔진 차량의 배기온도를 모니터한 자료가 있으면 한번 보고 싶습니다.
제가 추가적으로 궁금한것은 마스터님이 올리신 글의 내용이 유로4 차량과 유로5차량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는것인가요?
집에 두대의 디젤 차량이 있다보니 궁금합니다..

초기에 승용 DPF디젤들이 나올때 차가 안나가면 일종의 수리(?)격으로 쭉쭉 밟아주는게 있었죠...
일명 DPF뚫기라고...
NF디젤 5만 주행차량인데, 차주가 워낙 밟는것을 잘 못할뿐더러 고속주행이 거의없는 타입이었습니다.
지인분(NF디젤운행)께서 그 차량의 운전대를 잡고 새벽시간대 올림픽을 광속질주 하셨다고 합니다..
처음 밟을때는 뒤에 매연이 꽤 보일정도로 나왔을 정도라고 하니 상태는 안봐도 뻔했지요..
140킬로 가속도 어려웠던 차가 순식간에 200근처, 200넘어를 달리는 모습에 차주가 반쯤 기절했다는 후문이 있습니다ㅋㅋㅋㅋ

DPF 동작이... 배기로 연료를 분사하여....
분사된 연료가 배기에 의해 발화(?)되어 그 화력으로
DPF를 태우는걸로 얼핏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고속주행이 DPF에 유리하다는 말은...
DPF에 누적된 분진을 떨어낸다는 개념보다는 고속주행시에 분진발생이 적기 때문에
DPF에 분진이 누적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이레저레 연료압 올려보고 DPF를 느껴본 결과....
급가속시에 분진이 급격하게 쌓이는걸 느꼈습니다.
그리고...고속도로에서의 가감속보다.... 일반 도심주행.. 즉 저속에서의 가감속시에
분진 누적이 빠른거 같다고 느꼈습니다.
DPF에 가장좋은 조건은 고속도로 등속 주행이 최고인듯합니다.
과거 WGT 방식의 뉴스포티지를 탈 적에는 DPF 가 없었는데, 이번에 구입한 쿠퍼 디젤은 DPF 가 있습니다. 당연히 DPF 가 달린 건 알았지만 매뉴얼을 꼼꼼히 읽지 않아서 동작 조건이나 동작 시 상황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었는데요.
어느 날엔가 가속을 하는데 평소와 다른 배기음이 들리더군요. 뭔가 오오오옹~ 하는 ? GTD 와 비슷하면서도 음량은 더 적은... 그래서 이게 뭔가 싶었는데. 매뉴얼을 읽어보니 DPF 가 연소되는 상황이였습니다. 후에 ELM327 달고 확인했구요.
ELM327 로 배기온을 모니터링해 보니, DPF 미 작동 시에는 200도 언저리에서 머물던 게 DPF 작동 시에는 600도 부근까지 가더군요. 뭐 가솔린처럼 900도 근처까진 가는 건 아직 못봤습니다만...
사실 뭐 DPF 가 동작된다고 해도 평소보다 조금 더 높은 공회전과 진동. 그리고 달라진 배기음 외에는 크게 체감할 수 있는 게 없었습니다만. 확실히 DPF 동작될 때 달라진 배기음에 맞춰 좀 달려주면 확실히 차가 좀 잘 나가는 느낌은 듭니다.
마스터님 말씀대로 저속 주행 시, DPF 내 PM 적체 등의 이슈도 있지만 과거 뉴스포티지 운행할 적에 보면 그 어마어마한 카본 누적 때문에라도 주기적으로 좀 달려줄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