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차에서 전자기기를 사용하려면 시거잭에 차량용
충전기를 이용 해서 충전을 할때 질문입니다
자동차용 볼트게이지를 보면 rpm이 높아지면
전압이 높아지는걸 볼수 있습니다
그럼 시거잭에 연결된 충전기에 흐르는 전압이나
전류량도 같이 높아 질것 같습니다
문제는 이때 높아진 전압 전류로인하여
전자기기에 데미지가 올 수 있나 해서
질문드립니다
어제 차량용 충전기와 라이트닝케이블 로
아이패드와 아이패드 미니 충전시키는도중
라이트닝케이블에 검은 그을음이 생기며
라이트닝 케이블이 고장났습니다
혹시나 화재등으로 이어질까 두려워
질문 남겨봅니다
충전기를 이용 해서 충전을 할때 질문입니다
자동차용 볼트게이지를 보면 rpm이 높아지면
전압이 높아지는걸 볼수 있습니다
그럼 시거잭에 연결된 충전기에 흐르는 전압이나
전류량도 같이 높아 질것 같습니다
문제는 이때 높아진 전압 전류로인하여
전자기기에 데미지가 올 수 있나 해서
질문드립니다
어제 차량용 충전기와 라이트닝케이블 로
아이패드와 아이패드 미니 충전시키는도중
라이트닝케이블에 검은 그을음이 생기며
라이트닝 케이블이 고장났습니다
혹시나 화재등으로 이어질까 두려워
질문 남겨봅니다
2013.01.03 22:00:21 (*.62.167.251)

차량용 충전기 입장에서보면 시거잭전원은 입력전원입니다. 충전기에서 1암페어로 출력하던 2암페어를 출력시키는건 충전기 자체의 출력이구요. 아이패드의 정상 충전암페어는 2~2.1암페어 사이입니다. 일반스마트폰의경우 1~1.4수준이구요.충전기 출력이 얼마인지는 모르겠으나 두개을를동시에 걸어서 쓸경우 과부하 또는 충전이 안되는 현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답변이 엉망이긴한데 ;; 케이블 자체의 쇼트문제일듯하네요.
2013.01.04 00:01:00 (*.168.204.202)

정상적인 제품이라면 입력전압이 변한다고 해도 데미지가 없습니다.
전원장치는 DC-DC컨버터가 들아가는데 컨버터 입력전원 범위가 넓습니다.
그리고 출력전압을 피드백 받아서 조정하기 때문에 전원 출렁거림은 거의 없습니다.
단지 출력전류에 여유가 없이max에 가깝게 쓰면 전원이 출렁일 수 있습니다.
전원장치는 DC-DC컨버터가 들아가는데 컨버터 입력전원 범위가 넓습니다.
그리고 출력전압을 피드백 받아서 조정하기 때문에 전원 출렁거림은 거의 없습니다.
단지 출력전류에 여유가 없이max에 가깝게 쓰면 전원이 출렁일 수 있습니다.
2013.01.04 03:22:41 (*.34.101.139)
전류는 상관없습니다. 전류는 10mA를 요구하는 기기에 1kA를 공급해도 데미지없습니다. 전압처럼 무조건 받아들이는게 아니고, 부하측에서 필요한만큼만 끌어다 쓰는것입니다.
만약 전류가 높아져서 문제가 생긴다면, 집에 있는 두꺼비집의 차단기를 올리는 순간 형광등이나 TV등이 다 터져나가야 하죠.
2013.01.04 10:23:58 (*.96.143.53)
차량용 충전기의 용량이 얼마나 되나요?
차량용 충전기의 경우 5v 2A가 대부분 입니다
이건 스마트폰까지 커버되는 양이죠
문제는 좋은 품질의 충전기는 자신이 최대 전류량(A)를 출력시 안정된 전기를 공급하며
이외 한계를 넘는 출력량 요구시 보호회로가 작동되는 기능이 있어야 합니다
아이패드와 아이패드 미니는 스파트폰보다 충전요구량이 큽니다
그런데 동시에 2대를 충전했다는 것은 충전을 제대로 할 수 없었을 겁니다
차량의 전기와 라이트닝케이블은 이상이 없었을듯 하며
아이패드 전용의 품질이 좋은 충전기를 구매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그대로 사용을 계속 한다면 또 문제가 나타날수 있습니다.
제 차의 경우는 주행시는 13.7볼트까지 올라가고. 12볼트 작동전압을 가진 산업용 온도계(냉각수온체크용)의 표시값이 달라지는 정도의 반응은 체크가 됩니다.
전압 변동이 있지만..용도상 충분히 고려된 사항일텐데.. 케이블이 탈 정도면..케이블 자체의 문제인듯 싶습니다..
듣보잡 충전기들도 잘만 쓰고 있습니다.